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사 카츠에의 『노도의 보 (怒濤の譜)』론 : 『나의 자서전(私の自敍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私の自敍傳』との比較を中心に

        노영희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世界的な舞踊家崔承喜の生涯を描いた湯淺克衛の『怒濤の譜』を、崔承喜が25歲になった1936年日本語で書いた『私の自敍傳』と比較檢討してみた.湯淺は崔承喜の『私の自敍傳』が出刊されてから4年後『怒濤の譜』という作品を發表し、當時崔承喜という存在の意味を小說を通じて見せている.『怒濤の譜』は時代的な背景が崔承喜の『私の自敍傳』とほぼ同じであり、また登場人物も、モデルがだれであるかすぐ分かるぐらい『私の自敍傳』の中の人物たちと類似している.しかし湯淺が主人公の白聖姬を描寫する觀点は主人公の舞踊に對する自覺と韓國民族としての苦悶が稀薄な感じがする.小說の最初の部分で「胡茄歌」という漢詩を通じてあたかも當時の韓國人の立場が詩の中に登場する胡國人と同じ立場であることを暗示していた.しかし主人公が自から獨創的な踊りの世界を開發するために苦悶する樣子よりは師匠の死と社會的な狀況の變化によって踊りが變化することとなっている. しかし自敍傳の中で崔承喜は幼い時より父親の踊りを見ながら育ち、自然に身にしみていた韓國人の傳統的な踊りを通じて獨創的な舞踊世界に次第に眼覺めつつあったことを『私の自敍傳』ではっきりしていた.作家湯淺が主人公の舞踊の世界よりは彼女が當面した民族的な狀況に重点を置いている点は主人公の生涯を時代の中に稀釋してしまったような感じさえする.『私の自敍傳』が自敍傳という性格上、崔承喜の實際的な話しが主になっているが、『怒濤の譜』は湯淺が夢見た小說世界であったろう.その小說の世界の中には主人公の怒濤のように燃え上がる踊りの世界は描かれているが、そのような踊りが生じるまでの過程が稀釋されているのはこの作品の獨創性が問題視される結果を生じたと思われる.

      • KCI등재
      • KCI등재

        도서관을 대피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사서 인식 조사 연구

        노영희,노지윤,Noh, Younghee,Ro, Ji-Y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서는 도서관의 공식 및 비공식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을 추진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대피시설 지정여부 및 관련 서비스 현황,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및 재해 대응 서비스의 활성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제공 주체인 사서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임시 또는 상시 등 공간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재난 및 재해 관련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도서관의 사회적 안전공간 기능 수행의 실효성을 위해서는 행정부의 지원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다섯째, 사회적 대피처로서 도서관의 역할과 관련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시에 개별 도서관과 사서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될 필요가 있다. In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formal and informal social safety space function of the library is used as a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ibraries were designated as evacuation facilities and related service status, and librarians' awarenes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isaster and disaster response services.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direction to activate disaster and disaster response servic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who are the service providers. Second, discussions on spatial aspects, such as temporary or permanent, are needed. Third, development of disaster and disaster-related service models is required. Fourth, the administration's support and management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library's function as a social safety space. Fifth, when developing guidelines for the role of libraries as social shelters and related services, specific details to address the concerns of individual libraries and librarians need to be specifi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moved forward to the faculty system (Hakbuje), the number of basic course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core courses decreased. But the opposite phenomenon appeared as universities returned to the department system (Hakgwaje). Also, we investigated the domain-specific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by separating the courses of 34 Korean LIS Departments into these seven domains: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and Archival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urses reduced in most domains over the past 20 years, except for the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Science area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ollowing phenomena: disappeared courses, changed course’s names, courses that integrated into a single course, courses that separated into various other courses, and newly emerging courses with the developing age.

      • KCI등재

        교육·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교과서전문도서관 발전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노영희,최원태,윤다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2

        교과서전문도서관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교과서 개발 출판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현실을 보면, 국가지원운영 예산 부족, 공공기반시설로서 기반 취약, 교과서 관련자료 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간 연계체제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그리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거쳐 교과서전문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 구축 및 운영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크게 교과서전문도서관 조직 및 운영,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자원의 수집 및 목록작성 방안, 그리고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화전략 및 특화콘텐츠의 구축 등으로 대분하여 제안하였다. The specialized textbook library provides resources for textbook publishers and textbook development professionals as well as others in related fields who are committed to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The textbook library also supports research and education among the faculty and students. But, when examining the reality of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analysis concludes that it faces various problems such as state-supported operating budget shortfalls, weakness of public infrastructure, difficulty in collection of textbook-related data, and lack of inter-linked library systems. Thus, this study deter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through the process of literature analysis, case studies, and reflection of expert opinions. In this study, a long-term policy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operating of textbook specialized libraries has been proposed as follows: organizing and operating a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collecting and creating a list of textbook-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creating information strategy, and constructing specialized content for the textbook specialized library.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특징적 변화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에서는 교과과정 연구가 심층적으로 진행된 1991년의 자료로부터 출발하여 2014년까지 약 23년간의 교과과정의 변화를 6~7년 단위로 분석하되, 문헌정보학 학문영역 중에서 특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분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지학 분야의 과목은 1997년 69과목에서 2014년에 51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록관리학 과목의 경우 2005년의 33과목에서 2014년에는 57과목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학분야의 과목은 1997년 63과목에서 2014년 19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헌정보학일반 분야에 분류된 과목들을 분석한 결과 문헌정보학개요 관련과목, 현장실습과목, 출판과저작권 관련과목, 진로지도 관련과목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사 관련과목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done with the intent of showing the chang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curriculum from 1991 until 2014, across the 40 Korean LIS departments. Using the department and faculty system, which I expected were the biggest change factors, I took these as the division points and analyzed the published data regarding curriculum offerings in units of 6-7 years. Fiel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more depth for changes. The results indicated several things. First, in the bibliography field the number of individuals had been reduced from 69 to 51 in 2014. Second, the subjects in records management had increased from 33 in 2005 to 57 in 2014. Third, in the linguistics field the decrease was from 63 in 1997 to 19 in 2014.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individuals that had been classified into the general LIS field, it was found that subjects related to the outline of the LIS, field studies, publication and copyrights, and career guidance were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library were decreasing.

      • KCI등재

        도서관 공간의 치유적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노영희,김윤정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library and propose measures to create a healing environment in the library. Through this, the library will become a ‘healing place for the soul’, a space where people who are hurt for various reasons can heal the hearts. In addition, the library can be a healing space that can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and make changes. For this purpose,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applicable to the library were derived and based on this, the library healing environ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brarians express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library,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healing environment was rated higher tha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the librarians need to raise the awareness of heal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 professionalism in order to revitalize library healing environment. The librarians should offer the users the pleasant and comfortable and secure spaces. In addition, the library should provide a variety of healing programs by topic and user, and promote the fact that the library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herapeutic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치유적 환경을 평가하여 도서관에 치유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다양한 이유로 상처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인 ‘영혼의 치유소’가 될 것이며, 아울러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변화를 줄 수 있는 치유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치유환경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 치유환경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는 도서관 치유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치유환경의 물리적 환경이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도서관 치유적 환경 활성화를 위해 사서는 치유환경에 대한 인식 함양과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며, 이용자가 도서관의 쾌적한 환경을 이용하며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에서 다양한 주제와 대상으로 치유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용자가 도서관에서 치유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홍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술 활동 건전성 제고를 위한 부실의심 학술활동 근절 방안 연구

        노영희,양정모,강지혜,이종욱,김용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부실의심 학술활동 사례조사와 설문 및 면담 조사를 기반으로 부실의심 학술활동 방지를 위한 사전예방절차 및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부실의심 학술활동 예방을 위한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자 전문교육 실시방안, 대학 교원 및 연구책임자 전문교육 실시방안, 세미나/워크숍/콜로키움 실시방안, 혼용 교육프로그램 실시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부실의심 학술활동을 예방하고 투명하고 건전한 학술활동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논문 투고 및 학술활동 참석 시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셋째, 부실의심 학술활동 예방을 위한 근절 방안에 대한 절차, 대처 방안, 예방 문화 조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이 건전한 학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서관의 부실의심 학술활동 점검 서비스 강화 방안 및 학술지 정보 및 오픈액세스 활용 서비스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