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평가모형 개발

        류영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인성평가모형 개발을 통해 새롭게 제정·발효된 인성교육진흥법에 의해 구성되는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과정의 개발 및 인성교육 평가지표 구성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대학교와 특수목적고교 등에서 인성인재 선발을 위한 인성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인성중심의 인재 선발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했다. 이를 위한 4단계의 평가모형 타당화 확보 절차는 첫째, 전문가 협의회와 교사위촉사정관의 간담회를 통한 브레인스토밍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성평가요소 및 평가상황, 평가문항을 도출했다. 둘째, 고교 교사 자문단의 서면자문을 통해 인성평가요소 및 평가상황, 평가문항에 대해 정리했다. 셋째,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고교 교육과정에서 중요시되는 인성평가요소와 대학인재상 및 학생부에 기반한 인성평가요소를 분석하고, 각 평가상황의 의의, 장단점 및 효율성을 분석했다. 넷째,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통합적으로 평가요소와 평가상황을 설정하고 면접 평가문항, 평가영역, 평가비율을 최종 확정하여 인성평가모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성평가모형에서의 인성은 주체성, 공동체성, 전체성으로 개념적 정의를 했다. 둘째, 인성평가모형은 다단계 평가모형으로 봉사활동, 협동활동, 그룹면접, 개별면접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셋째, 그룹면접의 평가내용은 주체성영역의 책임감, 자기주도성, 공동체성 영역의 나눔, 배려, 협력, 갈등관리, 전체성 영역의 가치관, 보편원리 이해, 타인존중, 관계지향성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개별면접의 평가내용은 문제해결력, 전공적합성, 서류내용의 진실성 및 가치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for human nature central student selection, etc.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was conducted in the aim of ensuring the validity of personality centered student selection. Therefore the four-step procedure, first, the situation of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t council and teachers commissioned appraiser brainstorming through the meeting with leading research and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 evaluation, was to derive the evaluation questions. Second, the situation of evaluation and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s through an advisory written of a high school teacher advisory committee, was consulted for the evaluation questions. Third, by analyzing the personality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personality evaluation elements and university human resources image and the student section, which is important in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expert council, the significance of each evaluation situation,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 have to analyze the efficiency. Fourth, set the evaluation sulfur and integrated assessment element through the expert council, and the interview evaluation question by finalized developed a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oughness in personality evaluation model is independence, community property, a conceptual definition to integrity death. Second, personality model, volunteer activities as a multi-level evaluation model, cooperation activities, group interview, made up of individual interview of the order. Third, the evaluation contents of the group interview is the esponsibility of the area of independence, self-leadership, and sharing of community region, to understand compassion, cooperation, conflict management, values of the entire region, the universal principle, respect others, and configured in relation directivity. Fourth,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interview, problem solving skills, major compatibility, is composed of truth and value of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 KCI등재

        다문화 교육 연수 수강교원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경남 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영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6 다문화사회연구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을 위해 경남 교육청 주관의 다문화 교육 연수를 받은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연수, 다문화 교육정책의 과제,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학생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두 번째로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다문화교육연수 수강 교원의 인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과, 한국어, 담임, 중도⋅외국인 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경우에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다문화 연수 방향이 강의 방식에서 체험연수 방식으로의 조정과 전환이 요구되었다. 셋째, 다문화 업무 담당자의 승진⋅이동점수 필요성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별도의 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수준별 자료개발 미흡과 교원의 인식 미흡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 교육 자료 개발 목표역량은 대인관계역량과 문제해결력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to derive the challenges, implications for student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nam Department of Education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who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id. First, review the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and through a second questionnaire aimed at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eachers as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tudents, Korean, senior, severe and recognize if there is a foreign student instruction experience than the other students. Second, the cultural orientation training was required adjustment and transition to experience training methods in teaching methods. Third,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business representatives, the need to move scores are negatively showed that require additional compensation. Fourth, the factor that inhibits activ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erceived lack of resources and lack of teacher development. Fifth,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aterials development objectives were as problem solving and interpersonal skills.

      • KCI등재후보

        입학전형, 성별에 따른 대학 재학생의 진로·학업·시민역량 및 생활적응 차이 분석

        류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admission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gender, career capacity, civic competence, academic a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dmission selection of college students to career capacity, academic capac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competence’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choosing major in career competency item. Among the academic capacity items, the degree of helping high school students to go to college was higher than usual at any time.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higher than usual at all times in faculty, curriculum, scholarship and welfare benefits, and school fac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gen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difference of civic capacity, academic capacity,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citizen's good citizen requirement was higher than male in all item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academic capacity items, male college class activitie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class time question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tasks. Unusually, the neglect of college classe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lagiarism and spellings of homework and cheating. Expectations for changes in living standards during university adjustment showed that men were higher than women. 본 연구는 수시와 정시에 대한 비율 조정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을 기반으로 경기교육종단연구 고등학생패널 진로진학조사항목 1~4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 분석하여 대학 재학생의 입학전형, 성별로 인한 학생들의 진로역량, 시민역량,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수시와 정시 전형 비율 조정논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생의 입학전형이 진로역량,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역량항목 중 전공 선택이유는 모두 ‘적성’이 가장 높았다. 학업역량 항목 중 고교 수업의 대학 진학 도움 정도는 수시가 정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 중 대학 만족도는 교수진, 커리큘럼, 장학금 및 복지혜택, 학교시설의 모든 항목에서 수시가 정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생의 성별이 시민역량 및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시민역량의 좋은 시민요건은 모든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반면에 학업역량 항목 중 대학수업 활동은 수업시간 질문, 그룹과제 적극 참여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특이하게도 대학 수업 태만 항목도 과제물 표절 및 대필, 시험 부정행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과 생활수준 변화에 대한 기대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 비교를 통한 혁신학교 성과분석: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류영철,신윤경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happiness school and non-innovation school, which are Gyeongnam type innovation schools, with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on schools.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all secondary school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4,219 students who responded sincerely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deri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was higher than non-innovative schools in terms of school hours and dress code satisfaction. Second, the community of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had higher happiness schools than non-innovative schools in the treatment of teachers' fairness, teachers' kindness and openness, teachers'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students, respect and consideration among students, peer cooperation, and the failure to develop school violence. Third, in terms of class and study evaluation, happiness schools were higher than non-innovative schools in terms of class concentration, use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reading activities, raising interest, student-centered class weight, satisfaction with class methods, and proportion of narr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Fourth, happiness schools were higher than non-innovative schools in terms of improving academic competency, activeness of questions, improving attitude of classes,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improving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본 연구는 경남형 혁신학교인 행복학교와 비혁신학교를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성과를 비교분석하여 혁신학교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실시했다. 이를 위해 경남 모든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했으며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4,219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민주적 학교운영은 등교시간 및 복장규정 만족에서 행복학교가 비혁신학교보다 높았다. 둘째, 소통과 배려의 공동체는 교사의 학생공평 대우, 교사의 친절·개방, 교사의 학생이해·존중, 학생 간 존중·배려, 또래 간 협력, 학교폭력 미발생에서 행복학교가 비혁신학교 보다 높았다. 셋째, 수업 및 학습평가는 수업시간 집중, 다양한 수업방법·자료 활용, 수업참여·독서활동 적극성, 흥미제고, 학생중심 수업비중, 수업방식 만족, 서술식 수행평가 비중에서 행복학교가 비혁신학교보다 높았다. 넷째, 학업역량 및 진로역량은 학업역량 향상, 질문의 적극성, 수업태도 개선, 자기주도학습역량향상,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서 행복학교가 비혁신학교보다 높았다.

      • KCI등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역량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류영철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of digital competence of adult learners in continuing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and provide a basis for continuous academic improvement of adult learners in continuing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tructuring of comparative programs, career redesign, redesign of programs before admission and during enrollment, and exploration of basic learning diagnosis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the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t Y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ate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rate of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assignment collaboration using KakaoTalk and Naver Band was high, but the mean and positive rate of data collection using academic specialized sites and report submission verified by plagiarism checking tools were low. Second, the results of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differences in age, grade, entrance examination type, and high school graduation type. The younger age group (30s and 40s) had a higher mean than the older age group (60s and 70s). Higher grades (3rd and 4th) were more average than lower grades (1st). By admission type, transfer students had a higher average than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high school graduation type,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had a higher average than GED and adult learning high school graduates.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r digital tool utiliz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kill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In particular, utilization of academic specialized sites and verification of plagiarism checking tool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port writing and submission. 본 연구는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변수 분석을 통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지속적 학업제고, 비교과 프로그램 구조화, 진로 재설계, 입학 전과 재학 중 프로그램 재설계, 기초학습진단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 제공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Y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빈도분석의 긍정률과 기술통계 결과에서는 카카오톡과 네이버밴드를 이용한 과제협업 수행가능성의 긍정률은 높았으나 학술 전문사이트를 이용한 자료 수집과 표절 검사 도구로 검증한 보고서 제출의 평균과 긍정률은 낮았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에서는 연령, 학년, 입학전형, 고교졸업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은 젊은 연령(30, 40대)이 노령(60, 70대)보다 더 평균이 높았다. 학년은 고학년(3, 4학년)이 저학년(1학년)보다 더 평균이 높았다. 입학전형은 편입전형이 일반전형보다 평균이 더 높았다. 고교졸업유형은 일반고와 특성화고 출신이 검정고시와 성인학습고 출신보다 평균이 더 높았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디지털 도구 활용과 정보관리 능력이 높을수록 보고서 작성과 제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술전문사이트 활용, 표절검사도구 검증이 보고서 작성과 제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후보

        영․유아 현장전문가 인식차이 분석을 통한 유보통합 방안 연구

        류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teachers who are field experts in Gyeongnam area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FGI) as a basic research for integration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for the purpose of seeking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child care.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easures for management (administrative, evaluation, and financial) integration? Second, what is the plan for human integration? Third, what is the way to integrat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unify management departments or review the establishment of a third institution for management integr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national and local institutions, teacher qualifications, and evaluations first, and financial accounting and legal amendments should be integrated step by step. Second, to review and qualify childcare qualifications for human integration, the cyber course should be strengthened by strengthening on-the-job training, complementing the lack of environment, maintaining the broadcasting network, and unifying with the department. Needs to be. Third, in order to integrate the curriculum, after-school courses in the Nursing course need to specify guidelines and ceilings of the instit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young and infant field specialist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superiority and qualification of education amo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workers of daycare center, the necessity of additional necessity of day care courses,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eacher's treatment. The expansion of kindergartens and the link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contents of concrete opinions. 본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에 대한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질적 연구방법(FGI)을 통해 경남지역의 현장 전문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의 인식의 차이와 내용을 통해 통합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유아교육 및 보육 통합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방안과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했다.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관리(행정, 평가, 재정)통합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인적 통합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 통합을 위해 교육부로 관리부처를 일원화하거나 제3의 기관 신설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국공립 기관, 교사자격, 평가를 먼저 통합하고 재무회계, 법률 개정은 단계별로 통합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적 통합을 위해 보육자격과정을 재검토 및 실습을 강화하고, 사이버과정은 현장실습을 강화하여 환경의 미흡을 보완하고, 방송통신대는 유지하며, 학과제로 일원화하고, 보육교사교육원은 기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통합을 위해 누리과정 내 방과 후 과정은 기관의 학습 지양 지침과 상한액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현장전문가의 인식차이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과 보육기관 종사자간 학력의 우월의식과 자격지심의 격차, 보육과목 추가 필수화 필요성, 교사양성과정 및 교원처우 개선, 누리과정 방과 후 학습방향, 단설 유치원 확대 및 한글교육 연계 등의 인식차이 및 구체적 의견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함축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 영향평가 연구: C대학을 중심으로

        류영철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tutoring and how it influences the admission centered on C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nfluences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rivate tutoring and university admission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enrolled in regular admission were the ones who had the most private tutoring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 perceptions and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by the elementary factors, essay writing tutoring & high school grades & SAT were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urden degree of the application documents, Personal Statement for university of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was the highest. For better admission system the current policy will need to work on reliev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who enter the school by taking the students’ curriculum, essay writing, and SAT. 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should find ways to minimize burdensome requir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mission type of foreign language and examine the contraction or the abolition, the admission type of opportunity Equality and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본 연구는 C대학교의 재학생을 중심으로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의 실태와 사교육 영향요소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교육의 영향요소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별로 사교육 유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재학생의 경우가 사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다. 둘째, 전형요소별 재학생 인식과 사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수능 및 내신, 논술 전형요소가 가장 높은 사교육 비율을 보였다. 셋째, 입학전형 제출서류에 대한 부담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제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고,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중 자기소개서가 사교육을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입학전형 정책은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수능으로 입학하는 학생들의 사교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은 자기소개서를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자기소개서 문항 개수의 최소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어학특기자전형은 폐지하거나 축소를 검토하고, 상대적으로 사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고른기회전형, 사회배려자전형 등의 정원 내 선발과 인원 확대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간 종단연구

        류영철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입학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을 비교해 보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대학생활은 학업성적과 교내활동 참여, 장학금 횟수를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연구대상은 C대학교의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입학생중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업성적의 평균변화율은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교내활동 참여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입학생들이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장학금 횟수는 입학사정관제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wly introduced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to compare the new students, admissions officers on the basis of that study to make use of the benefits of screening, the downside is suggesting complementary began in the spirit.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alyz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cholarships. Methods of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study of C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in the academic year 2009 and 2010 school year, students entering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screening randomized to screening was conducted by entrants. Analysi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achiev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dmissions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new students are more actively involved as entrants showed. Finally, the number of scholarships is whether the admissions offic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