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버넌스 시각을 통한 지방정부 개발협력 사업의 제도적 특성 분석

        도묘연(Do, MyoYuen),정상희(Jung, Sanghee)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8 국제정치연구 Vol.21 No.1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The cases of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and Busan City, which have different forms of municipal ordinances supporting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ere examined. The study analyzed and categorized differences in the partnership between these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shown i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performance. A partnership consisted of participation, autonomy, fund sharing, and responsibility. This categoriz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a way for local governments to efficiently pursue a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via a public-private partnership unde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ccording to the analysis, Seoul City was characteristically government-led wher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institutions is relatively limi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performing a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Gyeonggi Province showed strong characteristics of private-sector cooperation, wher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institutions is practically ensured. Busan City showed mixed characteristics where an international exchange foundation, which is under supervision by the government despite being a private-sector institution, leads a projects.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Gyeonggi Province can be evaluated as an exemplary model performing a local government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분절화의 관점에서 본 지방정부 개발협력 사업의 중복성 분석: 2006년-2017년

        도묘연 ( Myoyuen Do ),정상희 ( Sanghee Ju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7년까지 광역정부가 수행한 개발협력 사업의 중복성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발협력 사업의 분야별, 유형별, 대상국가별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SDGs체제 이후 새로운 행위 주체로 등장한 지방정부 개발협력 사업의 실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방정부 차원에서 개발협력의 분절화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사업분야는 항목 수가 증가하고, 교육 및 농촌개발에 대한 중복성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었다. 반면 사업유형과 대상국가의 경우는 항목 수의 다원화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원조와 아시아 국가에 대한 중복성이 하락하였다가 다시 확대되고 있었다. 다만 최빈개도국 지원의 중복성은 약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독일과 일본의 사례처럼, 우리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그리고 지방정부 간의 협의 메커니즘을 강화하여 개발협력의 중복성과 분절화에 대처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었다. 이 경우 무상원조관계기관협의회와 전국시도지협의회의 권한 강화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duplica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conducted by metropolitan autonomous governments of South Korea from 2006 to 2017. Specifically,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according to areas, types, and target countries. This work was conducted to find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that have emerged as new actors sinc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ere s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the case of the program area, the number of list has increased and the duplication for education and rural development has consistently decl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ogram type and target countries, it has increased; however the duplication for project assistance and Asia’s countries decreased but has expanded again. But duplication for the poorest countries has diminished. Therefore, like the cases of Germany and Japan, we should cope with the duplication and fragmentation of development cooperation by enhancing the consultation mechanism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between local governments. An alternative for this can be to extend the authority of the Inter-Agency Grants Committee and the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 KCI등재

        한국 포퓰리즘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경제적 및 정치적 위기의 관점

        도묘연(Myoyuen Do)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20 평화연구 Vol.28 No.1

        이 연구는 포퓰리즘을 정당이나 엘리트가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여 실현 불가능한 공약과 정책을 남발하거나 상호 비방하는 행태로 정의하고, 김대중 정권부터 문재인 정권까지(1998.03.01-2019.09.30) 나타난 포퓰리즘의 변화 추이와 포퓰리즘이 확산되는 경제적 및 정치적 조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포퓰리즘” 신문기사, 객관적 및 주관적 경제지표, 대통령 지지율, 그리고 총선 결과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분석은 자기회귀오차모형의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정치권의 포퓰리즘 행태는 확산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그리고 경제성장률이 낮을수록, 대통령 지지율이 낮을수록, 선거가 다가올수록, 그리고 제1야당이 여당에 비해 의석수가 적을수록 포퓰리즘 행태는 증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Korean populism. In particular, the causality between populism and economic-political crisis was empirically analyzed, focusing on the trend of populism that emerged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rough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1998.03.01-2019.09.30). Populism was defined as the popularism of political parties and elites in the political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about “populism”, objective and subjective economic indicators,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and election results. This analysis utilized the regression method of an autoregressive error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opulism increased when the economic growth rate and the approval rate of the president decreased. Also, before the election and when the main opposing party had less seats than the ruling party, the populism increased, too.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한국 민관협력(PPP)의 현황과 변화 양상

        도묘연 ( Do Myoyuen ),정상희 ( Jung Sanghee ) 대한정치학회 2024 大韓政治學會報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발협력에서 2010년대 이후 수행된 민관협력(PPP)의 현황과 변화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PPP의 규모, 수원 대륙, 사업 분야를 분석하고, 파트너십의 관점에서 PPP 사업에 참여한 정부 및 민간 행위자의 특성을 규명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PPP 사업의 규모는 SDGs 출범 이후인 2017년을 기점으로 증가했으나, 전체 개발협력에서 약 3% 미만을 차지하는 수준이었다. 또한 수원 대륙은 일반적인 개발협력 사업처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업 분야는 농촌개발 및 교육훈련에서 벗어나 보건의료와 공공행정 등으로 다변화되면서 증가했다. 이와 함께 PPP 사업은 KOICA가 약 97% 이상을 수행하는 정부 주도형의 성격을 가지며, 민간 행위자가 일반 기업에 치중되어 있는 동시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수원국 내 민간 행위자의 참여는 극히 저조했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 사례를 통해서 볼 때, PPP 참여를 희망함에도 위험 부담과 재원 부족에 시달리는 기업과 다양한 민간 행위자들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초기 투자를 통해 기금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수원국의 기업이나 민간 행위자를 참여시키는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굴 및 시행도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in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 2010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the size, partner continents, and sectors of PPP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and private actors involved in PPP projects from a partnership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cale of PPP projects has increased since 2017, after the launch of the SDGs, but they still account for less than 3% of total development cooperation. Additionally, similar to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general, PPP projects are concentrated in Africa and Asia. However, the project areas have diversified from ru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to healthcare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PPP projects were predominantly government-led, with KOICA undertaking more than 97% of the projects. Private actors were primarily concentrated in general companies, while joint participation was not widespread. Notably,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actors from the beneficiary countries has been extremely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organize a government-level fund to strengthen partnerships between companies and various private actors who requires development cooperation but lack the risk appetite and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iden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involving businesses and private actors in partner countries be further pursued.

      • KCI등재

        지역교류협력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장우영(WooYoung Chang),도묘연(MyoYuen Do)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2

        Korean society must overcome regionalism and design institutionalization strategies in order to drive a qualitative leap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we should build power and infrastructure to promote the national unity based on it. In this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cooperation governance and its policy programs. Firstly, this study diagnoses the problems of regional conflicts with survey and literatures review.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ooperation status between Youngnam and Honam. Thirdly,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regional cooperation governance and its reform policy. This study systematically utilizes a survey analysis, case studies and expert opinions investigations to achieve research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