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능성 올리고당 첨가가 Bifidobacterium 균에 미치는 영향

        노효영,장금일,이강휘,김광엽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changes of growth properties of Bif. breve PBH-30 selected from korean infant by adding growth promotive factors such as galactooligosaccharides, fructooligosaccharides, and isomaltooligosaccharides. Bif. breve PBH-30 showed faster growth in TPY- broth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than TPY- broth(control broth). The medium with 5% GOS showed the fastest growth and 3% IMO showed faster growth than 5% FOS.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PY- broth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showed higher activies of α-galactosidase and β-galactosidase than TPY- broth(control broth). Also activities of α-galactosidase and β-galactosidase were higher in TPY- broth than with functional oligosaccharides except 3% IMO. In the analysis of fatty acid, the content of C18:1 ω9C was 31.53% in TPY broth, 38.41% in TPY- broth, 55.50%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50.95% in TPY- broth containing 5% FOS, and 45.75% in TPY- broth containing 3% IMO.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he media that containing functional oligosaccharides showed remarkably low pH than TPY- broth. Also the total acidity of Bif. breve PBH-30 was 0.873% in TPY- broth, 1.188%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1.134% in TPY- broth containing 3% IMO, and 1.098% in TPY- broth containing 5% FOS. Although Bif. breve PBH-30 cultivated in TPY- broth containing 5% GOS, affected significantly than with other functional oligosaccharides, growth in TPY- broth(control broth) supported highest bile tolerance. TPY- broth containing 5% GOS was more effective than TPY- broth in growth inhibition of pathogens such as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Adherences of Bif. breve PBH-30 to Caco-2 cells were observed at most of the Caco-2 cell surfaces using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국내에서도 소득증대와 시장 확대 등에 따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유아용 및 노인용 식품제조에 적합한 유산균 제제의 개발과 함께 선발된 유산균의 생육을 위한 특정 생장촉진물질의 탐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두유수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 선발된 Bifidobacterium 균을 생균제로서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Bifidobacterium 균의 성장요인으로 알려져 있고,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첨가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기능성 올리고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증식이 더 빠르게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GOS가 5%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빠르게 증식하였다. 또한,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한 경우 α-galactosidase와 β-galactosidase의 활성이 더 좋아졌고, 균체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을 비교해본 결과 Oleic acid (C18:1 ω9C) 함량 또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pH 변화와 총산도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능성 올리고당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pH 5.79의 0.873%를 나타낸 반면, 5% GOS 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pH 3.6의 1.188%, 3% IMO는 pH 3.69의 1.134%, 그리고 FOS는 pH 3.71의 1.098%등으로, 현저히 낮은 pH를 나타냈다. 내담즙성의 실험결과 , 기능성 올리고당 중 5% GOS가 가장 높은 나타냈으나,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병원성균 성장저해 실험을 한 결과, 5% GOS를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Bif. breve PBH-30이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등과 같은 병원성 균을 더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특히 E. coli O157의 생육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In vitro 부착능을 실험한 결과, 대부분의 Bif. breve PBH-30이 Caco-2 cell의 세포외막의 굴곡을 따라 부착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생물제제(BCA) 후보균주인 Streptomyces sp. A020645의 대량 균체생산 및항더뎅이병 활성증진을 위한 고체배지 조성에 관한 연구

        이향범,박동진,고정삼,고영환,김창진,노효영,이소금 한국식물병리학회 2005 식물병연구 Vol.11 No.1

        The effect of medium components such as wheat bran, rice bran, oat meal, and soybean meal as basic ingredients and KH2PO4, glucose, and molasses as additives on mass production and anti-potato common scab activity of streptomycete A020645 strain as a biocontrol agent (BCA) candidate was investigated. Of basic ingredients, oat meal was the best one for mass poduction and enhancement of anti-potato common scab activity. The biomass production of the active strain was more enhanced when 0.1-0.01.% glucose or molasses as additive were added into the basic medium. These information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applying for effective formulation of BCA. 본 연구는 감자 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를 대상으로 최적의 고체 배양 및 항더뎅이병 활성증진 배지조성 조건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조성을 보면 밀기울, 쌀겨, 오트밀, 대두박을 기본 성분으로, 그리고 KH2PO4,포도당, 당밀을 첨가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포자생성은 오트밀배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glucose 0.1~0.01%, 당밀 0.1~0.01% 첨가배지에서 포자생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그 외에도 KH2PO4 2%를 첨가한 경우와 포도당과 당밀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도 양호한 균체생성을 확인하였다.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의 배지조성별 항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활성을 조사한 결과 오트밀 및 쌀겨 배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glucose 0.1~0.01%, 당밀 0.1% 첨가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물제제 제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