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사악한 신"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모파상 작품 속의 페시미즘 연구

        류재한 ( Jae Han Ryu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2 문학과종교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vil god and pessimism in Maupassant`s novels. The images of god in Maupassant`s wor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19th century literature. He considered the god evil, not merciful. The aspect of pessimistic realism in his works is expressed as an evil god, who keeps watch on human beings, every moment and everywhere. This aspect is related with determinism, which is described as inevitable traps for human beings by the evil god`s agents as well. The traps and the agents are particularly embodied in nature and female characters of his works. Female characters are revealed as temptation traps laid by nature for male characters. Male characters chase love and ideals in the female, but the female turns out to be bait. By the destructive law of reproduction, nature and the female have guaranteed existence and permanence of species. Nature, however, drives human beings into unpredictable fate and accident. Nature mocks man and deprives him of individuality. The image of man in Maupassant`s works is one of helplessness being overwhelmed by nature. In conclusion, Maupassant`s repetitive and obsessive perspective on nature and humans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vil god and human conditions from which we cannot escap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콘텐츠 구축방안: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콘텐츠 종합계획」의 분석을 중심으로

        류재한 ( Jae Han Ry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3

        본 연구는 2015년 개관을 앞두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콘텐츠의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아시아문화개발원이 2013년 4월 2일 공개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콘텐츠 종합계획」은 융ㆍ복합 지식 창출의 콘텐츠를 다루고 있어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콘텐츠 종합계획은 구체적인 콘텐츠 확보의 밑그림과 방향제시에 그치고 있어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현재의 전당 콘텐츠 종합계획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그 문제점은 콘텐츠의 “구체성 부재”와 “가시성 부재”, 그리고 콘텐츠의 “난해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구체성”의 부재는 콘텐츠 종합계획이 담고 있는 콘텐츠가 세부 콘텐츠를 담을 그릇과 방향으로 제시되었을 뿐, 이 그릇에 담길 구체적인 콘텐츠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는 데에서 유래한다. 콘텐츠의 난해함으로 지적되는 부분은 전당의 콘텐츠가 지식 특히 융·복합의 지식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가시성”의 부재는 전당의 콘텐츠가 “결과로서의 콘텐츠”가 아니라 지식의 융ㆍ복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의 분석을 토대로 지금의 종합계획의 수정과 보완의 방향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콘텐츠의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현재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콘텐츠 종합계획」에 대한 선행 연구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Contents Plans” (hereinafter referred as CCP) published by IACD on April 2, 201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that could be found in the establishment of unique and universal culture contents of the Asian Culture Complex (hereinafter referred as ACC) by providing alternatives on how to correct and supplement culture contents in a creative way. When we compared the analysis of CCP of ACC, focused on the period 2011 and 2013, we could find that the role of ACC and its contents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mprehensive Contents Plans of ACC. Until 2011, ACC as a shared space for Asian culture and arts has been designated as the power-generator of Asian culture and arts, focusing on the contents introduced from the Asian culture and arts divided by major five areas. While in 2013, the motto of ACC has been changed into “Savage Garden of Knowledge”, and it`s vision and value has been set up as in Space of cultural creatives, connecting the world to create contents through the cre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very problem of the ACC from the analysis of CCP can be summarized into the lack of contents` concreteness and difficulties to understand it. The current version of CCP is just a container to hold contents and merely a direction with no concreteness. Thus it can be concluded there is no concrete CCP in this version. A difficulty to understand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CCP includes the formation of cre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crete contents plan based on the amendments and revisions of CCP. The primary task in the course of amending and supplementing contents is to secure operating personnel. Since the sub-projects are just a matter of container to hold contents, so it is necessary to recruit project managers who can control and operate contents in the container. The secondary task is to secure popularity. As an alternative to this task, the artistic sensitivity should be included based on the knowledge. The third task is who will be the main agent to fill those contents. It will help us escape from culture hegemonies by deviating from Gwangju-localism and Korean-centered mind. The last task is how we fill the contents. The methodology “how” can be achieved through exchange among Asian countries to fill the proper and creative contents in ACC. Since higher quality contents can attract audiences including culture creator and its enjoying person, we hav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in preparing for creative contents construction.

      • KCI등재

        <광주시민 문화예술 욕구조사>의 결과 분석 연구

        류재한(Ryu, Jae-Ha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광주의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던 <광주시민 문화예술 욕구조사>(문화예술관람 및 참여 정도, 지역 문화예술 공간의 이용 경험, 지역축제 등 문화행사 관람 경험, 문화예술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수요 파악 등)의 결과에 관한 분석을 통해 광주시민의 문화의식이 무엇인지, 즉 광주시민의 문화수요가 무엇인지와 그 문화수요에 부응하는 정책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가 도출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시민의 문화시설의 이용도는 경제적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지출비용이 낮은 특정 문화시설의 선호는 광주시민의 열악한 경제 환경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며, 또한 문화욕구를 일으키는 다양한 문화시설이 많지 않음과도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의 문화예술행사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와 동아시아문화도시, 그리고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라는 새로운 도시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도시 브랜드 구축에 있어서 역할이 미흡함을 분석하였다. 셋째, 광주 시민의 문화예술 관련 인식의 차원에서, 광주시민은 문화가 시민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고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 적극적으로 공감하는 것은 광주가 문화예술을 통해 시민의 일상적 삶과 경제적 삶의 질을 높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광주시민의 시민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지원정책은 문화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다양한 문화행사의 지속적인 개최, 문화행사에 대한 홍보 강화를 핵심으로 삼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도시의 이론적 토대로서 인문적 사유

        류재한 ( Ryu Jae-ha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용봉인문논총 Vol.- No.50

        본 연구는 도시의 논리적 토대로서 왜 인문적 사유가 필요한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시는 시민의 삶의 방식을 조직하고 반영하는 공간(다양한 시민과 시민의 다양한 삶 즉 사고와 행동 변화의 과정과 흔적, 즉 `무늬`와 변화의 결과인 문화를 담고 있고, 그것을 읽어낼 수 있는 공간)이니만큼 도시성의 본질은 `인간`이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먼저 도시는 하나의 `텍스트`로 기능함을 살펴보았다. 역사와 이야기, `인문`(人紋)으로 가득 찬 도시는 읽고 해독해 야 할 텍스트이고 시민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사유를 바탕으로 도시-텍스트 읽기를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의지적 산책자 즉 `플라뇌르`이어야 함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시 조성은 인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조명해보았다 도시조성의 최우선 가치가 “공동체 정신의 회복”이라는 사실은 도시 조성에 있어 인문학적 사유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이렇게 `인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조성된 도시는 외적 이미지와 질서정연한 외관만을 중시하는 도시가 아니라 시민으로 하여금 도시의 역사와 이야기로 꿈을 꾸게 하는 도시이다. 이런 맥락에서 도시를 하나의 텍스트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텍스트를 읽어낼 수 있도록 시민 교양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예술 교육 강화와 같은 시민 주도형 문화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하는 당위성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인문적 사유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의 논리적 토대가 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의 기본가치이자 이념인 “신인본도시”의 개념은 인간의 존재다음을 회복하여 문화의 중심에 서는 “주체적 인간”이 넘쳐나는 인간 중심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사업은 현재 이 개념으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조성사업과 전당의 운영 그리고 콘텐츠의 문제 등과 같은 모든 난맥상은 바로 `신인본도시` 개념의 후퇴와 일부 관련이 있음을 지적했다. 광주의 아시아문화도시조성사업의 방향은 “물질적 집합체”로서가 아니라 “정신적 집합체”로서의 도시 만들기로 나아가야 하며, 도시의 이미지를 보여주기에 급급한 나머지 도시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문화도시가 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도 살펴보았다. 결국 획일적인 도시의 외양보다는 인문(人紋)과 인문(人文)의 도시 속에서 인문적 사유의 플라뇌르가 도시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도시의 다양성과 역동성, 그리고 창조성이 기능하게 해야 함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very cause why humanistic thoughts are required as a theoretical base by focusing on the real essence of city. Cities also can be described as a space for structuring the citizens` way of life and reflecting their needs, containing the various types of life for the citizens in the course of thoughts and their behavior change with the trace of life itself that can be transformed to the culture as a space to track down the past. Through this study, it is highlighted that the real nature of city should be based on the human itself. First, cities can be functioned as a text, which is full of interpretable texts, like history, storytelling, and humanistic scripts. Citizens could be flaneurs (= passionate strollers in the city)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ity-text reading, based on their humanistic imagination and thoughts. Second, it is highlighted the city development must be based on the humanistic thoughts. The first value of city development is to restore community spiri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humanistic thoughts, providing citizens with a vision of cities discourse and history, not as a city, full of good trimmed physical appearance. In connection with this context, the cities can be formed to one text, which leads to citizen-oriented culture program. It is natural to develop the citizen education program, and building up the culture/arts education to read the text by providing the shared collective spaces in which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past and present, meet. Finally, it is discussed the humanistic thoughts are logical ground for the Hub-city of Asian Culture Project (hereinafter referred as the HACP). The basic value and ideology of the HACP is to promote “Neo-humanistic City”, full of Independent Humans who could restore the essence of humanities to be the core of culture. In spite of this obvious statement, it is pinpointed the HACP is getting too far from its original value and ideology. With regard to the total problems of the HACP and its Asian Culture Center which lacks contents, it is pointed out the real cause of disorientation is directly related to making a step backwards in making the Neo-humanistic City. S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HACP must be focused on the city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piritual Community, not as the Physical one, which misleads Gwangju City to the physical appearance-oriented city without its proper identity. In conclusion, it is verified that flaneurs with humanistic thoughts must be the key role of the cities in which human touches and humanities can be found rather than standardized ambience of the cities. In doing so, it is necessary for flaneurs to make cities diverse, vital, and creative.

      • KCI등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통한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리빙랩 구축 방향

        류재한 ( Jae-han Ryu ),이예림 ( Ye-rim Lee ),정정호 ( Jung-ho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3

        연구배경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령화 진입 속도를 나타내고 있는 대한민국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 건강문제와 사회·심리적 문제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생활 속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효성 있는 의료서비스 리빙랩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령친화 의료서비스에 대한 현황 진단과, 의료서비스 리빙랩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분석 유형에 따른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노인의 잠재 니즈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리빙랩 구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 ①노인이 직접 운영·관리하는 의료서비스 리빙랩 콘텐츠 개발 ②노인의 건강·의료서비스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 의료서비스 개발 ③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지역 맞춤형 고령친화 의료서비스 개발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고령친화 산업의 사회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며, 노인의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유지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Background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in Korea, which is currently showing the fastest entry rate into a super-aging society in the entire world. In particular, health problem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elderly are continuously worsening. At thi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directionality for effective medical service living lab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the elderly in their actual daily lives. Methods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present condition diagnoses of aging-friendly medical services and medical service living labs and it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lso,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ccording to lifestyle analysis forms of the elderly and it deduced the potential needs of the elderly and conclusively, it was able to propose directionality for the construction of aging-friendly medical service living labs. Result Research results ①developed medical service living lab contents that can be directly operated and managed by the elderly ②developed smart medical services that enhance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③deduced regionally customized aging-friendly medical service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various local institutions. Conclusion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social alternatives of domestic aging-friendly industrie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ontinuous social networks for the elderly, and the management of healthy and active lives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의료 전문직의 역할과 도덕적 덕

        류재한 ( Ryu Jae-han ) 한국윤리학회 2020 윤리학 Vol.9 No.1

        최근 생명의료윤리학에서는 행위 규범의 정당화에 대한 방법론 논쟁이 활발하다. 이 논쟁은 도덕적 행위 및 그 행위의 정당화 문제를 다룬다. 반면에 행위를 수행하는 도덕 행위자를 강조하는 덕 윤리(virtue ethics)는 생명의료윤리학 영역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첨과 췰드리스는 행위자와 관련된 도덕적 덕을 생명의료윤리학이 발생하는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임상 현장에서 의료 전문인이 어떻게 행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료전문직이 갖추어야 할 도덕적 덕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에서 제시된 의료 전문직 윤리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의료 전문직 윤리에서 도덕적 원칙과 도덕적 덕의 상보적인 관계를 체계적으로 제안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ethodological debate on the justification of behavioral norms in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which primarily examines the issues of moral behavior and justification of the same. In contrast, this field of study has rarely dealt with virtue ethics, which emphasizes the moral agents who conduct their behavi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Beauchamp and Childress have continuously discussed moral virtues of the agent since the beginning of biomedical ethics.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behave in the clinical sites, focusing on moral virtues that they should possess.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medical professional ethics described in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n elucidat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oral principles and moral virtues in medical professional ethics.

      • KCI등재

        감성광고와 ‘이야기’의 관계 연구 - 브랜드의 ‘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류재한 ( Ryu Jae-ha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3

        본 연구는 감성광고와 이야기의 관계 분석을 통해 제품과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신념이 ‘이야기’와 만나 어떻게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기술의 발전과 제품의 평준화, 가격의 비차별화로 더 이상 제품의 질과 가격이 제품의 구매 결정요인이 되지 못하는 현대사회에서 제품에 담긴 이야기 즉 감성이 상품 자체가 되고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논의를 시작하였다. 먼저 Ⅱ장에서 감성과 광고와 이야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야기를 파는 감성 마케팅은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 감성적 연결고리를 만들어 소비자의 마음속에 제품에 대한 감성적 가치를 높이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Ⅲ장에서 감성 소비의 ‘주체’로서의 ‘호모나랜스’와 이야기의 감성적 소비를 통한 자기정체성 확인을 살펴보았다. 제품 자체보다는 제품을 감싸고 있는 이야기를 사는 ‘호모나랜스’-소비자는 “나는 쇼핑한다. 고로 존재한다”(I shop, therefore I am)는 명제처럼 자신의 이야기와 부합하는 제품의 이야기를 쇼핑한다. 이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스스로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이어서 Ⅵ장에서는 ‘호모나랜스’의 설득의 방식으로서의 감성광고를 분석해보았다. 호모나랜스-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찾아다니며 자신과 같은 소비자의 이야기를 신뢰하고 기존 콘텐츠의 재구성을 즐기며 이야기 중심에 항상 ‘나’를 둔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호모나랜스-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길은 그들의 이야기와 ‘접속’될 수 있는 감성적 소구의 광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드의 ‘추구가치’의 감성마케팅의 실증적 두가지 사례를 분석해보았다. 애플(Apple)의<관점>(Perspective)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재잘재잘 스쿨버스>(Chatty School Bus) 광고는 브랜드의 추구가치를 창의적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소비자의 감성의 공명을 울리는데 성공한 감성광고였다. 이 두 광고는 기업이 무엇을 만드는지를 말하지 않고 왜 제품을 만드는지를 말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제품 자체보다 기업이 제품을 만드는 이유(추구가치와 신념)의 이야기를 사는 감성광고의 의의를 살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value and belief on the product and its brand with storytelling evoke the consumers emotion through the 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al advertisement and its story. The main motivation of this study starts from the emotion is the main cause of product itself by pinpointing that there are no more discriminative factors to purchase products regarding quality and price caused by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 standardization and price indifference. It is investigated in chapter 2 tha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 advertisement and story, which makes sure that the emotional marketing selling the story enhances the emotional value on the product to consumer’s mind by making emotional connection chain between brand and consumer. In chpter 3, it is researched that verific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the Homo-narans as the principal agent and emotional consumption of story. As in the proposition of Homonarans -I shop, therefore I am, consumers only buy an intrinsic story on the product, not for product itself, which coincides with their story to expose their identities and to verify it. In chapter 4, it i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dvertisement as a tool of persuasion in terms of Homonarans. One main feature has been found that consumer regarding Homonarans is eager to find out story on the product and gives his trust on his sympathizer, enjoying reconfiguration of the story by focusing on the “ I-first” in the stor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the emotional advertisement linking to consumers is necessary to persuade Homonarans-consumers and to evoke their purchasing mind. In chapter 5, it is analyzed that two empirical examples regarding the target value of each brand through its storytelling. Advertisements as in Apple “Perspective” and Hyundai Motor Group “Chatty School Bus” are the exemplary emotional advertisement cases to evoke consumer’s mind by making creative storytelling to achieve their target value to be achieved. From those successful advertisements, it is realized that company makes product for good reason, not for just producing. Through this study, it is a good chance to find out why the consumer buys a story closely related to the target value and its belief to be achieved, not buy a product itself.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비계 덩어리 Boule de suif』 속에 나타난 '전쟁'의 이중성 연구

        류재한(RYU Jae-Ha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프랑스문화연구 Vol.20 No.-

        Nous avons vu jusqu'ici comment trois guerres et la dualité de celle-ci, qui se réalisent dans Boule de suif, permettent à cette nouvelle d'avoir un grand succès littéraire. Nous avons analysé plus concrètememt comment trois guerres -trois invasions comiques- se déroulent et comment la dualité de la guerre -l'aspect comique et l'aspect tragique- se répond? En résumé, nous pouvons dire que Boule de suif met en évidence la dualité de la guerre à travers trois guerres comiques, la guerre franco-prussienne, la guerre intérieure entre collaborateurs et résistants, et la guerre des sex entre l'officier prussien et Boule de suif, basée sur les premières deux guerres. Maupassant crée l'effet de réel, qui n'est d'autre chose que la vérité, à travers le désintéressement vonlontaire ‘non-patriotique’. L'humour noir et la façon dont celui-là se révèle -ce qui réveille le lecteur de son rêve- sont également le dispositif du roman qui permet au lecteur de voir la réalité de la guerre. Boule de suif montre le double aspect -tragique et comique- de la guerre. Cela veut dire que ‘l'ennemi se trouve à l'intérieur de nos propres camps' et qu'il faudrait une conspiration à la suite de laquelle on rend cet ennemi au vrai ennemi. En d'autres termes, les français, qui doivent se battre contre ses adversaires, battent Boule de suif en conspirant discrètement contre son propre pays avec l'ennemi. L'aspect comique de la guerre se trouve ainsi dans le renversement de l'ennemi, et c'est justement là que le lecteur rencontre l'aspect tragiaue de la guerre. De là provient l'humour noir, l'ironie de cette nouvelle. C'est à travers cela que Maupassant dénonce la dualité de la guerre dans Boule de suif.

      • KCI등재

        모파상 작품에 나타난 사진기적 구조의 서술적 기능

        류재한 ( Jae Han Ryu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6 불어불문학연구 Vol.33 No.1

        Le XIXe sie`cle est un sie`cle tre`s inte´ressant a` e´tudier du point de vue de la question de la <reproduction>, dans la mesure ou` l`invention de la machine a` vapeur permet de reproduire l`e´nergie et celle de l`apparel photogaphique de reproduire le re´el. L`influence de la photographie qui peut e^tre caracte´rise´e par <pre´cision> et <objectivite´> sur la litte´rature, en particulier le roman re´aliste, est conside´rable a` tel point que les e´crivains du temps (notamment Victor Hugo et Emile Zola) s`y re´fe`rent souvent a` la fois comme ≪une technique d`investigation du re´el≫ et comme une occasion de re´flexion sur leur propre e´criture. Certains textes de Maupassant et la technique photographique sont unis par des affinite´s profondes. Maupassant utilise cette technique avec une forte ve´he´mence jusqu`a` soumettre son e´criture a` la structure photographique pour reproduire le re´el : il commence par l`installation des chambres et des maisons comme la <chambre noire> pour ensuite y <de´velopper>, par conse´quent raconter le re´cit. Dans l`oeuvre maupassantienne l`≪effet de re´el≫ ne provient pas de ≪la photographie banale de la vie≫, c`est-a`-dire de la reproduction exacte du re´el, mais de la forme de son e´criture qui est une forme de l`appareil photographique. C`est par cette forme que Maupassant saisit et reproduit le re´el avec une <pre´cision photographique> de ses observations. D`ou`, chez le lecteur, l`accroissement de l`<effet de croyance> vis-a`-vis de l`auteur. Son effort de mettre au point la forme de son e´criture n`est-il pas celui d`e´crire un <nouveau roma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