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日本書紀』の「不明瞭な物事」に関する分註

        柳玟和(류민화)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한국민족문화 Vol.28 No.-

        원래 分註는 본문의 아래에 덧 부쳐져서 본문의 이설이나 보조설명 등을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史料와 편자에 따라서 그 기능은 다양하여 한마디로 규정하기 어렵다. 日木書紀의 分註는 그 형식이 매우 복잡하며 註記형식에 있어서 편찬에 참조한 서명을 명확하게 제시한 경우도 있지만 불명확한 서명 또는 아무런 서명도 제시하지 않고 註記하는 경우도 보인다. 따라서 참조한 史料에 있었던 註인지 편자의 註인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더러 있다. 편자의 註에는 주관적인 사고가 개입된 내용이 제시되기도 하여 日本書紀 편찬 당시의 記述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편찬에 사용된 史料의 성격과 함께 分註를 어떻게 이용하여 본문내용의 판단을 제시하려고 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不知」ㆍ「未詳」등과 같이 본문의 불명확한 부분을 끌어내어 따로 제시한 兩註記의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여 日木書紀 편찬과정에 이용된 史料의 문제점과 史料를 취급하는데 있어서 발생한 편자 자신의 思考에 관한 문제 등을 고찰하였다. 먼저 「不知」ㆍ「未詳」는 出現券과 引用記事의 史料的 성격에 따른 편재가 보이는데, 「不知」는 9권과 19권에 「未詳」는 10권부터 21권에 나타나며 兩註記 모두 한국관련 記事에 집중 사용되고 있다. 「不知」는 일본 記事에서는 지명표기에 단독 예가 보이는데 편자가 그 지명을 「不知」라고 추가 기재한 까닭은 日本書紀 편찬 당시의 寺院의 명칭이 바뀌어 옛 자료의 이름과 연관시킬 수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한국관련 記事에서는 본문 記事에 보이는 人物에 불어 註記되는 형식이 대부분으로 이들 예는 그 인물의 혈족관계, 계보 선조 등에 관한 정보가 참조한 史料만으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어서 그것에 대한 의문점을 「不知」라는, 註記 형식으로 제시한 것이 아닐까하고 추정하였다. 즉 한국 關連史料를 보는 시각이 일본 史料를 보는 시각과 조금 차이가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러한 註記가 집중된 권의 편자는 한국관련 記事에 등장하는 人物이 어떠한 사람이었는가를 항상 의식하면서 본문내용을 記述해 갔던 것으로 여겨진다. 「不知」는 모든 용례가 「不知~」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不知」라고 기재한 까닭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未詳」와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未詳」註記는 지명에 제시된 경우는 보이지 않고 혈족관계, 인명, 어휘 내용적 문제의 불명확 부분을 끌어 分註에 제시하고 있는데 일본 記事에는 혈족관계, 인명, 어휘 내용에 관한 부분에 註記가 보이는데 용례가 많지는 않다. 특징으로는 「未詳」의 까닭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편찬에 참조한 史料의 부족과 각 史料간의 異同으로 인하여 편자가 그것을 판단하여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부분에 註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추정되었다. 한국관련 記事에서는 아무 설명 없이 간략하게「未詳」이라고만 제시한 경우와 긴 문장의 설명 또는 인용을 하여 「未詳」의 까닭을 제시한 후에 註記하는 형식도 보인다. 「未詳」註記는 주로 혈족관계, 지명, 어휘에 제시되어있는데 그 중에서도 인명에 집중되어 있으며 내용에 관한 부분의 추가 설명에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간략하게 인명표기에 있어서는 分註로 제시된 百濟史書아래에 붙어서 「발음이나 문자표기가 잘못되어 명확하지 않다, 未詳이다」라고 제시한 경우가 여럿 보이는데, 이것으로부터 「未詳」註記한 이유를 추청 한다면 日木書紀 편찬에 참조한 百濟史書의 인명표기가 모두 普借表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본관련 고유명중에는 발음과 표기가 잘못되어 본래의 이름을 추정하는데 어려운 부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어지며, 참조한 자료의 제한된 틀에서 그것을 판단하여 결정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不知」와 같이 본문내용의 문제보다는 등장人物의 혈속 관계, 인명 등에 이러한 불명확한 註가 많이 보이는 것은, 편자가 한국관련史料를 취급함에 있어서 등장人物에 대하여 주의하여 항상 의식한 부분이 「不知」ㆍ「未詳」로 註記된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日本書紀における百済人名の記載様式

        류민화 일본어문학회 2013 일본어문학 Vol.63 No.-

        本稿は、日本書紀における百済人名及び人名と共に記された職名・部名・官等名の配列方式と巻別の使用状況を分析し、さらに百済関連資料の性格についても検討したものである。百済人名に付される部名・官等名の配列位置は、必ず人名の前であ る。しかし、職名においては職名+人名が普遍的であるが、「王、媛、君、女郎、夫人、王子、将軍、僧、尼、法師」は人名の後にも用いられる。但し、日本書紀では巻によって使用の違いがみられ、巻9から巻16までは主に「人名+職名」であり、巻17以後では大部分が「職名+人名」となる。また、人名と共に職名․部名․官等名が記される場合は、「部名+官等名+人名」、「職名+官等名+人名」の配列方式が見られる。百済人名の特徴として、日本書紀では王族系だけではなく、支配階層 においても姓字の省略が見られる。他に、中国史書記載の百済八姓を含み、日本書紀記載の百済人名から百済姓氏の推定を行ったが、百済八姓 「沙燕劦解眞國木苩」のうち、「燕木眞國白」と「劦」に関連姓があると思われる「木劦(木羅)」の姓氏を提示した。他に百済姓字と思われる「沙宅、木劦、鬼室、東城子、徳、馬、灼」と「阿、阿乇、許、禮」を推定した。さらに、百済人名と共に記されている職名、部名、官等名の巻別使用状況を分析し、職名の巻による使用の相違は日本書紀に利用された百済資料の性格の違いである可能性を指摘した。また、百済部名と官等名の巻による表記の相違は時代を異にする複数の百済関連資料が利用されたため、日本書紀に時代的な変化が現れたと推定した。

      • KCI등재

        『日本書紀』における任那人名と官職名考察

        柳玟和(류민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3

        This paper studies how the names, job titles, district titles, and rank titles of the Mimana people were arranged and used in certain situations in Nihonshoki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and job titles of the subjects of Mimana. The Mimana people"s names and job titles can be seen in Volume 5, 6, 9, 15, 17, 19, and 22 of Nihonshoki, which consists of 30 volumes in total. The folklores recorded in Volume 5 and 6 show names of the Mimana people which are interpreted from Japanese to Korean; and in Volume 9-19, there are several Japanese style names and also some people recorded as Omi (“臣”), Shisha (“使者”), or Kanko (“韓子”) of the Mimana Nihonfu replacing their names. Furthermore, the documents exhibit “知”, “智”, “遅”, “至”, “支”, and “岐”, those mainly used as 尊称末尾字 (an affix used in names to show respect) of the Silla people"s names, and also “奚” and “甲背”, which was used as 末尾 (a suffix) in the names of the Baekje people. It can be deduced, therefore, that the people"s names of Mimana had similarity to that of Silla and Baekje. “王”, “王子”, “王児”, “王妹”, and “日本府臣” seem to be used in very limited cases for the job titles of the Mimana community. Additionally, its district titles can be seen in Volume 22: “㖨部” and “習部”—both borrowed from Silla"s district titles. As for the rank titles, the following words are used: “干岐” and “旱岐” in Volume 6-17; “旱岐”, “次旱岐”, “下旱岐”, “上首位”, and “二首位” in Volume 19; “大舍” and "達率" in Volume 22. Mimana basically made use of the official rank systems of Silla and Baekje for its rank titles, rather than organizing its own independent system. Until Volume 19, the names of the Mimana people are written in the form of the following order: (job title) + name + rank title . However, in Volume 19, the name forms use two types of arrangement: name + rank title, and rank title + name. These forms again changes in Volume 22, showing district title + rank title + name in order. This kind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how Silla changed its way of documenting names.

      • KCI등재
      • KCI등재

        『日本書紀』의 존칭어 「君」에 대하여- 한국관계기사에 인명과 사용된 용례를 중심으로 -

        류민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1

        This study analyzes the examples of which “君” was used as an honorific title with names,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 of ancient pronunciation in Nihonshoki's Korea-related articles. The usage of “君” was quite limited, and most of them were used for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of Baekje. For some untypical cases, “君” was used after the names of various countries of MimanaKara meaning that the person is the sovereign of his or her country. In actuality, “君” appears a lot in the articles quoting the Baekje History Archives and also in the quotes made in Nihonseiki, written by Dohyun (aka. Doken), the monk of Koguryo; here, the compatible usage of “君” and “王 (or “王子”)” for the same person was very common. On the other hand, the “君” which was used with the names of several countries of MimanaKara has a distinct example of mixed use with Kanki (“旱岐”), the One Rank title of Silla, showing that “君” means “the ruler”. Also, the person who was sent to Japan on the behalf of the Baekje's royal family had “君” after his or her name; however, it was omitted in the sentence when clarifying that the person was not the actual royal family. Afterwards, the article instead wrote Kouhai (“甲背”) for the person's honorific title, showing that “君” was mainly used for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of Baekje. Furthermore, this paper explores the ancient pronunciation of “君” for the Korea-related appellation written on the old copy of Nihonshoki. “コキシ(kokiʃi)”, “キシ(kiʃi)”, and “セシ(ʃeʃi)”, “セシム(ʃeʃimu)” were the written pronunciations for “君”, but some parts of the copy read it as “キミ(kimi)”. The former pronunciations came from the ancient Korean words: “王”(king), “王子”(prince), “大王”(great king), “主”(sovereign), and “主君”(lo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nunciations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remains of phonologic changes which occurred going through the ages. Moreover, “キミ(kimi)” has some examples of being tagged after the names of Japanese officials; nevertheless, depending on which copy to refer, the honorific title after the Korean-related appellation was pronounced as “キシ(kiʃi)”—which the Japanese pronunciation for “君(kimi)” appears to be mispresented for.

      • KCI등재
      • KCI등재

        日本書紀에 보이는 임라인명과 관직명에 대한 고찰

        류민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3

        This paper studies how the names, job titles, district titles, and rank titles of the Mimana people were arranged and used in certain situations in Nihonshoki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and job titles of the subjects of Mimana. The Mimana people's names and job titles can be seen in Volume 5, 6, 9, 15, 17, 19, and 22 of Nihonshoki, which consists of 30 volumes in total. The folklores recorded in Volume 5 and 6 show names of the Mimana people which are interpreted from Japanese to Korean; and in Volume 9-19, there are several Japanese style names and also some people recorded as Omi (“臣”), Shisha (“使者”), or Kanko (“韓子”) of the Mimana Nihonfu replacing their names. Furthermore, the documents exhibit “知”, “智”, “遅”, “至”, “支”, and “岐”, those mainly used as 尊称末尾字 (an affix used in names to show respect) of the Silla people's names, and also “奚” and “甲背”, which was used as 末尾 (a suffix) in the names of the Baekje people. It can be deduced, therefore, that the people's names of Mimana had similarity to that of Silla and Baekje. “王”, “王子”, “王児”, “王妹”, and “日本府臣” seem to be used in very limited cases for the job titles of the Mimana community. Additionally, its district titles can be seen in Volume 22: “㖨部” and “習部”—both borrowed from Silla's district titles. As for the rank titles, the following words are used: “干岐” and “旱岐” in Volume 6-17; “旱岐”, “次旱岐”, “下旱岐”, “上首位”, and “二首位” in Volume 19; “大舍” and "達率" in Volume 22. Mimana basically made use of the official rank systems of Silla and Baekje for its rank titles, rather than organizing its own independent system. Until Volume 19, the names of the Mimana people are written in the form of the following order: (job title) + name + rank title . However, in Volume 19, the name forms use two types of arrangement: name + rank title, and rank title + name. These forms again changes in Volume 22, showing district title + rank title + name in order. This kind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how Silla changed its way of documenting names.

      • KCI등재

        『朝鮮時報』의 문자표기 고찰

        류민화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3 日本語敎育 Vol.- No.103

        『朝鮮時報』의 문자자료로서의 성격을 고찰하기 위하여 가나표기, 한자와 한자어 표기, 한국어 어휘의 사용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나 표기, 한자와 한자어 표기 있어서 다양한 양상이 보였다. 『朝鮮時報』가 창간된 19세기 후반은 문자표기에 있어서 혼란과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메이지유신 이후 언문일치 운동과 함께 학교 교육이 시작되었지만 「歴史的仮名遣い」를 계승한 표기법은 발음과의 불일치로 인하여 혼란이 있었고, 신문물의 도입과 함께 들어온 다량의 외래어가 일본어에 융화되어가는 과정 속에 표기의 혼란은 더욱 더 가중되었던 시기였다. 『朝鮮時報』에서 보이는 문자 표기의 사용상황이 당시의 일본 내에서 쓰여 진 문자자료와 상이하다고 단정 짓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朝鮮時報』는 문화와 언어를 달리하는 부산지역에서 약 46년간 간행된 일본어 신문이며, 일본어로 표기하기 어려운 한국어 어휘가 한자, 또는 가나로 음역되어 사용된 예가 보인다.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도 다양한 표기 형태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금후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日本書紀』編者推量の「蓋~」「若~」について

        류민화 대한일어일문학회 2007 일어일문학 Vol.35 No.-

        本稿は日本書紀分註の性格や巻の区分などを知るための一つの手段として、編者の推量表現として用いられた「蓋∼」․「若∼」の註記を対象とし、巻の区分と特徴を考察すると共に、本文記事の中の如何なる物事の解釈を試みようとしたか、その狀況や理由は何かなどについて推定してみたものである。 その結果、編者の推量表現の「蓋~」․「若~」は分註と本文に見えているが、「若~」は用例が少ないためか巻別の区分や特徴などが確認できない。「蓋~」においては分註と本文の用例では偏在が見られる。どのようであるかといえば、分註の用例は群に、本文の用例は群に用いられ、ジャンルによる巻別の差異が認められる。また、「蓋~」は人名、内容、語彙、地名など多様な物事を用いて註記しているが、ジャンルと史料の違いによって、註記した物事に相違が見られる。すなわち、分註の「蓋~」の用例は人名、内容、語彙、地名、続柄の順に用いられているが、本文の用例はほとんどが内容を引いた註記に用いられている。また、分註の「蓋∼」の用例の中、人名を引いた註記は朝鮮関係記事からのものであり、編者は朝鮮関係記事を記述する際、出現人物に関して気を配っていたことが推定される。 さらに、「蓋∼」․「若∼」の記述内容を分析し、本文記事の物事や事柄に解釈を試みようとした狀況や理由などについて推定してみた。「蓋∼」․「若∼」は本文記事の不明瞭な物事や事柄を編者の主体的な判断により推定し、註記したのが主なる狀況や理由であることに共通性が見られる。ところで、「蓋∼」は「若∼」より、解釈を試みようとした状況や理由が多様であり、「蓋∼」註記は各分類やジャンルや史料による違いが見られる。特に、本文の内容を引いた「蓋∼」には他の分類にはあまりない本文記事から物事の始りや由来に気付き、推定した註記が多く、それらの用例は大字書きの本文の部分に偏在して見えることが明らか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