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뜻풀이 정보

        도원영(Doh Wonyoung) 한국사전학회 2010 한국사전학 Vol.- No.16

        Definition information is the important part of dictionary compil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definition informations of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hereinafter referred to the KUKD), and to identify its benefits. The characteristics of defini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KUKD are represented in three aspects; active reflection of real language, dictionary user oriented lexicography, integration of the various Korean linguistic researches. Especially, every headwords are defined directly for improving user’s understanding, not replaced a word that has same meaning. Direct definitionconsisted of analytic definition and metalinguistic definition. At the polysemy headwords, each multiple senses are arranged in frequency order. And the basic meaning is indicated as a shadowed circle-character. We introduced the principle and method of meaning description in KUKD, also examined the microstructure concerned in definitions; part of speech, morphological and syntactic restrictions, sentence patterns, thematic role and pragmatic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한중관용구사전(韓中慣用句辭典)』편찬을 위한 연구

        도원영(Doh Wonyoung),왕보하(Wang Baoxia)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3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 plan for compiling a new Korean-Chinese dictionary of idioms and to describe the lexic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idiom dictionary. This research focuses on a productive dictionary for learners (Chinese L2 learners), the selecting and arrangement of idioms as headwords. In the micro-structure of this dictionary, pronunciation information, definitions, examples and sentence-patterns are described briefly. Finally, we proposed specific manners of description to show pragmatic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 KCI등재

        다매체 시대의 사전 편찬과 편집기

        도원영(Doh, Wonyoung) 한국사전학회 2013 한국사전학 Vol.- No.21

        This paper gave a thorough introduction of the dictionary editor used to edit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by introducing its mechanism, function as well as its limitations. Chapter2 first mentio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ctionary editor and then introduced its construction and function by the following 4 parts: ‘input part’, ‘searching part’, ‘output part’, and ‘management part’. Chapter3 focused on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the dictionary editor under examination. And finally this paper proposed that since the dictionary in need in this multi-media era should be diverse, segmental, systematic, interconnected, and quick to response, a dictionary editor should therefore have maximum receptivity, maximum segmentability, minimum redundancy, maximum flexibility and efficiency for editing.

      • KCI등재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학 영문 사전 편찬의 쟁점 - 한국 근대 간행물 < 영문 사전>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도원영 ( Doh Wonyoung ),방혜숙 ( Yoo Hei Sook Bang ),최경봉 ( Choi Kyeongbong ),류시현 ( Ryu Si-hyun ),장경식 ( Jang Kyung Sik )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6

        이 연구에서는 해외 한국학 전공자와 연구자를 위한 이용자 중심의 영문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사전학적 문제와 번역학적 문제에 대해 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방안에 대해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을 통해 제안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학 관련 사전과 해제, 웹 서비스 자원 등은 한국학의 발전과 한국사전학계의 노력을 통해 상당한 규모와 수준으로 구축되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한국학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외국인들을 위해 출간하였거나 웹을 통해 서비스 중인 영문 자료는 부재하다. 최근에 여러 기관과 연구진이 국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영문 지식 콘텐츠 구축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영문 사전편찬 사업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한국학 영문 사전 편찬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는 일은 중요하다. 2장에서는 해외 한국학 전공자가 참조할 만한 한국 근대 간행물을 다룬 백과사전, 전문 사전 해제집 등의 자료가 주로, 국문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현재 편찬 중인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을 중심으로 먼저 사전학적 측면에서 사전의 성격과 목표 설정, 사전 이용자의 요구, 사전의 구조와 내용의 수준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다음으로 번역학적 측면에서 직역과 의역의 문제, 이용자를 고려한 문체의 수준, 개념어 번역 방법, 고유명 표기안 등의 문제를 다루어 각각의 편찬 방법론을 대략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영문 사전의 방향성 설정과 편찬 원칙 수립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xicographical and translational problems to compile a user-centered English dictionary for overseas Korean studies majors and researchers and to provide suggestions to enhance the usage of the English dictionary in Korean modern publica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 variety of resources related to Korean studies, including dictionari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volume and depth. However, there are no proper published resources in English for multiple groups; undergraduates o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broad or foreigners who want to gain some information about Korean studies via websites. Several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have been stepping up projects to build knowledge-based content in English for Korean studies majors, domestic and overseas, in recent times. In particular, since the English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is centered o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t is important to take a look at the main issues of the English dictionary compilation of Korean studies. Chapter 2 stated that data such as encyclopedias, professional dictionaries, and commentary books targeting modern Korean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were mainly written in Korean. Chapter 3 first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types and goal setting for descriptions of the dictionary, the needs of the dictionary user,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dictionary, focusing on the English Dictionary of Modern Korean Publications, which is currently being compiled. At the end of the chapter, each compilation methodology was introduced roughly by dealing with problems such as translation and translation in terms of translation, level of style considering users, conceptual translation method, and proper name not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directl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s and compilation principles of English dictionarie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major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교육에서의 과제 지도 현황 분석

        도원영 ( Wonyoung Doh ),오재혁 ( Jeahyuk Oh ),조민하 ( Minha Jo ),장혜진 ( Hyejin Jang ),신지영 ( Jiyoung Shi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대학 교육에서의 과제 지도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과제 지도를 위한 유의점과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강의에서 과제의 제시, 수행, 피드백,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우수 강의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과제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유의해야 할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알아보았다. 과제 지도에서는 교수자가 과제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명확한 생각을 가져야 하며, 과제를 부여하는 시기와 평가 기준, 피드백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과제 지도는 교수자의 측면에서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수업 내용을 응용 및 확대하며, 학생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학생의 경우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증진을 과제의 이점으로 꼽았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과제 지도를 위해 공정한 조별 평가 및 지도에 유의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se current status of assignment instruction in college classroom, and to suggest points where special attentions need to be paid and require further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productive assignment control. A survey for both lecturers and students was conducted to look into how coursework is assigned, accomplished, how feedback and evaluation were given in college classroom today. Meanwhile, interviews of ``excellent lecturer`` award winners were conducted to identify what`s to be considered and improved in assignment management. The results shown that lecturer needs to have a clear vision of assignment goal and purpose, while timing, evaluation standard and feedback of assignments are important as well. Lecturers believed that successful assignments can help deepen students` understanding towards course contents, to encourage students to apply and extend the course contents and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For students, assignments believed to help deepen understanding towards course contents. Meanwhile fair evaluation and instruction are also important in team assignments.

      • KCI등재

        한자어 접미사 "장(場)"과 "소(所)"의 의미 분석과 장소 파생어의 특징

        도원영 ( Wonyoung Doh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1 No.-

        지금까지 한자어 접미사에 대한 연구에서 형태론적 지위나 생산성에 대한 논 의가 주를 이룬 반면, 접미사의 의미에 천착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했다. 동일한 의미 영역을 형성하는 일련의 한자어 접미사와 그 파생어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 해할 필요가 있다. 이제 국어사전 등의 어휘 자원을 통해 일음절 한자가 결합한 단어 목록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코퍼스나 빅 데이터를 통해 미등재어나 신어 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한자어 접사 ‘場’과 ‘所’의 의미 자질을 분석한 뒤 이들과 결합하는 파생어의 특성을 어휘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場’과 ‘所’는 장소를 나타내 는 한자 중에서 생산성이 높으며 의미 기능이 비교적 단순하고 명료한 접미사이다. 먼저 ‘場’과 ‘所’의 의미를 분석하고 명사와 접미사의 용법을 구분한 다음 각 접사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세 가지의 의미 자질, 즉 ‘[장소], [시설], [기관]’으로 변별됨을 증명하였다. 이어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파생어 목록과 신문 코퍼스에서 추출한 미등재어를 대상으로 어근의 어종과 자립 성의 특징, 사용역별 특징을 밝혔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Sino-Korean suffixes such as ‘jang 場’ and ‘so 所’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erivatives with a meaning of ‘place.’ First of all, we extracted suffixes of place and derivatives from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newspaper database etc. Also, we analyzed the basic meaning and the semantic features of ‘jang 場’ and ‘so 所.’ Then we examined the lexi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rivatives with regards to the origin of a word, word-formation, and the register. This article also introduced many new compound words from Chinese character roots, combining our knowledge about present usage of them.

      • KCI등재

        은유의 시각화를 위한 사례 연구

        남유진 ( Nam Youjin ),김혜령 ( Kim Hye Ryoung ),도원영 ( Doh Wonyoung ) 겨레어문학회 2020 겨레어문학 Vol.65 No.-

        본 연구는 은유 표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의미망으로 시각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은유 표현의 데이터베이스는 은유의 특성에 따라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을 반드시 포함하게 되며,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망에 따라 근원 영역의 분류어와 목표 영역의 주제어를 구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분류어는 근원 영역의 상위 부류로서 동일한 부류에 속한 어휘들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은유적 의미가 무엇인지, 개별적인 은유 의미는 무엇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 주제어는 목표 영역의 상위 부류로서, 특정 은유적 의미가 어떠한 어휘를 중심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데이터베이스에 속하는 각각의 데이터들은 각기 다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떠한 가치도 부여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데이터는 유의미한 정보로 가공되며 그들이 맺는 관계도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의미망을 나타내 보았으며 어떠한 값들이 정보로서 필요한지 보였다. 또한 의미망을 통해 드러난 정보들이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databas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visualize them as a semantic network. The databas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must include the source domain and the target domai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phor, and the classification words of the source domain and the main words of the target domain can be included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to be expressed. Each data belonging to the database is processed a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to be displayed. In this study, a semantic network centered on the source domain and the target domain was shown and what values were needed as information.

      • KCI등재

        남북 의료 용어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쟁점과 실제

        박주원(Park, Juwon),김숙정(Kim, Sukjeong),도원영(Doh, Wonyoung) 한국사전학회 2021 한국사전학 Vol.- No.38

        본 연구는 남북 의료 용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서 고려한 쟁점과 실제 처리 방안을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의료 용어를 증상 자각, 진단, 치료의 보건의료 스크립트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공공의료 체계에 수렴된 정제된 형식의 용어로 규정하였다. 이에 부합하는 자료로서 KCD와 건강보험 EDI를 분석하였고, 이들로부터 남측 의료 용어를 추출하기 위해 용어화가 필요하며 그 기준과 절차가 어떠한지 밝혔다. 북측 의료 용어는 남측 용어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목록을 확보하였고, 이때 일대일 대응형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조합형 생성의 가능성과 조합형 생성 시 유의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정보들을 담아 낼 데이터베이스를 구조화할 때 고려해야 하는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작업의 효율성,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집된 정보 중 기준 정보를 선택하여 표제어를 설정해야 하며, 다양한 용어의 수집 가능성을 인지하고 이를 통제하여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의료 용어에 적용 가능한 분류 체계의 기준도 살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North and South Korean public medical terminology database, and to introduce how to deal with them in practice. ‘Public medical terminology’ using in this study is defined as well-arranged terms converging to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KCD and EDI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are chosen as primary data. South Korean public medical terminology is selected and refined from these data based on certain standards and procedures. North Korean public medical terminology is confirmed by contras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It can include not only words matching exactly but also words made by combination. As to structuralizing a database, it should be considered how to set headwords and control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which classification system to apply to effectively manage medical terminology.

      • KCI등재

        한국어 듣기 자료의 음성·음운론적 고찰 - 발음과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박미경 ( Mikyoung Park ),노석은 ( Seokeun Noh ),도원영 ( Wonyoung Doh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듣기 자료에서 제공되는 음성이 한국어 듣기 학습에 적절한 형식으로 구성되었는지 살피고 평가 기준 설정에 필요한 음성·음운론적 요건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해 3종의 기능 통합교재의 듣기 자료를 발음과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성 실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규범성과 실제성을 포괄하여 교육적 음원에 대한 평가에 필요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듣기 교육에서 내용이 되는 교재 구성과 내용 자체에 대한 평가에 비해 형식적 측면에 해당되는 음성에 대한 평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이후 제작될 듣기 자료에서 고려해야 할 요건을 설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listening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and to suggest assessment guidelines of the listening materials. Listening materials comes from the supplements of 3 textbooks that i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Pronunciation and speech rate is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proper guideline for listening materials. This work has significance in a way of setting up for the basic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listening materials.

      • KCI등재

        국어사전의 신어 처리

        도원영 한국어학회 2007 한국어학 Vol.3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lexicographical treatments of neologism in Korean dictionaries which published recent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eadword, definition, example and reference word of neologism in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We confirmed the conservativeness in each treatment of neologism. Lastly this study proposed more specific manners of neologism treatments on Korean dictionary which will be pu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