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족의 종언과 동고(Mitleid)의 공동체

        류도향(Ryu, Do-Hyang)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친밀성의 구조변동에 대한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1903-1969)의 통찰을 ‘가족의 종언’(Ende der Familie)으로 테제화하고, 근대 가족 패러다임을 내재적으로 초월할 수 있는 ‘엔클라베(Enklave, 자국 내 타국의 영토, 치외법권 영역)’로서 공동체의 가능조건을 성찰하는 데 있다. 아도르노는 자본주의 사회의 교환 원리와 경쟁형식이 친밀영역에까지 침투하면서 가족마저 자기유지를 위한 기능적 연합이 되어버린 부정적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진단한다. 여기서 그가 말하는 종언은 가족이 역사에서 사라진다는 것이 아니라, 부르주아 사회의 지배질서를 재생산하면서도 그에 저항하는 개인의 형성 토대가 된 가족이 체계의 힘에 종속되어버린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적대적인 사회구조에 저항해서 이윤추구와 경쟁을 부정하는 인간적인 연대가 더 이상 가족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부르주아적 차가움”(자연지배적 이성의 반사)에 저항할 수 있는 ‘따뜻함’(Wärme)의 공동체를 암시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아도르노의 “동고”(Mitleid. 同苦) 개념을 통해 비동일적인 것의 고통을 함께 견디면서 관계할 수 있는 가능조건을 규명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동고의 관계성을 사회의 부정적 총체성을 규정적으로 부정하는 대항공동체로서 새로운 가족의 모델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hesis of Adorno"s (Theodor. W. Adorno, 1903-1969) insight into the structural changes of intimacy in the post-capitalist society as"Ende der Familie", and the modern family paradigm is implicit. It is to reflect on the possible conditions of the community as"Enklave (territories of other countries within the country, areas of extraterritorial jurisdiction)" that can be transcended. Adorno critically diagnoses the negative social reality in which the exchange principle and the competitive form of capitalist society penetrated into the intimate realm, and even the family became a functional association for self-maintenance. The end he says here does not mean that the family disappears from history, but that the family, the foundation of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who resist it while reproducing the governing order of bourgeois society, has become subordinate to the power of the system. In other words, human solidarity that denies profit-seeking and competition by resisting hostile social structures is no longer possible through the form of family. However, he implies a community of "warm"(Wärme) capable of resisting "bourgeois coldness" (a reflection of the natural dominant reas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ossible conditions of communication while enduring the pain of socially incommunicable non-identical things through Adorno"s concept of “donggo” (Mitleid. 同苦).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new family model as a counter-aircraft vehicle that regulates the negative totality of society.

      • KCI등재

        혈연공동체에서 공통체로 - 가족의 재전유

        류도향 ( Ryu Do-hy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한국 사회에서 근대 가족은 자본과 국가의 공모관계를 공고히 하는 경첩 역할을 해왔다. 압축적 근대화 과정에서 가족은 한편으로 자기유지와 상승을 위한 전략적인 경제공동체로서 사적인 것에 종속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국가통치성의 토대가 되는 정상가족의 신화에 매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혈연공동체의 틀에 갇힌 사랑과 연대의 힘을 따뜻한 네트워크형 공동체로 확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가족을 사적인 것도 공적인 것도 아닌 ‘공통적인 것’(the Common)으로 재전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족은 취약한 신체들의 연대로서 공통적인 것의 기초 토대를 제공하며. 신체들은 폭력, 빈곤, 노숙, 외로움, 독거, 고독사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혈연가족, 준가족, 유사가족, 비가족, 가족 안의 타자들, 가족을 보완하고 대체하는 자생적 커뮤니티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런 새로운 변화를 익숙한 혈연가족의 관념과 에토스로 회귀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자본과 국가에 의해 그어진 경계와 문턱들을 가로지르면서 내가 선택하지 않은 자들의 생명과 삶을 책임지는 ‘공거’(Cohabitation)의 윤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a way to expand the power of love and solidarity trapped in the framework of a kinship community into a network-type community. The family is the solidarity of vulnerable bodies, providing the basis for the common. The bodies form a network of spontaneous communities that complement and replace family members, other people in the family, and other people in the family to counter the dangers of violence, poverty, homelessness, loneliness, living alone, and loneliness. In order not to return these new changes to the notions and ethos of the familiar blood family, the ethic of ‘Cohabit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lives and lives of those whom I have not chosen, crosses the boundaries and thresholds drawn by capital and state.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

        류도향(Ryu, Do-hyang)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글은 포스트휴먼이 단순히 과학기술의 효과가 아니라 인문학의 이념에 의해 제약될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다움을 성찰하는 한 가지 시도이다. 필자는 휴머니즘 또는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cism)의 시각에 갇힌 근대성을 넘어선 새로운 인간에 대한 물음이 두 가지 의미에서 비판적으로 제기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포스트휴먼은 근대의 계몽적 주체에 의해 억압된 타자인 신체, 감성, 자연, 여성의 목소리를 회복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본질이나 불변의 토대를 상정하지 않고 지금 이곳에서 비인간적인 것과 싸우면서 인간성을 보존할 수 있는가? 위 물음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필자는 근대의 계몽적 휴머니즘의 파국을 각기 다른 경로를 따라 동시에 겪었던 하이데거(M. Heidegger, 1889-1976), 벤야민(W. Benjamin, 1892-1940), 아도르노(Th. W. Adorno, 1903-1969)와 대화를 시도한다. 세 철학자는 근대 휴머니즘과 기술문명이 초래한 비인간적 세계상황을 목도하면서 계몽적 주체의 타자인 예술과 예술작품으로 부터 인간 이후의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필자는 세 철학자가 주장한 새로운 인간상을 ‘끊임없이 탈존하는 인간’(하이데거/ 2장), ‘신경감응을 통해 타자와의 유사성을 회복한 인간’(벤야민/ 3장), ‘비인간적인 사회를 규정적으로 부정하는 인간’(아도르노, 4장)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현재성을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인간의 감각, 충동, 무의식에 이르기까지 세계 전체를 더욱더 촘촘히 관리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시스템으로 전개되는 한, 포스트휴먼시대 인간다움의 필요조건이 ‘심미적 진정성’(ästhetische Authentizität)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This is an attempt to reflect on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Here, I think that the question of future human beings should be critically raised in the following two meanings. First, can post-humans recover the body, emotions, nature and women’s voices suppressed by modern enlightened subjects? Second, can post-humans preserve humanity by fighting inhumanity without presupposing human essence or immutable foundations? In answer to these questions, I will have a dialogue with M. Heidegger(1889-1976), W. Benjamin(1892-1940), Th. W Adorno(1903-1969). The three philosophers looked at the inhuman world situation brought about by modern subjects and technology, and found the possibility of new human beings. The three philosophers’ new human image are the three possible models of post-humanism, ‘a human being as ek-sistence’ (Heidegger, Chapter 2), ‘the man who restored the similarity with the other through innervation’ (Benjamin, Chapter 3), ‘A human being who negates the inhuman society’ (Adorno, Chapter 4),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ach. In conclusion, as long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veloped as a system of digital capitalism that controls the world as a whole from human senses, impulses, and unconsciousness, the necessity of the post-human era is aesthetic authenticity.

      • KCI등재

        성찰적 부끄러움과 가족적 연대 ―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

        류도향 ( Ryu¸ Do-hya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3

        이 논문의 목표는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에 나타난 엄마의 부끄러움의 정동을 뒤따라 가면서 한국사회의 구조적ㆍ상징적 폭력을 체현하고 있는 한국가족의 현실을 조감해보고, 경쟁과 불신으로 점철된 사회의 폭력에 대항하는 관계의 장소로서 가족의 의미를 성찰해보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가족 내부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이해불가능성은 압축적 근대화를 거치며 가중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경유하지 않고서는 해소할 수 없다. 딸의 비정상성에 대한 부끄러움이 이 사회에서 고통받는 자들과 연대할 수 있는 성찰적 부끄러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동일한 가족재현을 강요하는 사회폭력에 대항하는 가족적 연대의 가능성을 사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llow the mother's shameful affect in Kim Hye-jin’s About the Daughter, and to give a bird's eye view of the reality of Korean families embodying structural and symbolic violence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family as a place of relationship to resist social violence. Conflicts and incomprehension that occur within the family cannot be resolved without passing through a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ggravated through compressed modern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hame of a daughter’s abnormality into a reflective shame that allows solidarity with those who suffer in this society, we consider a family model that opposes the boundaries and hierarchies of the norms of normality drawn by society. You can do it.

      • KCI등재

        열린 가족과 진보적 장소감

        류도향 ( Ryu Do-hy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이 논문은 열린 가족에 대한 인식개선과 제도의 변화를 추동하기 위한한 가지 방안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가족의 장소성을 문제화하고 가족을 저마다의 삶의 맥락에 맞게 사유하면서 새롭게 배치할 수 있는 인문학적 담론을 시도한다. 여기서 필자는 가족이 혈연이나 제도에 의해 선결정된 부동의 장소가 아니라, 국가와 시장에 의해 균질화되고 사물화된 공간을 반(反)배치하면서 인간존엄과 삶의 의미를 짓는 관계의 장소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런 관계의 장소는 가족구성원 간 내적 동일성과 안전을 추구하는 데 머물지 않고, 가족이라는 경계 바깥을 넘나들 수 있는 진보적장소감을 요구한다.(Ⅱ. 부동의 장소에서 관계의 장소로) 필자는 렐프(Edward Relph, 1944- )의 현상학적 장소론, 매시(Doreen Massey, 1944-2016)의 비판적 지리학, 르페브르(Henri Lefebvre, 1901-1991)의 공간이론을 전유하여, 진보적 장소감을 구성하는 계기로서 ‘실존적 배려’, ‘교차적 서사’, ‘심미적 경험’을 시론적 수준에서 유형화해볼 것이다.(Ⅲ. 진보적 장소감의 계기들) 여기서 가족을 열린 장소로 재구성하는 진보적 장소감은 ① 타자의 실존에 대한 책임감, ② 차이와 이질성을 교섭할 수 있는 정치감각, ③ 자본주의적 법칙으로 재현되지 않는 몸의 충동과 삶의 리듬을 보존한 놀이감각으로 논의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mily's place, which people are familiar with and think about according to the context of each life, in oder to improve awareness of open families and drive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The study approaches this idea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family is not an immovable place selected by blood ties or institutions, but a place of relationship that creates the meaning of human dignity and life. This place displaces spaces homogenized and objectified by the state and market. Such a place in a relationship does not stop in pursuing internal identity and safety among family members, but requires a sense of progressiveness that interacts with heterogeneous and porous elements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II. From an immovable place to a place of relationship. This study applied Edward Relph's (1944-) phenomenological place theory, Doreen Massey's critical geography (1944-2016), and Lefebvre's (1901-1991) spatial theory to construct a progressive sense of place. As an opportunity to do so, existential consideration, intersectional narrative, and aesthetic experience will be categorized. III. Opportunities of a progressive sense of place. Here, the progressive sense of place that reconstructs the family into an open place is ① to the existence of the other. It is discussed a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② a sense of politics that can negotiate differences and heterogeneity, and ③ a sense of play that preserves the body's impulses and rhythms of life that are not reproduced by capitalist laws.

      • KCI등재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

        류도향(Ryu, Do-Hya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1

        현실사회주의의 실패와 파시즘이라는 20세기 파국의 상황에서 전개된 아도르노의 유물론은, 신자유주의의 지구화라는 21세기의 파국에서도 여전히 현재성을 가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학계에서 아도르노 유물론은 거의 소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의 관건은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이 갖는 고유한 특징을 사회 형식에 대한 비판과 연관해서 해명하는 것이다. 아도르노는 지배적 역사 배후의 역사를 부정변증법적으로 뒤쫓는 방식으로 사회적 총체성의 형식을 비판적 서술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를 통해 그는 사회의 교환 원리와 인식의 동일성 원리가 공모관계 속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내고, 그 관계의 실재근거이자 그 관계를 폭파시킬 수 있는 실재근거로서 “육체적 고통”(physisches L eiden)을 주목하게 한다. 그의 유물론은 “객체 우위”(V orrang des O bjekts)와 “이차 반성”(zw eite Reflexion) 두 가지 테제를 전방에 내세우며, 부정적 총체성 속에서 소외된 비동일자의 현실을 미메시스적으로 포착하여 극명하게 드러내는 미시적 방법론을 취한다. “짜임관계적 사유”(konstellatives Denken)로 구체화되는 그의 유물론은 자본주의적 사회 형식에 저항하는 새로운 형식으로서 사회실천적 함의를 가진다는 사실을 서술하는 것이 이 논문의 과제다.

      • KCI등재

        "갑을노동(甲乙勞動)"에 대한 시론적 연구 - 개별적 근로관계에서의 노동기본권에 대한 소고 -

        류문호 ( Mun Ho Ryu ),안성호 ( Seong Ho Ahn ),류도향 ( Do Hyang Ryu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3

        본고는 우리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갑을노동(甲乙勞動)``의 문제를 법과 철학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본고는 비인격적 지배종속관계에 기초한 최근의 노동 현상들을 ``갑을노동``으로 개념화하였다. 갑을노동은 근로계약서상에 규정된 노무급부, 사업조직의 질서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지배종속 이외에, 근로자의 인격을 구성하는 건강, 정서와 감정, 양성과 사상에 이르기까지 관리감독과 지배종속의 대상을 무제한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종국에는 근로자 인격의 포기가 노무급부로 되는 노동을 말한다. 본고는 ``유독 우리 사회에서 갑을노동의 문제가 심각한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문제가 되는 갑을노동은 실제 기업 현장에서 어떤 유형들로 나타나는가?``, ``우리는 갑을노동에 대해 어떠한 관점과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은가?``라는 의문에 관하여 시론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갑을노동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대해서 고려할 수 있는 법적 문제도 함께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갑을노동의 각 유형별로 보다 구체적인 사례와 법적 대안들을 발굴하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아직 갑을노동의 유형으로 현실화되지 않은 직장 내의 잠재된 폭력과 횡포 그리고 억압에 대해서도 미리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아울러 노동법학의 영역에서 갑을노동의 문제는 개별적 근로관계 분야에 대한 노동기본권의 범주 확장과 구체화에서 그 해결의 방법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침해에 대한 사용자의 의무를 구체적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근로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에 대한 근로자 집단의 참여와 관여가 가능토록 하는 집단적 규제절차에 관한 제도를 정비하여 현실적인 노동법의 규율체계를 만들어 가야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Gap-Eul labor`` that is being spread among our society from labor, philosophy and jurisprudence point of view. The paper is conceptualized recent labor phenomenon which is based on impersonal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as a ``Gap-Eul labo`r. In this regard, Gap-Eul labor IS provided for work in employment contract apart from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in order to maintain preserve order of business organization and the thing which is composed of employe`s personality and health, emotion and feeling and one`s value and conscience. Those matters are being extended its status that are from unlimited supervision and dominant-subordinate. Eventually those problems are caused employee`s abandonment. ``What is the main cause of severe Gap-Eul labor issue in our society?`` ``What types of Gap-Eul labor has been arose in real business field? This paper focused on the question what would be the best approach ways and views for Gap-Eul labor inceptively. The paper is examined Gap-Eul labor that will be considered by types which is came up with an effective counterplan.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find and develop specific cases and alternative law of Gap-Eul labor in each types. Furthermore, it is the time to discuss potential violence, tyranny and oppression that are not actualized into the types of Gap-Eul labor yet in workplace.

      • KCI우수등재

        부부의 취업형태에 따른 연령별 가족관계 탐색적 요인분석 - 여성가족패널조사를 중심으로 -

        고광이(Kwang-Yee Ko),류도향(Do-Hyang Ry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1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남성생계부양자의 역량이 약화되고 성별분업 구조가 해체되면서 가부장적 가족가치관과 실천의 양태도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한 기혼여성들의 부부의 취업형태에 따른 연령별 가족관계 요인을 도출하고 가족관계 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 제공이 높게 나타났지만, 일-가족 양립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사회환경 체제하에서 기혼여성은 불리한 노동조건과 가사노동으로 인해서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아내만 취업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가족관계 요인의 지표가 불리하게 나타나 남편의 경제활동은 가족생활에서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성평등에 기초한 새로운 가족의 질서와 문화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노동시장에서 성별분업 체계를 완화시키고, 노동과 돌봄의 이분법적인 가부장적 가치체계를 탈피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보인다.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the patriarchal family values and the pattern of family practice are changing as the capacity of male breadwinners is weakened and the gender division structure is dissolved due to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this study, we derived the factors of family relation by age according the employment pattern of couple using the female family panel survey data.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the husband’s provision of housework is high, but the degree of stress among working women was high due to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and heavy household labor in a social environment where the culture of work-family compatibi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husband’s economic activities are still an important factor in family life, as family relations factors appear unfavourably if only the wife is employed. Therefore, our society should improve the gender division system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and break away from the dichotomous patriarchal value system of labor and care in order to establish a new family order and culture based on gender 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