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류영철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Jihye School, an alternative school that uses reading education as the main educational metho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and nine students from Jihye School.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method after transcrip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Jihye School. First, the curriculum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of essential and optional subjects, the possibility of a no-grade system,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focus on career activities, and the school shutdown in the event of school violence. Second, the educational goal was to develop the power to think, led by cultivating humanities' thinking ability, and the ultimate goal was to acquire self-language based on self-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from general schools in reading autonomy, internal motivation enhancement, and cooperation with peer groups, which leads to the aim of a daily reading culture. Third, the educational method conducted the reading seminar as the main method,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selecting optional classe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ustomized individual students, ubiquitous reading environment, learning in the midst of silence, free questions, and continuous teacher training. Fourth,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dividuals conducted general evaluation through formation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essays, and supplemented individual evaluation to conduct shared evaluation among students, and evaluation as a festival through Wisdom Day. Fifth, the educational effect was not entrance examination, but real study, language purification, cultivation of good character, the pursuit of other intelligent sex with great knowledge and university were not essential but cho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교육을 주된 교육방법으로 활용하는 대안학교인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해 독서교육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혜학교 교원 3명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전사 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혜학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교육과정은 필수와 선택과목 구성, 무학년제 가능, 교사와 학생의 수평적 관계, 진로활동 중점, 학폭발생 시 학교 셧다운의 특징을 보였다. 둘째, 교육목표는 인문학적 사유능력 함양을 필두로 독서는 생각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도구이며, 자기해석을 바탕으로 한 자기언어획득이 궁극적 목표이었다. 또한 독서의 자율성, 내적동기 신장, 또래집단과의 협력에서 일반학교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일상적 독서문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셋째, 교육방법은 독서세미나를 주된 방법으로 진행하며 교사와 학생 간 협의를 통한 선택수업 선정, 개별학생 맞춤형, 유비쿼터스적 독서환경, 묵학, 자유로운 질문, 지속적 교사연수 실시의 특징을 보였다. 넷째, 교육평가에서 개인은 형성평가, 자기평가, 에세이를 통한 총괄평가를 진행하고 개인평가를 보충해서 학생들끼리 공유평가 실시, 지혜의 날을 통한 축제로서의 평가의 특징을 보였다. 다섯째, 교육효과는 입시가 아닌 진짜공부, 언어순화, 바른 인성함양, 지적인 이성흠모, 대학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었다.

      • KCI등재후보

        입학전형, 성별에 따른 대학 재학생의 진로·학업·시민역량 및 생활적응 차이 분석

        류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admission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gender, career capacity, civic competence, academic a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dmission selection of college students to career capacity, academic capac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competence’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choosing major in career competency item. Among the academic capacity items, the degree of helping high school students to go to college was higher than usual at any time.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higher than usual at all times in faculty, curriculum, scholarship and welfare benefits, and school fac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gen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difference of civic capacity, academic capacity,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citizen's good citizen requirement was higher than male in all item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academic capacity items, male college class activitie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class time question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group tasks. Unusually, the neglect of college classe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lagiarism and spellings of homework and cheating. Expectations for changes in living standards during university adjustment showed that men were higher than women. 본 연구는 수시와 정시에 대한 비율 조정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을 기반으로 경기교육종단연구 고등학생패널 진로진학조사항목 1~4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 분석하여 대학 재학생의 입학전형, 성별로 인한 학생들의 진로역량, 시민역량,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수시와 정시 전형 비율 조정논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생의 입학전형이 진로역량,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역량항목 중 전공 선택이유는 모두 ‘적성’이 가장 높았다. 학업역량 항목 중 고교 수업의 대학 진학 도움 정도는 수시가 정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 중 대학 만족도는 교수진, 커리큘럼, 장학금 및 복지혜택, 학교시설의 모든 항목에서 수시가 정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생의 성별이 시민역량 및 학업역량, 대학생활 적응 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시민역량의 좋은 시민요건은 모든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반면에 학업역량 항목 중 대학수업 활동은 수업시간 질문, 그룹과제 적극 참여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특이하게도 대학 수업 태만 항목도 과제물 표절 및 대필, 시험 부정행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과 생활수준 변화에 대한 기대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 영향평가 연구: C대학을 중심으로

        류영철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tutoring and how it influences the admission centered on C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nfluences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rivate tutoring and university admission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enrolled in regular admission were the ones who had the most private tutoring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 perceptions and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by the elementary factors, essay writing tutoring & high school grades & SAT were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urden degree of the application documents, Personal Statement for university of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was the highest. For better admission system the current policy will need to work on reliev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who enter the school by taking the students’ curriculum, essay writing, and SAT. 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should find ways to minimize burdensome requir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mission type of foreign language and examine the contraction or the abolition, the admission type of opportunity Equality and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본 연구는 C대학교의 재학생을 중심으로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의 실태와 사교육 영향요소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교육의 영향요소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별로 사교육 유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재학생의 경우가 사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다. 둘째, 전형요소별 재학생 인식과 사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수능 및 내신, 논술 전형요소가 가장 높은 사교육 비율을 보였다. 셋째, 입학전형 제출서류에 대한 부담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제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고,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중 자기소개서가 사교육을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입학전형 정책은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수능으로 입학하는 학생들의 사교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은 자기소개서를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자기소개서 문항 개수의 최소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어학특기자전형은 폐지하거나 축소를 검토하고, 상대적으로 사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고른기회전형, 사회배려자전형 등의 정원 내 선발과 인원 확대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다문화 교육 연수 수강교원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경남 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영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6 다문화사회연구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을 위해 경남 교육청 주관의 다문화 교육 연수를 받은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연수, 다문화 교육정책의 과제,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학생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두 번째로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다문화교육연수 수강 교원의 인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과, 한국어, 담임, 중도⋅외국인 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경우에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다문화 연수 방향이 강의 방식에서 체험연수 방식으로의 조정과 전환이 요구되었다. 셋째, 다문화 업무 담당자의 승진⋅이동점수 필요성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별도의 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수준별 자료개발 미흡과 교원의 인식 미흡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 교육 자료 개발 목표역량은 대인관계역량과 문제해결력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to derive the challenges, implications for student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nam Department of Education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who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id. First, review the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and through a second questionnaire aimed at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eachers as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tudents, Korean, senior, severe and recognize if there is a foreign student instruction experience than the other students. Second, the cultural orientation training was required adjustment and transition to experience training methods in teaching methods. Third,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business representatives, the need to move scores are negatively showed that require additional compensation. Fourth, the factor that inhibits activ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erceived lack of resources and lack of teacher development. Fifth,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aterials development objectives were as problem solving and interpersonal skills.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류영철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competencies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to identify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s needed to select future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This model is also needed for use withi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evaluations for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draft of 5 competency groups and a competency model with 19 competencie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interviews and open surveys. 58 competencies were derived from these activities and examined by an internal expert. Second, a draft comprised of 19 competencies was confirmed by subjecting it to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method. Third, a survey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was conducted. Lastly, the fin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putting it through the second round of the Delphi method with an external efficiency expert.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study produced a competence model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composed of the following 3 competency categories: knowledge of theory, job execution, and attitude qualifications; and the following 12 competency elements: counseling skills, examination skills, guidance skills, program planning skills, program management skills, work administration handling skills, network skills, teaching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personal management skills, lifelong edu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Second, 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average of the required levels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was 4.91 points a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s average was 3.93, demonstrating that on average performances are lower than the required levels. Third, the required levels and the performance lev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competence model grid which revealed that the skill most in demand was the counseling (empathy) skill. And finally, analysis showed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required and performance levels according to school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formation skill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between the information skills and the network skills among high school types.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을 개발하고, 현장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여 추후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선발, (재)교육, 평가에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다음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 진로진학상담교사 면접, 개방형 설문을 이용하여 58개의 역량을 도출하고 내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5개 역량군, 19개 역량을 초안으로 개발했다. 둘째, 역량모형 초안을 델파이 1차 내용 타당화를 이용해, 역량모형은 5개 역량군, 19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델파이를 이용해 개발된 역량모형을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했다. 넷째, 델파이를 이용해 개발된 역량모형을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활용한 2차 내용 타당화와 외부 전문가의 평가를 활용하여 최종 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은 이론지식, 직무수행, 태도자질의 3개의 역량범주와 상담역량, 검사역량, 지도역량, 프로그램 기획역량, 프로그램 운영역량, 행정업무처리역량, 네트워크역량, 강의역량, 정보처리역량, 개인관리역량, 평생학습역량, 커뮤니케이션역량의 12개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필요수준은 평균 4.91점, 수행수준은 평균 3.93점으로, 필요수준이 수행수준에 비해 높았다. 셋째, 역량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분석은 역량모형 격자도를 활용했다. 필요수준은 높으나 수행수준은 낮아서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역량은 상담역량(공감역량)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교와 중학교, 고교유형에 따른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했다. 고교와 중학교는 정보처리역량에서, 고교유형에 따른 차이는 정보처리역량, 네트워크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혁신학교 교직원 회의 문화특질에 대한 해석적 분석

        류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경남형 혁신학교인 행복학교에서 교직원 회의의 문화특질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발전적이고 민주적 학교 운영으로 소통과 협력의 학교 공동체를 정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초등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 문화의 주요한 특질은 무엇인가? 와 중등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 문화의 주요한 특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여 해석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주요 특질을 분석했다. 초중등 행복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교직원 회의의 특질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는 개방적이었다. 둘째,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는 수평적 조직문화를 보였다. 셋째,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에서는 구성원에게 의사결정권한이 분산되어 있었다. 넷째, 행복학교는 교직원 회의를 통해 갈등해결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학교 급별로 상이한 행복학교 교직원 회의의 특질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의 경우 구성원간의 ‘관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중학교의 경우 ‘업무’에 보다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nalyz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etings at the happiness school of Gyeongnam Type Innovation School in order to establish a school community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more advanced and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To this end, what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happiness school faculty meeting? What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of the Secondary Happiness School faculty meeting? And analyzed the main characteristics using analy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appy school faculty meeting was open. Second, the happiness school faculty meeting showe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the decision - making powers were distributed to the members in the happy school faculty meeting. Fourth, happiness school is trying to resolve conflict through faculty me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tendency to concentrate on ‘relationship’ among memb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tend to focus more on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