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 연구

        도은숙,정현숙 한국가족치료학회 2009 가족과 가족치료 Vol.17 No.1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related to counselor burnout, which was conceptualized as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of clients, and a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The sample consisted of 121 counselors who were practicing in Seoul and Kyunggido.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 of counselor burnout was relatively low, but a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was relatively high. Variables correlated with emotional burnout included diffidence, clarity of role, educational level, workload, and conflicts with colleagues, with the first two having the greatest impact. Diffidence, workload and conflicts with colleagues were directly related to dehumanization of clients, and clarity of role was inversely related. A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one of the burnout subfactors, was related with personal career, self-regulated efficacy, conflicts with supervisor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their family.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dd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구학적 특징, 개인의 자질 및 능력, 직무환경, 가족의 지지가 상담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상담자들의 직무환경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상담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인지역의 상담자 121명이다. 상담자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의 세 요인으로 개념화 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소진 정도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정서적 고갈,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 순서이다. 둘째, 상담자의 정서적 고갈은 개인의 자질 및 능력과 직무환경 중에서 학력, 자신감 부족, 역할의 명확성, 업무량, 동료와의 갈등과 관련이 있으며, 역할의 명확성과 자신감 부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셋째,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자질 및 능력과 직무환경 중에서 자신감부족, 역할의 명확성, 업무량과 동료와의 갈등이며, 역할의 명확성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넷째, 개인의 경력, 자기조절 효능감, 상사와의 갈등, 정보적 지지는 소진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다. 다섯째, 사회인구학적 특징, 개인의 자질 및 능력, 직무환경, 가족의 지지가 집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소진의 하위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정서적 고갈에는 개인적 자질과 능력 및 직무환경이,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에는 직무환경이,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는 개인의 자질 및 능력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변인군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방법적인 측면과 상담자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주요 학술지들에 나타난 가족치료 연구의 주제별 경향 - 2000년~2005년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

        박정희,최연실,도은숙,서신화,안연주 한국가족치료학회 2007 가족과 가족치료 Vol.15 No.1

        Thematic Review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Research in five Primary Journals through 2000 to 2005 Park, Junghee (Soongeui Women's College) Choi, Younshil (Sangmyung University) Do, Eunsook Seo, Shinwha Ahn, Yeonju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In order to assess trends in family therapy research, the author examined 921 empirical articles from five primary journals (AJFT, CFT, JFT, JMFT, and KJFT) over a 6-year period (2000 through 2005), coding them for several themes, including therapeutic model/theory, clinical case study, methodology, family therapy practice, training/education, family diversity, and differences between nations. Results indicate that a large percentage of the articles in these journals focused on the practice of the family therapist, clinical case study, and use of therapeutic model/theory. Few articles addressed methodological issues or the differences between nations, and in contrast to English-language journals, almost no Korean-language journals included published studies on family therapy practic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articles in Korean-language journals. Keywords : family therapy, thematic review, Korean family therapy journals, AJFT, CFT, JFT, JMFT, KJFT ●본 연구는 최근 가족치료 관련 국내외 주요 학술지들에 나타난 가족치료 연구의 주제별 경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가족치료 연구의 주제별 다양성을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 가족치료 연구의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05년 사이에 발행된 가족치료 관련 국내외 주요 학술지들(AJFT, CFT, JFT, JMFT와 KJFT)에 발표된 총 921편의 연구주제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가족치료 실제, 문제유형별 (사례)연구, 가족치료 모델/이론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비교가족문화연구나 연구방법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적게 발표되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문제유형별 (사례)연구나 가족치료모델/이론 등의 주제들은 국제학술지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연구되고 있었으나, 가족치료 실제에 대한 연구가 크게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족치료 연구의 주제별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다양한 (가족)문제유형과 그에 대한 치료적 개입(효과) 연구,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 가족치료 기법과정치료유형성과/효과평가윤리 등 가족치료 실제 전반에 관한 연구, 가족치료 교육/훈련에 대한 연구 등이 우리나라에서 보다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