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주홍 소설의 서지적 연구

        류종렬(Rhyu Chong-Ryeol) 한국문학회 2003 韓國文學論叢 Vol.34 No.-

        This paper explores Chew Hong, Lee's novels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perspectives. Due to the examinations of the very bibliography itself, it does not seem to need an exclusive conclusion. Here however is a succinct epitome of the whole. First of all, Chew Hong, Lee's novels comprise 92 pieces. More specifically, fulI-length novels are three pieces; medium-length stories are six pieces, and short stories including a conte, a short-short stories amount to eight two pieces. Secondly, Chew Hong Lee's novels can conveniently be distinguished into early, medium, and late period. In the early stage, he wrote twenty one pieces of stories from Poverty and Love(1929) to Fine Day(1944); in the middle stage qf his working he finished twenty two pieces qf writings from Family(1946-48) to Circular Trip(1960); and in the final stage qf his life, he produced forty nine pieces of stories from Crater(1965) to the End of Maze(1985). Thirdly there are six pieces of unidentified or unidentifiable works written by himself such as Poverty and Love(1929), Southern Country(1937), Garden(1937), Old Man, Mr Kim(1948), Stolen Soju(1952), Boredom(1953), Dongbok(J954). Besides there are other five additionally rotating novels cooperating with other writers, they are simply excluded her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ir individual creations.

      • KCI등재

        일제 말기 이주홍의 만문만화 연구(1)

        류종렬(Rhyu Chong Ryeol)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이 일제 말기 『家庭の友』와 『半島の光』 두 잡지에 발표한 만화 작품 중에서 만문만화를 최초로 소개하고, 그 만문만화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일제 말기 이주홍의 대일협력이라는 역사인식의 문제도 검토하였다. 첫째, 『家庭の友』는 일제강점기인 1936년 12월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서 월간으로 펴낸 기관지로서, 1941년 3월까지 통권 41호가 발간되다가 국민총력운동 시기인 1941년 4월부터, 『半島の光』으로 제호를 바꾸어 해방 전까지 월간으로 간행된 기관지 겸 종합잡지이다. 이 두 잡지는 일본인 소구홍과 청수정일이 편집 겸 발행인으로 되어 있으며 대화상회인쇄소와 매일신보사 인쇄부에서 인쇄하였다. 당시에는 더물게 한글로 주로 인쇄되었으나 권두언 등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半島の光』은 일문판인 ‘화문판’과 한글판인 ‘선문판’으로 나누어 발간되었다. 이 잡지들의 내용은 처음에는 주로 농촌 가정생활에 필요한 소식들이었으나, 1930년대 말기부터는 대일협력적인 시국적 내용이 중심이 된 전형적인 친일잡지이다. 적지않은 작가들이 참여하여 친일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주홍도 이 두 잡지에 40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만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글에서는 만화 중에서 넓은 의미에서 당대의 세태 풍속을 다루고 있는 6편의 만문만화만을 검토하였다. 둘째, 「대지(大地)의 아들」(1940.2.), 「여성학교(女性學校)」(1940.5.), 「걱정백태(百態)」(1940.10.)는 당대의 세태풍속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대지(大地)의 아들」은 당시 황금광 시대의 풍속도를 풍자하면서 대지의 아들로 성실하게 살아갈 것을 권유하고 있는 작품이다. 「여성학교(女性學校)」)는 당시 여성들의 몸가짐과 행동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을 ‘여성학교’란 제목으로, 당시의 여성풍속도를 해학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걱정 백태(百態)」는 당시의 가정과 사회 구성원이 걱정하는 내용을 해학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셋째, 「버리지 못할 전통(伝統), 버려야 할 습속(習俗)」(1943.3.), 「버리지 못할 전통(伝統), 버려야 할 습속(習俗)」(1943.4.), 「곳쳐야 할 습속(習俗), 버리지 말 전통(伝統)」(1943.6.) 등은 대중매체인 만화를 통해 조선의 지켜야 할 전통과 고쳐야 할 습속을 대중에게 알기쉽게 전달하고자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가가 만화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통과 습속의 구체적 내용이 타당한가에 대한 평가는 사실 쉽지 않지만, ‘버려야 할 습속’이나 ‘고쳐야 할 습속’은 일제의 전시국민생활 체제 확립이나 생산신체제에 확립에 의거한 내용들에 일정 부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만문만화는 『家庭の友』 1939년 9월호(통권 24호)에 실린 「곳쳐야 할 습속(習俗), 버리지 말 전통(伝統)」(엽서회신)에 실린 내용과 많은 부분 유사하다, 이 글들이 향파의 만문만화의 직접적인 저본이 아니더라도 최소한도 향파가 이를 참조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Hyangpa, Lee, chowhong began his career with a cartoon of 「The Son of the Earth(대지(大地)의 아들)」, 『The Friend of the Home(家庭 の友)』 in February, 1940, and wrote over 40 works till 「Revealing Enemy s Evil Thoughts(적(敵)의 흑심(黑心) 폭로전(暴露展))」,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January, 1944. However, most of his works are carto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what Manmun Manhwa is among the cartoons in the two magazines of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 and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and review its meaning. Also, this study reviewed the matter of Lee, chowhong s historical awareness that he cooperated with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st,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 is a monthly magazine published by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from December, 1936 to March, 1941, the issue of 41, and then changed its name into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and kept published from April, 1941 till the Independence day. The editors and publishers of the two magazines are Soguhong and Chungsujeongil, Japanese and printed by Daehwa Printing and the printing part of Mailsinbo(Daily Newspaper). They were printed in Korean, which was really rare, but the prefaces were written in Japanese. Especially,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was published in both versions of Korean and Japanese. The contents of these magazines were the information for the home in rural area, but since the end of 1930, it became a typical Japan-friendly magazine focused on the cooperation with Japan. Not a few writers released their work in the magazine. Lee, chowhong also released 40 works in these two magazines and most of them were cartoons. This study reviewed 6 cartoons of Manmun Manhwa. Second, 「The Son of the Earth(대지(大地)의 아들)」(1940.2.), 「Women s School(여성학교(女性學校))」(1940.5.), 「Various Worries(걱정백태(百 態))」(1940.10.) dealt with the customs of the day. 「The Son of the Earth(대지(大地)의 아들)」 satirizes the gilded age and advises to live sincerely as the son of the earth. 「Women s School(여성학교(女性學 校))」 reveals the customs among women of the day and teaches how to behave as women. 「Various Worries(걱정백태(百態))」 shows the worries of the family and social members of the day. Third, 「Tradition to be with, Customs not to be with(버리지 못할 전통(伝統), 버려야 할 습속(習俗))」(1943.3.), (1943.4.), and 「Customs to make right, Tradition to conserve(곳쳐야 할 습속(習俗), 버리지 말 전 통(伝統))」(1943.6.) seem to have tried to teach the public the Chosun s tradition to keep and customs to make right in an easy means of cartoon.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 and customs seem to have been common in those days.

      • KCI등재

        일제 말기 이주홍의 만문만화 연구(2)

        류종렬(Rhyu, Chong-Ryeol)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이 일제 말기 家庭の友와 半島の光 두 잡지에 발표한 만문 만화 작품 중에서 「이설 춘향전(異說 春香傳)」(1940.5.)과 「시험적발(試驗摘發)」(1943.7.), 「적성추방(敵性追放)」(1943.11.) 등 3편을 최초로 소개하고, 이들 만문만화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설 춘향전(異說 春香傳)」(1940.5.)은 「춘향전」의 복잡하고 긴 플롯을 한 편의 만문만화로 개작한 작품인데, 작품의 시대 상황과 그것이 드러내고자 하는 당대적 의미 즉, 개작 텍스트의 이데올로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설 춘향전」은 당시 가장 많이 팔리고 인기가 있었던 「춘향전」을 만문만화로 개작하여 대중 의 기호에 편승하려는 의도에서 창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시험적발(試驗摘發)」(1943.7.)은 서구문화의 상징인 바이올리을 예를 들어, 영미인의 개인적이고 퇴폐적이고 자유주의적 서구문화에 동화되고 중독된 국민들을 시험에서처럼 적발하여, 총후 국민, 황국신민으로서의 정신 자세를 지켜나가야 한다는 점을 일본 제국주의의 시선으로 드러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일제의 국민총력운동에서 추구하는 바의 ‘국민정신의 통일’ 즉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통일하는 것’을 조선인들에게 선전하고 강요하는 만화이다. 「적성추방(敵性追放)」(1943.11.)은 전쟁에는 무조건 이겨야 한다고 하면서, 전장과 총후가 일치협력하여 총력전을 펼쳐야 하고, 이를 위해 영미인들의 서구문화에 물들어 있는 조선인들의 적성(敵性)을 추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당시의 전쟁 상 황을 은폐하면서 일본 제국주의의 시선으로, 태평양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총후의 국민들이 영미인의 적성 중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만화이다. 「시험적발(試驗摘發)」과 마찬가지로 국민총력운동에서 주창하는 전시동원체제에 걸맞는 ‘국민정신의 통일’ 즉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통일하는것’을 또 한번 선전하고 강요하는 것이다. 이 두 만화는 작가의 대일협력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Hyangpa, Lee, chowhong began his career with a cartoon of 「The Son of the Earth(대지(大地)의 아들)」,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 in February, 1940, and wrote over 40 works till 「Revealing Enemy s Evil Thoughts(적(敵)의 흑심(黑心) 폭로전(暴露展))」,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January, 1944. However, most of his works are carto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what Manmun Manhwa 「Another Chunhyangjeon(이설 춘향전)」 (1940.5.), 「Test Detection(시험적발(試驗摘發))」(1943.7.) and 「Enemy Deportation(적성추방(敵性追放))」(1943.11.) is among the cartoons in the two magazines of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 and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and review its meaning. Also, this study reviewed the matter of Lee, chowhong s historical awareness that he cooperated with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st, 「Another Chunhyangjeon(이설 춘향전)」(1940.5.) is a revised cartoon of 「the Chunhyangjeon(춘향전)」 which has a complicate and long plots. However, it is too short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the day and the ideology of the revised text.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Another Chunhyangjeon(이설 춘향전)」 was written in the purpose to get the popularity of the public making use of the most popular 「the Chunhyangjeon(춘향전)」. Second, 「Test Detection(시험적발(試驗摘發))」(1943.7.) and 「Enemy Deportation(적성추방(敵性追放))」(1943.11.) explicitly reveal the writer s cooperation with Japan. The two cartoons emphasize the general public should have the spirit as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이주홍 초기소설의 작품세계 연구

        류종렬(Chong Ryeol Rhyu) 한국현대소설학회 2001 현대소설연구 Vol.- No.15

        This thesis focuses on the Early Literary Novels by Ju Hong Lee in order to appreciate his contribution to modern Korean literature. A short summary is in order. First, Mr. Ju Hong Lee`s novels focuses on ``poor lives and human love of the people of lower classes``. There belong <Sanga>(1936), <Yahwa>(1936-1937), <Hwabangdo>(1937), <One Spectator>(1939), <Jesu>(1937), <Confectionary Factory>(1937). These works display the decline of the small farm village, and leading to the break-up of the destruction, and loss of human dignity. Second, the theme of such works as <Yeoun>(1936), <Wanggusang>(1937) is ``the conversion of intellectuals and lives of the lower middle class.`` Third, the theme of works such as <Heine`s wife>(1936), <Boardinghouse` Madam>(1937), <Dongyeon>(1938-1939), <Lonely house with monumental pavilion>(1939) dwell on ``romantic love and rupture of sexual passion`` These works deal with love and sexual desire, and marriage between man and woman during the 1930s. Fourth, the works such as <Nae san-a>(1943), and <Cheong-il> fore shadow the dark period under Japanese rule of Korea and Koreans learned to adapt new politic, social and economic realities.

      • KCI등재

        개인발표 : 고등학교 문학 교육에 있어 “보편성과 고유성”의 문제 -전후소설을 중심으로-

        류종렬 ( Chong Ryeol Rhyu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문학교육학 Vol.27 No.-

        Literature text of the 7th curricula makes efforts to reflect the tendency of glob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eculiarities and universal validities of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One must investigate common points of similar types of texts including idiosyncracies caused by time and place, culture as well as globalization. However literature texts do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culiarities rather than universal validities. Thus,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is matter in this paper. Literature text in high school mostly contains following two problems. First, it disregard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and explicates the general circumstances of that war. Second, the external and internal damages of Korean War have been pushed out of its central issue and the general atmosphere of those works occupy its mode. In this context, literature text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post-war novel, but it was not satisfactory in its peculiarities of Korean post-war novel. The existing literature text makes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background in Son Changsup`s <On the Day of Raining>. That explanations of the background of rain and deserted house as aspects of hypochondria, uneasiness, and periodical negativity can be effective means to make out the universal validity of post-war novel, however, it is not so helpful to explain the uniqueness of Korean War. <On the Day of Raining> truthfully responds to this binary world. Dongok and Donguk are literary brother and sister comforting and helping each other. However this close relationship gradually collapses into mistrust by losing cooperating relationships. Lee Bumsun`s <Accidental Firing> depicts circumstances of disintegrated family members. Jang Yonghak`s <Book of John Poetry> induces describable objects as spatial confrontation and stylish contrast. Like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o make better understand the universal validities and peculiarities of Korean literatur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literary theory as well as peculiar circumstances.

      • KCI등재

        이주홍 작품의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변모 양상

        류종렬(Rhyu Chong ryeol)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의 기행보고문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와, 소설 「내 산아」(1943)와 동화 「메아리」(1959)의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작품으로서, 1941년 11월 『半島の光』에 ‘(산지대)농(어)촌 현장 보고’라는 특집 연재물의 한 편이며, 화전민에 대한 향파의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화전민 모티프의 기행보고문이다. 이 기행보고문은 향파 자신에게 최초의 북선여행이라는 여로의 낭만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함경도 일대 화전지대의 화전민들의 생활상을 조사하여 알리고자 한 것이다. 향파가 관심을 가진 화전민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그 내용은 주로 화전민들이 오늘날처럼 잘 살게 된 것이 조선금융조합연합회와 일제의 정책 덕분이라고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화전민과 화전민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조선금융조합연합회나 나아가 일제 총독부가 주창한 국민총력운동의 농산촌생산보국 정책에 따르는 대일협력적인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내 산아」는 일제말기에 『야담』 1943년 8월호에 발표된 소설로서 앞의 기행보고문의 화전민 모티프를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메아리 모티프가 첨가되어, 두 모티프가 작품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전민 모티프는 작품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동하고 있다. 먼저 주인공이 관심을 가지고 방학 중에 연구를 하려고 찾아간 곳이 지리산의 화전민촌이고, 다음 그로 하여금 화전민 청년의 시국인식에 감격하고 그의 뒤를 이어 야학을 할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주인공이 야학을 하게 된 동기를 기술하는 가운데 대일협력의 내용이 드러난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에는 부인물인 혜련이라는 젊은 여성이 자연에 동화되고 순응하여 지난 삶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다는 의미와 삶의 간절함이 담겨있다. 「메아리」는 1959년에 『부산일보』에 수록되어 있는 동화이다. 이 작품은 앞의 기행보고문과 소설 「내 산아」가 지닌 화전민 모티프가 중요한 모티프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등장인물들이 살아가는 장소로서의 배경으로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가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는데, 앞의 소설 「내 산아」와는 달리 메아리를 부르는 주체가 젊은 여성에서 어린 남자 아이로 바뀌었고 그 내용도 동화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즉 메아리만이 어린 주인공에게 놀이의 동무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어 자연을 동무삼아 살아가는 아이의 산골생활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intertextuality of the travel report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1943) and the juvenile story 「The Echo(메아리)」 (1959) written by Hyangpa Lee, Juhong from the viewpoint of slash-burn farmers and the echo as motifs.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 was newly discovered by me, which is a travel report showing Hyangpa’s deep interest in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It was a part of special serial of ‘A Field Report on the Montan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November of 1941. This essay says both the romantic journey of his first trip to the Northen part of Chosun and the reality of the slash-burn farmers’ life around Hamgyeong Province. It seems to focus on the story of the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however, it mainly thanks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Japanese policy for help the slash-burn farmers live better. This distor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ontemporary slash-burn farmers and their villages and is consistent in cooperating with Japan following the policy of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policy of the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 as a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Campaign advoc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al General. 「Oh, My Mountain(내 산아)」 is a novel posted on the issue of August, 1943 of 『Yadam(historical tale,야담)』 was based on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from the previous travel report with additional motif of echo. The two motifs are the core of the novel and especially the slash-burn farmers motif works for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is meaningful in the viewpoint that the main character visited a slash-burn farming town in Mt. Jiri with interest during his vacation and was impressed by the recoginition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young farmer there and then joined yahak(a night school). The motif of echo is also important containing the earnest life as the young female character Hyeryeon assimilated with nature to cure her past cruel pain. 「The Echo(메아리)」 is a juvenile story appeared in 『Busanilbo (Busan Daily Newspaper)』 in 1959. In this work, the slash-burn farming village loses its meaning in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and only serves as a setting for living of the characters. The echo still works a significant motif,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the main agent making the echo changes from a young woman to a young boy rather as the contents turns to be juvenile. That is, only the echo remains significant as a motif which helps depict the life of the young main character with the echo as his friend in the mantane region beautifully.

      • KCI등재

        이주홍의 일제 말기 일문 작품 연구(1)

        류종렬(Rhyu, Chong-Ryeol)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글은 이주홍의 『동양지광』에 수록된 일문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일제 말기 이주홍의 대일협력이라는 역사인식의 문제도 검토하고자 한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그의 작품 전부를 다룰 수 없기에, 먼저 잡지 『동양지광』의 성격과 이곳에 실린 이주홍의 일문 작품 목록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그의 문학 작품 중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의 수필과 논설류 그리고 만화와 표지화는 원고를 달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지광』은 박희도가 1939년 1월 1일에 창간한 사상 관련 일문 종합 월간지이다. 이 잡지는 중일전쟁 이후 민간 조선인에 의해 조선에서 창간된 최초의 친일적인 사상지로, '녹기연맹'처럼 자발적인 내선일체 운동 단체의 월간지였다. 이 잡지는 사상지였기 때문에, 『국민문학』 등과는 달리 문학 작품이 많이 실리지는 않았지만, 많은 작가들의 일본어로 쓴 작품들이 실려 있다. 이주홍도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삽화를 제외하면, 총 37편이었다. 이 중 수필ㆍ논설류가 4편, 시 2편(1편은 수필 속에 있음), 단편소설 1편, 평론 1편, 만화 10편, 표지화 20편 등이다. 대개가 대일 협력적인 내용이다. 둘째, 시 「여기는 대해의 한복판(ここは大海の眞只中)」과 「전원에서(田園にて)」는 각각 1943년 11월호와 1944년 5월호에 실려 있다. 「여기는 대해의 한복판(ここは大海の眞只中)」은 청년들에게 태평양 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독려하는 시다. 「전원에서(田園にて)」는 전원의 일상적 삶 속에서도 태평양 전쟁 상황을 궁금해 하는 내용의 시이다. 전자는 대일 협력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후자는 일상성과 시국적인 내용이 모두 담겨있다. 셋째, 단편소설 「지옥 안내(地獄 案內)」는 1943년 12월과 1944년 1월에 2회로 나누어 발표된 작품이다. 전체 줄거리는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를 지옥사자가 지옥으로 안내하여 지옥의 참상을 목격하게 하고, 가짜 루즈벨트를 만나 전쟁 상황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이 작품은 동아협력체론이나 대동아 공영권의 이론적 바탕 위에 미국을 비판하고 일본을 칭송한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analyze the works recorded in 『DongYangJiGwang』 by Lee, chow-hong in detail, to study the meanings and to examine the problem of history awareness at the end of the Japanese rule. As his works cannot be surveyed in this writing, first the nature of 『DongYangJiGwang』 and the list of his works in Japanese were arranged and then the poems and novels of his works were studied. His essays, articles, cartoons, and cover-drawings were examined respectively. First, 『DongYangJiGwang』 is a monthly magazine of ideology in Japanese launched on January 1, 1939. This is the first magazine of ideology by a private Korean in Jose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which is pro-Japanese and belongs to a group of the integration of an inner line movement like 'NokgiYeonmaeng'. Japanese writings of many writers appear on this magazine, which doesn't contain many literary works unlike 『National Literature』. 37 of works by Lee, chow-hong, except for illustrations, are contained, which are 4 essaysㆍarticles, 2 poems(one of them in essay), 1 short story, 1 review, 10 cartoons, and 20 cover-drawings. Second, the poem 「여기는 대해의 한복판(ここは大海の眞只中)(Here is the midst of the great sea)」 and 「전원에서(田園にて)(In the country)」 were carried respectively in the November issue, 1943 and in the May issue, 1944. The former of cooperative content toward Japan is a poem of encouraging the youth to get a victory in the Pacific War, and the latter, daily and of the current situation, is a poem of wondering about the situation of the War living in the country life. Third, 「지옥 안내(地獄 案內)(Hell Guidance)」, a short story, was released in twice in December, 1943 and in January, 1944. The story is that a grim reaper leads the President Roosevelt into hell and makes him watch the horrible scene, and then the President talks about the war with the fake Roosevelt. This criticizes the U.S. and praises Japan based on the East Asia Cooperation System or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 KCI등재

        한국 현대 노년소설 연구사

        류종렬(Rhyu, Chong-Ryeol)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50 No.-

        노년소설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부터 김병익, 천이두 등의 평론가들에 의해 월평과 서평 등에서 한국소설에 있어 문제적 소설로 언급되기 시작하 여, 1990년대에 이재선에 의해 도시소설의 한 유형으로 문학사에 기술되고, 김윤식에 의해 노인성 문학이란 명칭으로 소설사의 중요한 유형으로 설명 되었다. 다소 본격적인 연구 성과로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4년까지 나온 ‘문학을 생각하는 모임’에서 펴낸 한국 문학에 나타난 노인의식 , 한국노년문학연구 Ⅱ , 한국노년문학연구 Ⅲ , 한국노년문학연구 Ⅳ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책에 수록된 변정화, 서정자, 유남옥, 조회경, 서순희 등의 논문이 노년 소설을 다루고 있다. 최근의 연구 성과로는 김윤식․김미현이 엮은 소설, 노년을 말하다 에 수록된 김윤식과 김미현의 평론, 최명숙의 「한국 현대 노년소설 연구」, 오늘의 문예비평 의 ‘한국 문학과 말년(lateness)의 양식’ 특집 중 황국명의 평론, 그리고 전흥남의 논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노년소설이 한국소설의 새로운 소설 유형으로 그리고 본격적인 학문적 관심 영역으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노년소설을 간단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노년소설은 시대적으로는 1970년대 산업화시대 이후의 현대사회에서 본격적으로 생겨난 새로운 소설 유형으로, 노년의 작가가 생산한 소설이다. 그리고 소설의 내용적 측면에서 이야기의 중심 영역이 주로 노년의 삶을 다루고 있고, 서술의 측면에서 노인을 서술자아나 초점화자로 설정하여 서사화된 소설을 말한다. 그 유형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산업화, 도시화,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가족해체와 이에 따른 세태의 비정함을 통해 노인의 소외된 삶을 다루는 부정적 측면의 소위‘노인문제’ 소설과, 노년의 원숙성과 지혜를 보여주거나 존재의 탐구와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다루는 긍정적 측면의 소설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Kim Byungik, Chun Idoo and other commentators have touched upon the declining year of Korean novels through their several journals and book reviews since 1970. They were often referred in 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type of urban novels in the 1990s. On top of that, they were technically categorized as a type of novel like declining years. When it comes to the result of somewhat fundamental research of them, one can make mention upon <The Consciousness of the Older Generation> <Study of Korean Old Aged II> <Study of Korean Old Aged III> and <Study of Korean Old Aged IV> published by “Gathering Thinking of Literature” after the late 1990s. In these nooks, Byun Jeonghwa, Seo Jungja, You Namok, Cho Hoekyung, Seo Soonhee and others deal with the novels of decling years. Current research includes <Novel telling the Old Aged> compiled by Kim Yoonsik and Kim Mihyun and their commentators, <Study of Modern Novel of Korean Old Aged> by Choi Myungsook, Hwang KookMyung's commentators in <Modern Literature Critique>, and papers by Chun Heungnam. Most of all, these could set up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Korean novels of declining years. Novels of declining years were periodically able to set a foot in the literary world by dealing with the older aged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late 1970s. Some of depictors treat with negative aspects of the declining years such as disintegration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increasing side effect by the old aged. Other delineators deal with positive circumstances by dint of philosophical introspection of human existence and isolation through the bitterness of their life.

      • KCI등재

        일제 말기 이주홍의 연재만화 「즐거운 박(朴)첨지」 연구

        류종렬(Rhyu, Chong-Ryeol)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이주홍의 「즐거운 박(朴)첨지」는 일제 말기 친일잡지인 󰡔家庭の友󰡕 1940년 11월부터 1941년 3월까지 그리고 󰡔家庭の友󰡕의 후신인 󰡔半島の 光󰡕1941년 4월부터 1941년 8월까지 10회 연재된 만화로, 각 편이 15칸 으로 짜여져 있다. 이 중에서 1941년 3월호는 영인 상태가 좋지 않아 제외하였다. 이 만화는 일제 말기 신체제하의 ‘국민총력운동’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내용도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만화의 주인공은 박첨지이며, 그와 다소 대립되는 인물로 허별감이 있다. 그런데 박첨지는 초기의 만화에는 조선금융조합의 조합원으로, 이후에는 모범부락의 애국반장으로 신분이 변모한다. 조선금융조합은 일제의 정치선전기관으로서 한국인의 친일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는데, 주인공을 이런 조합원으로 설정한 것 자체가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서 펴낸 󰡔家庭の友󰡕라는 잡지의 성격에 부합되는 인물을 내세워 대일협력을 의도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당시 애국반의 반장은 애국반원들의 일상생활 전반을 지배하고 감시하는 기능을 하였고 나아가 일제 말기에 이르러서는 당시의 모든 공출과 배급의 기본 조직으로까지 기능을 한일종의 말단 권력기관이었다. 그러나 만화 「즐거운 박(朴)첨지」에서 주인공 박첨지는 애국반장으로서 크게 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박첨지가 모범부락 애국반장으로서 솔선수범하여 애국반원인 마을 사람들을 독려하여 일제가 주력하는 ‘국민총력운동’의 실천에 앞장서는 일이다. 그는 다소 그와 대립하면서 이기적이고 게으르며 뻔질거리는 성격의 허별감을 끊임없이 감싸고 설득하여 공동체의 일원으로 끌어들인 다. 전체적으로 박첨지와 허별감의 대립되는 캐릭터가 작품에 웃음과 해학을 부여하면서 이야기를 맛깔나게 끌고 나간다. 그는 애국반원들과 농촌의 일상의 삶 속에서 더불어 부데끼며 살아가는, 제목과 같이 ‘즐거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 만화는 적극적인 대일협력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이를 웃음과 해학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요약하면, 「즐거운 박(朴)첨지」는 일제 말기 국민총력운동 시기인 1940년 11월부터 1941년 8월까지 식민지 농촌의 한 모범부락을 배경으로 하여, 부락일에 솔선수범하며 애국반원들을 이끌어가는 성실한 조선 금융조합의 모범조합원이자 애국반의 반장인 박첨지와, 그와 대비되는 게으르고 이기적인 인물인 허별감을 등장시켜, 농촌의 일상 속에서 보여 주는 황국신민으로서 활동을 웃음과 해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즉 신체제하의 국민총력운동의 실천이라는 내용을 제국주의 일본의 시선으로 선전하고 있는 비뚤어진 해학정신을 보여주는 만화이다. Lee, Juhong s 「The Pleasant Sir Park」 is a serial comics with a 15-cut strip issued 10 times in the Japan-friendly magazine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from November, 1940 to March, 1941 and its successor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from April to August, 1941. Out of these, the strip issued on March, 1941 is excluded due to its facsimile condition. Its background is set the period of ‘National cooperation Movement’ and its contents are how the movement was carried out in detail. The protagonist of the comics is Sir Park and its antagonist Edler Hoe. Sir Park is described as a member of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in the early part of the issues and then turned to be the head of the patriot team.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was founded as a propaganda organization to make Korean people Japan-friendly and depicting the protagonist as a member of it itself meets the identity of the magazine 󰡔The Friend of the Home(家庭の友)󰡕which was published by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with the purpose of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In addition, the head of the patriot team controlled and monitored the members routine of the team, and in the late stag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am acted as a terminal authority functioned as the basic organization from all the allocated toll and distribution at that time. However, the protagonist of 「The Pleasant Sir Park」 doesn t act his authority as a head of the patriot team. Rather, he voluntarily cheers the town people and leads the national cooperation movement which Japan focused on. He tried to keep persuading Edler Hoe who is selfish, idle and lazy and opposing him and make him a member of the group. The conflict of the two characters makes the story much more humorous and witty. He is depicted ‘pleasant’ as the title living the routine in the rural area with his team members. In other words, this comics contains active cooperation with Japanese government in the means of humor and wit. To sum, 「The Pleasant Sir Park」 depicts the performances as the people of the emperor in the daily routine in the background of a sample village in the rural area with the two confronting main characters of Sir Park and Edler Heo from November, 1940 to August, 1941. The two characters delivers the performances as the people of the emperor with humor and wit. In short, it shows that the comics acts as a propaganda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ooperation movement under the new system with the distorted spirit of humor.

      • ≪문학≫교재에 수록된 <서울, 1964년 겨울>의 독해 지도 연구

        류종렬 부산외국어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1 外大語文論集 Vol.16 No.-

        The work 〈Seoul, Winter of 1964〉 in High School's Literature Textbook was analysed from a viewpoint of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The purpose is to explain the work and to provide a guide to good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novel is well situated in the textbook.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are discussed in the textbook. To understand the theme, characters, point of view, style, tone of the work as the aim of teaching this work is appropriate, also.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novel could be explained more concretely here. Second, the title of this work makes us think of the dark and sullen events which broke out in the very cold winter of 1964 in the modernized Seoul city under the military authorities's rule. The background, Seoul as a symbol of modernization in capitalism, and the time, the winter night in 1964, is established in the work. The year 1964 implies more the economic and social meaning that was the beginning of the capitalistic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ather than the political meaning that was the 3rd Republic Ruling Times by the 5.15 military coup. The winter night implies the sullen and desperate mood. Seoul is depicted as symbolic city of modernized capitalism. But such a background of time and space represents the image which refers to the dark and desperate mood of the Seoul night streets and is not the actual objective and concrete world. That is, the background is only the setting in which characters talk each other. Third, an important event or action, which we generally can see in the modern novel, is not found in the development of plo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lot with the 5 step theory. It is organized as pub→chinese restaurant→fire scene→inn, and is a dispersed plot with the disconnected episodes paralleled in the epic space. Fourth, the characters of the work can be read out if we understand their inner world through their dialogue and actions. They are the speaker 'I', 'Ann', and 'Sanae', who are all characters estranged from the capitalistic real world. This is shown through anonymity, materialism, non-orientation, uncertainty. Next, these three characters are explained as follows. 'Ann' is an individualist and pessimistic nihilist who only pursues her life far from the actual world. 'Sanae' is a poor person of petty bourgeois background, who kills himself because of his extremely estranged feeling. 'I' is an in-between with no certainty and is more opportunistic than the other two characters. Because th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textbook is problematic, the characters were treated more concretely in the main body of this thesis. In the presentation of characters the author describes them directly in the first part, and describes them indirectly through their dialogue and action in the second part. Fifth, the point of view is from the first person's viewpoint. For style the work uses dialogue than narration or description, uses up-to-date and daily language and metaphorical and symbolic language. Simple and complex sentences are used alternatively But the style is nearer to the translation of the western sentences than traditional Korean. A sarcastic tone permeates the novel. Sixth, the meaning of the work is to show the estranged and isolated human relationships in 1960s' in Seoul. Here we can see people who were living day by day without any aim in life at the time when the industrialization of capitalism beg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