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의 독도 기술 변화와 독도 교육 방향: 한국 초등과 일본 소학교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도연경,이정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에서 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에 기술되고 있는 독도 교육의 방향 추이를 비교해보고 두 국가가 추구해야 하는 바람직한 독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은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독도 교육을 시작하였으며 일본은 한국보다 1년 늦은 2008년 개정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독도 영유권 주장을 기술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독도 기술은 교육과정이 개정을 거듭할수록 독도의 갈등적 이미지에서 평화적 이미지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이와 반대로 일본은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이 개정될수록 독도에 한국과의 갈등적 이미지를 부여하고 독도가 고유영토라는 인식으로 정교화하고 있다. 양국이 독도에 부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만 양국 모두 독도 교육을 통해 상대국을 매우 적대적으로 인식시키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국 모두 정치적 이득을 위해 독도 교육을 이용하면서 독도 교육이 국가에 의해 평화에 이바지하는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한국과 일본이 함께 화해와 평화라는 공동의 목표 인식을 공유하고 국가 차원에서 공동으로 장기간 투자와 제도적 장치 마련을 해야 한다. 둘째, 양국은 자국중심적인 평화 인식을 극복하고 인류보편적이며 다원주의적 평화를 추구할 수 있는 독도 교육이 되어야 한다. 결국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문제는 양국이 가지고 있는 독도 인식과 평화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이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국 모두 국가 차원에 독도 교육에 건전한 영토 인식과 다원주의적 평화 인식이 부여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rends in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described in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guideline', which are the basis of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that the two countries should pursue. Korea started Dokdo education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respond to Japan's provocations on Dokdo and Japan began to describe its territorial claim to Dokdo in the 2008 revised middle school instruction manual. The description of Dokdo in Kore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egan to give a peaceful image from the conflicting image of Dokdo as the curriculum was repeatedly revised. On the other hand, as Japan's elementary school learning guidelines are revised, it gives Dokdo an image of conflict with Korea and elaborates on Dokdo's perception that it is its own territor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that the two countries give to Dokdo, but it is common that both countries perceive the other country as very hostile through Dokdo education. And while both countries used Dokdo education for political gain, Dokdo education diverged from the essence of education by the state to nurture talents who would contribute to peace. To overcome this, first, South Korea and Japan must share the common goal of reconciliation and peace, and jointly make long-term investment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education on Dokdo should enable both countries to overcome their nationalistic perception of peace and pursue universal and pluralistic peace. In the end, the issue of territorial sovereignty between Korea and Japan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okdo and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sound territorial awareness and pluralistic peace awareness should be given to Dokdo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한·일 독도 교육과 평화 인식

        도연경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In 2008, Dokdo sovereignty began to be clearly stated for the first time in explanations of Japanese middle school study guides, and Korea and Japan are competing to strengthen Dokdo education. Korea is in a defensive position trying to protect Dokdo from Japan, while Japan is strengthening Dokdo education with an aggressive stance of reclaiming it from Korea. Through education, both countries unconsciously perceive the other country as very hostile. On the surface, both countries take the basic position that this issue must be resolved peacefully, but Dokdo education is insufficient to make Dokdo recognized as peaceful. Rather, the conflict and check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only deepening through Dokd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eacefu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we analyzed what peace is pursu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learning guidance guidelines, which are the most basic in public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based on the results, we attempte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Dokdo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peace in both countries. As a result, Korea and Japan were establishing a common goal of nurturing human resources who could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human prosperity through education, but Dokdo education was not suitable for achieving peace. The reason was the different perception of pea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Korea, the passive peace perception that was hostile toward Japan was reflected in Dokdo education, rather than the active peace perception that had been traditionally inherited, and Japan was still applying the same passive peace perception that was centered on its own country from the era of militarism. Although peace was a common goal, the two countries ultimately applied different perceptions of peace. Therefore, Korea and Japan must redefine their perception of peace from the passive peace perception currently shown in Dokdo education to an active peace perception. Both countries must make efforts from various angles to share a redefined perception of peace in order to achieve the common goal of regional peace and cooperation. And Dokdo education, applied with the newly redefined peace awareness, should become a founda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eaceful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2008년 일본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처음 독도 영유권이 명기되기 시작하면서 한국과 일본은 독도 교육을 경쟁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독도를 수호하고자 하는 방어적 입장이며 일본은 한국으로부터 되찾아야 한다는 공격적인 입장에서 독도 교육을 강화하면서 양국은 교육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상대국을 매우 적대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있다. 양국 모두 표면적으로는 이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독도 교육에서는 독도를 평화적으로 인식시키는데 역부족이다. 오히려 독도를 통해 양국의 갈등과 견제가 심화될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평화적 관계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독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양국의 공교육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초등교육 과정과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에서 추구하는 평화가 무엇인지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양국이 평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독도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은 교육을 통해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었지만 독도 교육은 평화를 달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과 일본의 상이한 평화 인식에 있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오던 적극적 평화 인식이 아닌 일본을 적대시하는 소극적 평화 인식이 독도 교육에 반영되어 있었으며 일본은 여전히 군국주의 시절의 자국중심의 소극적 평화 인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평화를 공동의 목표로 삼고 있었지만 결국 양국은 서로 다른 의미의 평화 인식을 적용한 셈이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은 현재 독도 교육에서 보여주고 있는 소극적 평화 인식에서 적극적 평화로 평화 인식을 재정립해야 한다. 양국이 역내 평화와 협력이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재정립된 평화 인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새롭게 재정립된 평화 인식이 적용된 독도 교육이 양국의 평화적 관계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일 교과서 독도 기술 변화와 독도 인식 - 한·일 초등(소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도연경,이정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독도가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그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양국이 학생들에게 심어주고자 하는 독도 인식과 정책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한국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역사, 지리, 국제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독도 영유권을 인식하도록 이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도 풍부하게 제시하고 분량도 증가하고 있었다. 일본 소학교 교과서에는 검정을 거듭할수록 다케시마(竹島)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표현으로 통일되었고 영유권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다만 일본 교과서에는 일본의 영유권에 대한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으며 일본 정부가 마련한 학습지도요령에 있는 표현을 그대로 복사하듯 교과서에 기술하는데 그쳤다. 독도 관련 분량이 증가되지는 않았다. 독도 관련 표현 면에서는 한국은 독도는 우리가 외부로부터 지켜야 하는 고유 영토이자 인류보편적 개념인 아름다운 자연의 일부로 그 개념을 확장시키고 있지만 일본은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정부 입장을 그대로 되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교과서에서 독도를 통해 서로를 부정적이며 편향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상대국의 불법적 행위를 비판하고 고유 영토인 독도를 방어하기 위해 맞서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시킨다. 결국 독도가 양국 관계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동북아 평화 정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독도 영유권 문제를 장기전으로 유지하겠다는 양국의 정책 의도를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양국 관계를 개선하고 동북아 평화 정착을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독도 교과서 기술 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따라서 독도교육은 올바른 영토 인식 배양, 인류 평화에 이바지하는 인재 육성, 세계시민으로서의 소양 함양을 위한 미래교육으로 재편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