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환경과 개인변인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 영향분석

        도수정(Soo Jung Do),박춘성(Choon Sung Par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and develop a classroom model to promote creative competen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case studies on spaces in education and creative working places,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that foster creative competenc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expert content validity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niversity classroom standards for a creative environment that include size, structure, arrangement, the color of the wall, and lighting. Furthermore,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express autonomy, sociability, flexibility, and diversity through arrangement. The creative compet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uld improve in various ways, including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curiosity, task commitment, and problem-solving leadership. Therefore, establishing a university classroom encompassing these elements, arrangement, colors and creating differentiated spaces according to the area of study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및 2020년 A대학교 대학생 중에서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경험, 대학환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9년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450명, 2020년 온라인 학습환경은 454명으로, 총 904명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학번을 기준으로 2019년과 2020년에 응답한 대상을 추출하여 총 66명의 동일 대상을 확보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별 학습참여에서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비교해봤을 때, 이질집단 및 동질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온라인 학습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도수정(SooJung Do),송나리(Naree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을 함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각 요인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중 소통역량 척도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통역량 함양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S대학에서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소통역량 변화를 문항별, 성별, 학년별, 단과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소통역량 변화는 문항별,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학년과 단과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단과대)에 관계 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모든 학생에게 균일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소통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강조됨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그리고 다른 교육적 맥락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a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items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tems by background variables to utilize the findings as foundational data for program improvement. Methods Ninety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from October 2022 to December 2022 were targeted for analyz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program satisfaction by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majors or genders was survey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21.0, employing paired-sample t-tests,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changes by items and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years and departments. Additionally, the program satisf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s, years, and departments. Conclusions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provided uniform benefits to all student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in university education. Further research on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its suitability for various learning styles, and its applic-ability in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is recommend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관계중독 연구동향 분석

        조지현(Ji-Hyeon Jo),도수정(Soo-Jung Do),이옥순(Ok-soon Lee),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를 활용하여 관계중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22년까지 KCI에 등록된 학위논문 및 국내 학술지 중 ‘관계중독’ 키워드로 검색된 133편의 논문을 발췌 후 Net-miner 4.5를 이용하여 빈도수 상위 35개의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분석, 연도별 발표 논문 수 추이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근래 사회적 이슈이자 관계중독의 발현으로 보이는 스토킹 및 데이트폭력에 관한 뉴스를 수집 후 키워드 분석을 통해 해당 키워드의 노출이 많아진 시기와 관계중독 연구의 증가 시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관계중독과 관련해서는 2005년 이후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2022년까지 13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추출된 단어의 빈도는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초기성인기’, ‘상관’, ‘경험’, ‘심리’, ‘변인’ 순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연도별 발표 논문 수는 2014년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19년 한 해에만 26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넷째,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부모, 변인, 경험, 상관, 설문, 심리, 정적, 초기성인기 등의 순으로 나타나 다른 키워드와 그만큼 함께 연구되는 빈도가 높은 핵심 키워드로 파악되었으며,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부모, 불안, 경험, 성향, 지각, 정적, 행동, 변인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계중독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program, Net-miner,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relationship addiction and provid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goal, a total of 133 selected papers, extracted from Korean Citation Index (KCI) database, including dissertations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with the keywor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4.5. The analysis included cloud analysis,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by year, word network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dditionally, news articles on stalking and dating violence, which have emerged as recent social issues and potential manifestations of relationship addiction,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their correlation with the increase in relationship addiction research. The results revealed that research on relationship addic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2005, with a total of 133 papers published until 2022. The most frequent extracted keyword was “mediating effect,” followed by “parents,” “early adulthood,” “correlation,” “experience,” “psychology,” and “variable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tarting from 2014, with a peak in 2019 when 26 papers were published. The keywords with high connectivity centrality included “parents,” “variables,” “experience,” “correlation,” “survey,” “psychology,” “static,” and “early adulthood,” indicating their strong association with other keywords and their relevance as core keywords in related research. The keywords with high intermediary centrality were “parents,” “anxiety,” “experience,” “tendency,” “perception,” “static,” “behavior,” and “variables,” indicating their frequent occurrence as mediators between different keyword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addiction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학문별 차이점 규명 : 교육학, 경영학, 공학의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박춘성(Park, Choon-sung),도수정(Do, Soo-Jung),손영화(Son, Young-Hwa),조지현(Jo, Ju-H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 간 공통점은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 분야별 차이점은 영역 특수성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의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 총 119편에서 창의성 관련 키워드를 찾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학문별 창의성에 대한 공통 키워드는 ‘새롭고, 사고, 산출, 절차, 독특한, 해결’ 등이었다. 둘째, 각 학문에서만 나타난 창의성을 대표하는 개별 키워드는 교육학은 ‘지식, 인지능력’, 경영학은 ‘다양한’, ‘가치’, 공학은 ‘사회’, ‘시스템 ’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문별 공통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별 개별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의미를 구분 지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rough analysis on domestic creativity-related studie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It was performed in assumption that academ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long to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respectively. For this, creativity-related keyword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119 paper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fields published from 2005 to 2021 on academic database. The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common keywords on academic creativity, ‘new’, ‘thinking’, ‘output’, ‘procedure’, ‘unique’ and ‘resolution’ were obtained. Second, in individual keywords representing creativity in each field, ‘knowledge’ and ‘cognitive ability’ were found in education while ‘diverse’ and ‘value’ were discove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 engineering, ‘society’ and ‘system’ were obtained. Third, academic common and individual keywords were understood as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each.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eaning of doma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creativity, focusing on academic creativity-related key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