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일 대학의 영상관련학과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류재만 공주영상정보대학 1999 논문집 Vol.6 No.-

        각 대학은 나름대로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고 학과 또한 대학의 교육목적과 목표에 부합되는 학과 교육목적과 목표를 갖고 있어 학과는 그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편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 서두르지 말고 연구·검토하여 풀어 나가 가장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금동호 교수는 전문대학에서의 예술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상정하고 있다. 전문대학의 학제상의 성격을 반영하여 중견 직업인에 초점을 두어서 예술분야에서의 <중견 직업인 육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교육목적을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예술 분야에서의 중견 직업인>이라는 것을 어떻게 개념화하며 대학에서의 예술교육과 구분하여 그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가 제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견 직업인의 육성과 관련하여 전문대학은 예술분야에서의 기술의 개발과 적용(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이라는 속성도 교육목적과 관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문직업 분야에서의 중견직업인이라는 개념이 예술분야에서 적절하게 적용되기 어렵다는 입장과 예술분야에서의 중견직업인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고 또 하여야 한다는 입장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학제에 관계없이 예술의 전문성이던, 예술분야의 중견 직업인이건 간에 양자간의 목표달성을 위한 교과과정 수립에는 심화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범위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안수근 교수는 위의 관점에서 후자가 관점을 수용하여 교육과정도 영상실무에 종사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다방면의 백화점식 교육과정 편성보다는 영상실무 분야의 영역을 집중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알 수 있듯이 대학의 영상교육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영상관련 업계의 의견이 대학의 교과과정 수립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져 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관련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방송 및 영상산업과의 산학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영상관련 교육은 방송 및 영상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영상관련 교과과정 수립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 영상관련 산업발전의 초기 단계에 있어 영상 관련 전공 교수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영상관련 교육역사의 일천함으로 인하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철학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대학과 영상관련 업계의 영상관련 교육 프로그램간에 체계적 연결 고리가 없어 산학 협동의 추진이 미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영상관련 교육이 지향하는 확실한 교육목표의 설정과 방송 및 영상 관련 업계와의 지속적 정보교환 체계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방송 및 영상관련 학과의 현실 적응성 등을 분석하여 교과과정이 효율적으로 편성되도록 개선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간과해서는 안될 점들을 열거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전문대학의 수업 연한이 2년에서 3년 과정으로 변화됨에 따라 예능계열에 속하는 방송 및 비디오 관련 학과는 학과의 특성을 살리는 특성화 프로그램에 의해 전공과목의 심화과정을 갖도록 해야 한다. 보다 전문화되고 예술관련 학과로서의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과별 차별화 또는 계열별 특성화를 통해 현실 적응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보다 현실적이고 전문적인 실습과정을 갖기 위해서는 강좌의 전문화, 특성화뿐만 아니라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확보와 영상관련 산업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의 신속한 입수와 학습여건 마련이 필요하며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긴밀한 산학협동에 의하며 적극적으로 보완되어 현업에서의 주문식 교과과정 요구에 의한 교과목 개설도 적극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상관련 산업의 획기적 발전 추세에 맞추어 확대되고 있는 각종 영상관련 업체에의 입사 조건이 완화되어야 한다. 민영TV의 확대, CATV의 등장, 위성방송 시대로의 도입으로 영상관련 학문을 전공한 전문대학 출신자들의 취업기회가 많아진 것은 사실이나, 공중파 방송국을 비롯한 주요 영상관련 업체들은 여전히 일반대학 출신자들로 입사지원 자격을 제한하고 있는 현실이므로 전문대학 출신자들이 <중견직업인>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제한이 풀려야 한다. 넷째, 본 논문의 조사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영상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직업인들은 항상 새로운 매체에의 갈등과 신기술에 대한 의욕을 갖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개발, 또한 적극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이러한 개선점들이 단계적으로 해결이 될 경우 긍정적인 방향의 또 다른 영상매체에 대한 수요가 일어날 것이며 이에 따라 전문대학도 관련 산업과 함께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포스트 모던 사회에서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새로운 모색

        류재만 韓國美術敎科敎育學會 1995 師鄕美術敎育論叢 Vol.3 No.-

        Today, it is entered to late industrial society from industrial society. Breaking from industrial society specialized as large-production, we are entered in late industrial society now. It can be understood our society rationally and scientifically into standardized & fixed frame now. Therefore, we can forecast the metter of our society and we purse the rationalism. Getting out of standardized & fixed form of the each field of the society and rationalism, the future society is impossible to forecast. For upbringing open-handed person needed in the modern society, where is impossible to estimate because of getting out of rationalism, the fine art education of our society shall be done new attempt avoid from uniform & standard school lessons type now. It is the time to make an attempt new approach in the fine art education avoid from uniform & standard school lessons type. We have to approach & research the metters newly in primary grade school education such as "Space of fine art study" "Management of education process" "Fine art teaching method", "Study materials" "Use of audio-visual education materials"... This is the time to search new approach with need strong-will & efforts of the teachers from the fixed idea in authoritative & closed education spot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