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와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태도,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등야,백승엽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와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태도,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465명(중국 261명 ,한국 204명)을 연구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구조 모형의 가설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는 구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과 중국 대학생의 광고 모델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대학생의 스포츠브 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만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대학생의 광고 모델 신뢰도에서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위적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 브랜드 구매 만족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구매 만족도는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 대학생의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대학생의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의 하위요인 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대학생의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행동적 충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대학생의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satisfaction provided from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on brand attitud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464 college students(204 in Korea and 261 in China)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attitude, trust and loyalty on sports advertising model credibility and purchas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Second,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ird,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Four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ny brand loyalty. Fif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Six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Seven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t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but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Eighth,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brand attitude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Lastly,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brand trust has not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but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brand trust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 KCI등재후보

        聖域化する文部省 ―「文部官僚」の自己意識とその社会化―

        藤野 真挙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9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5 No.-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elf-knowledge of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and pay attention to a process its self-knowledge accepted by the society. In modern Japa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dministration in an idea. However, the fina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reduced year by year, and it was thought that the position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was low. Therefore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s formed distorted self-knowledge. It was consciousness to be an expert of the education. At first, the self-knowledge of such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was criticized by a social mark. The criticism was to "be unsociable". However, the criticism was not performed by the case that happened in the Education Ministry in 1897, and, the self-knowledge of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was accepted in the society by this case and it came to be said that the Education Ministry was holy.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elf-knowledge of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and pay attention to a process its self-knowledge accepted by the society. In modern Japa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dministration in an idea. However, the fina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reduced year by year, and it was thought that the position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was low. Therefore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s formed distorted self-knowledge. It was consciousness to be an expert of the education. At first, the self-knowledge of such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was criticized by a social mark. The criticism was to "be unsociable". However, the criticism was not performed by the case that happened in the Education Ministry in 1897, and, the self-knowledge of the Education Ministry bureaucrat was accepted in the society by this case and it came to be said that the Education Ministry was ho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안동의 대가세족 : 문화귀족의 정립을 중심으로

        천도등야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2002 안동학연구 Vol.1 No.-

        조선왕조를 가장 모범적인 유교 관료주의 국가라고 할 때, 대가와 세족의 발호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 중의 하나이다. 유교주의적인 왕은 가문의 배경과 상관없이 과거급제자들로만 관리를 임명할 것이다. 하지만 조선의 왕과 대신들은 공신의 후손이면서 능력과 충성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기꺼이 등용하였다. 안동의 대가와 세족들은 조선 이전 시대의 귀족과 관료 출신이었다. 이러한 배경의 그들이 조선초에 이르러 명실상부한 양반가문으로 성장한 것이다. 그들은 조선중기인 16세기말과 17세기초에 지역사회에서 그들의 집단이익을 정당화하고 보존하기 위해서 관료적 귀족층 또는 문화귀족이 되기 위한 튼튼한 기초를 다지게 된다. 그들은 자신들을 여말선초의 훌륭한 관료들과 연결시켜주는 그들의 가계에 대한 기록들을 보존하고 또한 연구하였다. 지방에서 그들이 발호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교육과 각종 유교 의식들을 장려하였으며, 또한 안동 명문가들과 광범위한 인척관계를 형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유교 교리에 따라서 그들의 삶을 살았으며,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위계질서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공동체적 윤리를 권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