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류승아,김경미,한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0 No.3

        It is well known that personality and situation which person possess have an impa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though most of studies on cultural self-construal have used the concept of individual/collectivism (independent/interdependent) scale, a part of research showed that it was not similar results when the concepts were used with Korean samples. We applied new scale, subjective-objective self, to our study. Two hundred eighty three participants (M = 21.66) participated in the present research. We found that persons with higher subjective self used more problem solving and seeking help, and less denial coping methods. Next, the higher subjective self influenced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the coping methods of problem solving and seeking help influenced more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higher objective self than did among people with higher subjective self.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의 차이는 개인의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이 가지는 특성 중 문화적 자기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의 관계가 달라지는 지에 대하여는 확인된 바 없다. 기존의 문화적 자기관으로 대표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또는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는 한국인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인 주체성-대상성 자기를 기준으로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설문은 총 283부이며,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21.66세(SD = 1.46)이며, 남자는 125명(44%), 여자는 158명(55.8%)이었다. 설문은 행복, 대인관계 만족도, 주체성-대상성 자기,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문제해결, 조력추구, 소망적사고, 부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주체성 자기가 대상성 자기보다 우세한 집단이 문제해결, 조력추구를 많이 사용하였고, 부인은 적게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주체성 자기가 대상성 자기보다 강할수록 행복과 대인관계 만족도는 높았다. 마지막으로, 대상성 자기 우세 집단이 주체성 자기 우세 집단보다 문제해결과 조력추구의 대처방식에 있어서 행복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의 한국 문화의 이론적 적용과 실제적 활용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류승아,김경미,최인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7 No.4

        Leisure is an important role on happiness and health in midlife.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using a longitudinal method in Korea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isure on happiness and health.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time for leisure activities on happiness(SHS) and health-related variables(psychological symptoms, physical symptoms, and quality of sleep) in middle aged adults(40-65 years) by longitudinal data.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0 months' interval and total 145 respondents(M=49.45) participated in both surve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at both leisure satisfaction and time for leisure activities in the first time have an effect on happines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the second time after controlling for each happiness and health variables in the first time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We foun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d beneficially on happiness(SHS),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sleep after 10-month. Similarly, time for leisure activities had effect on happiness(SHS), psychological symptoms, and physical symptoms after 10-month.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여가생활은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여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지 못하여 그 인과관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나 평균 수명이 80세에 달하는 오늘날 중년기는 노년기 못지않게 새로운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의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총 145명으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중년기에 해당하였다. 설문은 10개월을 간격으로 재실시 되었으며, 여가생활에 관한 질문은 여가만족도와 여가참여시간을 조사하였다. 행복과 건강에 관한 설문 내용은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건강 불편증상, 신체적 건강 불편증상, 및 수면의 질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방법은 위계적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1차 조사 시기의 여가만족도와 여가참여시간이 1차 때의 각 종속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2차 시기의 종속변인에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여가만족도는 10개월 후의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건강 불편증상, 그리고 수면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참여시간은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및 신체적 건강 불편증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과거 비행피해 경험과 공동체 의식이 정서 및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류승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Victimized experiences in adolescents could result in critical problem even after long time. Especially, considering on develop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we have to look after negative effects in the aftermath of the experiences. Also, sense of community has been known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in adolescent’s development. Current study examine the effect of victimized experiences in the aftermath of the incidents and of sense of community on emotional(inattention, aggression, withdrawa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symptoms, subjective evaluation) development in adolescents. The total 1543 respondents (experienced group is 187 students and no-experienced group is 1356 people) participated in three times for three years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d group was higher inattention, aggression, withdrawal, depression, symptoms and lower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than the counterpart group. Further, SOC had an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s.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청소년들의 비행피해 경험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치명적인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다면, 비행피해 경험이 지속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공동체 의식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이 역시 청소년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년간 3차례에 걸친 청소년 패널 자료(KCYPS)를 바탕으로 과거 비행피해 경험과 공동체 의식이 청소년들의 정서(주의산만,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삶의 만족도) 및 신체(신체 불편 증상, 건강상태 자가 평가)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연구가 진행된 3년간 비행가해 경험은 없고, 지난 1년간은 비행피해 경험이 없지만 그 전 2년 동안 피해 경험이 있는 총 1543명이었다. 분석결과, 해당 학생들은 지난 1년간의 피해를 받지 않은 공백 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시기 비행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정서와 신체 발달이 유의미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의식은 비행피해 경험 유무와 2년 전의 정서 및 신체 발달 변인들을 통제하였음에도, 정서 및 신체 발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청소년 비행피해의 후유증에 대한 관심 및 방안과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이 정신장애인들의 직업능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류승아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1

        Attitude towar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plays a crucial role on the rehabilitation for them. In particular, the attitude of employability toward them influences getting and maintaining their job. The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such an attitude has been considered contact experience with people who have suffered from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employability towar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ct (family, friends, volunteer, and in publics), frequency, and perceptions with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593 graduate students and the measurement for the attitude of employability was reconstructed from 'attitudes towards the employability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cale'(Hand & Tryssenaar, 2006) by using factor analysis. This study’s findings demonstrated (1) that students think the most strongly that employers are resistant to hiring worker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whereas they agree the most that income can chang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2) that students who hav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as family members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s, whereas ones who have contacted them in public answered the most negative responses, and (3) that positive impression from the contact experience resulted in favorable and better attitudes for the employability towar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regardless of the types of contact. Research findings suggested the informative factors for persons working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s to consider the strategy for improving positive attitudes in our communities, which could help people with mental illness obtain a job and reintegrate into our communities.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들의 직업재활을 위한 여러 노력의 한 부분인 비정신장애인들의 태도에 초점을 두었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신장애인들의 직업능력에 대한 태도와 접촉의 역할에 대해 세분화하여 조사해 보았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593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얻었으며, 접촉 하위 요인을 접촉관계 (가족, 친구, 자원봉사를 통해, 공공장소), 접촉빈도, 그리고 접촉인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직업능력에 대한 태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불이익, 불평등, 순이익, 잠재력)으로 재구성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직업능력 중 이들의 잠재적 능력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반대로 고용이나 동료들과의 대화 회피 등의 항목인 불평등 요인에서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둘째, 가족 중 정신장애인이 있는 경우가 정신장애인들의 직업능력에 대해 가장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고, 반대로 공공장소의 접촉 경험만을 가진 사람들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접촉의 하위 요인들 중 접촉인상은 모든 접촉관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대학생들이 가지는 전반적인 정신장애인에 대한 직업능력 태도, 접촉의 하위 요인들에 따른 태도, 그리고 접촉을 통한 태도 변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에 대한 실질적 위협감 및 상징적 위협감: 접촉경험 및 공동체의식과의 관계

        류승아,김경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5 No.2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our communit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hreat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a important factor.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ontact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that are believed to influence both realistic and symbolic threat We looked the differences in threa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act(family, friends/coworker, public places, no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Next, if there is contact experience, we questioned that the quality of the experience could influence the threats in all types of contact. Finally, could contact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affect the threats? The total of 465 respondent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alistic threat were not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ct, but that the symbolic threat were more higher people with no-contact experience than people with contact experience. The quality of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reats, except in the case of the family contact on realistic threat. Lastly, sense of community was analyzed 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both realistic and symbolic threat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act of contact and sense of community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기존의 연구들은 비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위협감이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및 차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한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신장애인이 느끼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위협감(실질적 위협감/상징적 위협감)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접촉경험과 공동체의식을 선정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465명(평균 22.87세)을 대상으로 접촉경험 유무, 접촉대상, 경험을 통해 받은 인상(경험의 질), 공동체의식, 그리고 위협감을 질문하였다. 분석결과, 실질적 위협감은 접촉경험 여부나 대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징적 위협의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낮게 나타났다. 접촉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해당 경험의 질을 살펴본 결과,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경험의 질이 실질적 위협감 및 상징적 위협감 모두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접촉경험 유무는 상징적 위협감만 설명하였지만, 공동체의식은 실질적 위협과 상징적 위협 모두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접촉과 공동체의식이 위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소수집단에 대한 접촉경험, 위협감, 편견의 관계

        류승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1 No.4

        Healthy communities is likely to begin with accepting the coexistence of diverse groups in our society and acknowledging different ideas with us. Prejudice against minority groups interfere with building such a society. Current study examined the prejudice of North Korean refugees, multicultural families, LGBT, people with physical illness,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ich are defined as minority groups in our society, and demonstrated the impact of contact experience and threat on prejudice. The contact experience was classified as direct contact and indirect contact (informational contact through media), and the threat was divided into realistic threat and symbolic threat. The measures of prejudice were examined through social distance for each group. The total of 376 students were responded in this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distance was the highest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he groups that felt the threat were the refuge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reatens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all group prejudices, but contact experiences represent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group, suggesting that the use of contact for bias reduction requires different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prejudice reduction method for minority group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건강한 사회는 나와 다른 생각을 인정하고, 다양한 집단이 우리 사회에 공존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사회를 구축해 감에 있어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은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소수집단으로 규정되고 있는 탈북자, 다문화가정, 성소수자, 신체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살펴보고, 접촉경험과 위협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편견의 구체적인 측정은 각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통해 살펴보았고, 접촉경험은 직접 접촉과 간접 접촉(미디어 등을 통한 정보적 접촉)으로 분류하였으며, 위협감도 실질적 위협과 상징적 위협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 인원은 총 376명으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정신장애인이 가장 높았고, 위협감을 높게 느낀 집단은 탈북자와 다문화가정으로 나타났다. 위협감은 모든 집단의 편견에 유의미한 설명량을 보여주었지만, 접촉경험은 그 종류에 따라 각 집단에 작용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통합이론에서 제시하는 위협감을 매개로 하는 접촉경험과 편견의 관계 역시 각 집단마다 다른 결과를 보여줌으로서 편견 감소를 위한 접촉의 활용은 집단에 따라 다른 방식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 감소 방안과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문화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류승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2

        Culture makes an important role on psychological developments and function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self-esteem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valent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The improvement of our self-esteem could relate the value of the context we live. This study examined the 4 cultural characteristics (horizontal-vertical/individualism-collectivism) from th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U.S., and then looked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224 Korean and 230 American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demonstrated both countries showed (1) that horizontal-individualism and horizontal-collectivism had higher scores than vertical things; (2) tha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two horizontal factors were found; (3) that SEM from each country was confirmed appropriate goodness-of-fit structures. Research findings woul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elf-esteem concepts and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 and self-esteem. 문화는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개인이 자아(self)에 대한 인식을 규정하는 방식이나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개인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배경에서 긍정적으로 지지되는 성향에 의해 확장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각 개인이 속한 사회의 우세한 문화성향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수평-수직/개인주의-집단주의의 4요인 문화성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이 우세한 문화성향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상관관계의 타당성을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총 454명(224명의 한국 대학생과 230명의 미국 대학생)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국가 모두 (1) 수평적 문화성향, 즉 수평-개인주의와 수평-집단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2) 높은 문화성향을 보인 수평 요인들은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줌으로써 우세한 문화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3) 요인들 간 상관관계는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적합도 지수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아존중감과 문화성향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러 시사점들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들의 진정한 사회 복귀는 가능한가?: 사회적 거리감 영향 요인 연구

        류승아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1

        Stigma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our communities is a serious situation, which causes them to prevent from both improving their clinical symptoms and reintegrating into our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how much college students want to interact with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disorders depending on the symptoms of disorders (depression, alcohol abuse, schizophrenia), gender of people with disorders, and contact (experience, frequency, perception) of respondents. Data were collected in a web-based survey with vignettes on social distance scale and a total 243 students was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This study’s finding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more willing to react (1) with person in depression vignette (while one in schizophrenia vignette were rated the most negative scores), (2) with more female in the vignettes than man regardless of symptoms and social context, (3) when they have positive impression from the contact experience with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disorders. Research findings turned out that it is essential for persons working in rehabilitation fields to consider the strategy for reducing stigma toward schizophrenia and man with mental disorders. In addition, the interventions with personal contact that could result in positive impression may significantly influence reductions of social distance, which could help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reintegrate into our communities. 우리 사회에서 정신장애인들이 받고 있는 낙인은 다른 소외집단보다 심각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활동의 제한과 차별은 이들의 진정한 재활에 큰 방해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정신장애인들에 대해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이 정신장애의 증상(우울장애, 알콜중독, 정신분열병),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성별, 그리고 대학생들이 경험한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접촉여부, 접촉빈도, 접촉인상)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총 243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가하였으며, 예시문을 사용한 본 설문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은 (1) 우울증상에 가장 낮은 사회적 거리감을, 반대로 정신분열병에 가장 높은 거리감을 보였고, (2) 정신장애를 가진 남자보다 여자에게 상대적으로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3) 접촉 변인들 중에서는 접촉여부와 접촉빈도는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고, 오직 그들이 느꼈던 접촉인상만이 사회적 거리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신분열병과 정신장애를 가진 남자의 경우에 대해 보다 역점을 두어 전략을 세워야 하며, 접촉의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단순한 만남이나 빈도수를 늘이는 양적인 방법보다 구조화된 만남을 통한 질적인 접촉의 기회를 만들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촉진 방안

        류승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3

        Sense of community(SOC) is the indicator that shows how person thinks of his/her community. The deficiency of SOC is tightly correlated with social problems in today Especially, SOC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ndergraduate student experience by individual’s wellbeing and social involvement. Current study examine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individual’s wellbeing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cademic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involvement(volunteer’s experience and social distance toward minor groups). The total 541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SOC predicted individual’s wellbeing as well as social involvements. Also, SOC was predicted by awareness of the university and satisfaction of service provided by the university. Further, SOC mediated between awareness of the university/satisfaction of service provided by the university and individual’s wellbeing/social involvement. The implication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공동체의식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로서, 오늘날 발생하는 개인적 또는 사회적 문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히 대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공동체는 자신이 속한 대학이므로, 대학생들의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 및 사회의 안녕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의 한국사회를 위해서도 의미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과 사회적 관심의 예측 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고, 또한 대학 공동체의식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도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총 451명으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었다. 개인의 안녕을 측정하는 척도는 주관적 행복감,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학업만족도 및 학교생활 만족도이었고, 사회적 관심을 측정하는 척도는 봉사활동 여부와 소외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었다. 대학 공동체의식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대학의 인지도와 대학의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공동체의식은 개인의 안녕과 사회적 관심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대학 인지도와 서비스 만족도는 대학 공동체의식의 유의미한 설명변인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매개분석 결과 대학 인지도와 서비스 만족도는 대학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개인의 안녕과 사회적 관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공동체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