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리적 자아와 도덕적 자아

        노영란 철학연구회 2004 哲學硏究 Vol.0 No.66

        문】합리성을 수단적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은, 행위자의 욕구가 직접적으로 행위를 위한 이유와 동기를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수단적 합리성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욕구이외의 다른 요소들이 행위의 목표를 결정하는데 관여할 가능성, 그리고 행위의 이유와 동기가 욕구에 제한되지 않고 형성될 가능성을 열어 두고자한다. 합리적 도덕성을 규명하는 한 방법을 모색하는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합리적인 행위자를 ‘욕구를 가진 숙고하는 인간(reflective human being with desires, 줄여서 RHD)’으로 이해한다. 합리적 행위자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RHD가 행위를 위한 이유와 동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특히 어떻게 도덕적 행위에 도달하는지를 탐구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고찰한다. 먼저, RHD의 의식구조에서 나타나는 자아들을 분석함으로써 욕구가 행위를 이한 이유와 동기의 유일한 혹은 독립적인 근원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둘째, RHD의 의식구조 내에서 드러나는 자아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합리적인 자아로부터 도덕적 자아로의 전이를 보여 주고자한다. 그리고 나서 그러한 전이과정에서 RHD가 어떻게 도덕적인 행위를 취하게 되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한다.일반적으로 합리적인 존재는, 행위를 취할 때, 무엇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지, 무엇을 하는 것이 가치로울지, 혹은 무엇을 해야만 하는지에 대해 숙고한다. 만일 이러한 숙고를 뒤따르는 합리적인 행동이 어떤 이유에 의해 지지된다면, 그 행동은 일반적으로 합리적이라고 간주된다. 즉 합리적인 행동은 일반적으로 이유에 관련되고 이유에 의해 시인되는 행동으로 여겨진다. 이때 합리성을 수단적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은, 행위자의 욕구가 직접적으로 행위를 위한 이유와 동기를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수단적 합리성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욕구와 행위를 위한 이유나 동기간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들은 욕구이외의 다른 요소들이 행위의 목표를 결정하는데 관여할 가능성, 그리고 행위의 이유와 동기가 욕구에 제한되지 않고 형성될 가능성을 열어 두고자 한다.행위를 취할 때 욕구와 합리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의 문제는 합리적 도덕성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관건이 되어왔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합리적인 행위자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할 필요가 있다. 합리적인 존재는 행위를 취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는 숙고를 통해 행위를 취한다고 기대된다. 합리적인 존재의 이러한 두 가지 속성 중 어느 하나를 간과한다면, 이는 적절치 못할 것이다. 따라서 합리적 도덕성을 규명하는 한 방법을 모색하는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합리적인 행위자를 ‘욕구를 가진 숙고하는 인간(reflective human being with desires, 줄여서 RHD)’으로 이해한다.攀이이후로는 욕구를 가진 숙고하는 인간을 RHD로 표기한다.攀攀 합리적 행위자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RHD가 행위를 위한 이유와 동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특히 어떻게 도덕적 행위에 도달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고찰할 것이다. 먼저, RHD의 의식구조에서 나타나는 자아들을 분석함으로써 욕구가 행위를 위한 이유와 동기의 유일한 혹은 독립적인 근원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둘째, RHD의 의식구조 내에서 드...

      • KCI등재

        도덕성과 도덕이론

        노영란 범한철학회 2005 汎韓哲學 Vol.37 No.2

        Antitheorists in ethics raise questions about theorizing the moral domain and then deny the possibility, necessity and desirability of moral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moral theory moral philosophy should aim for in the face of the challenge of antitheory arguments. For this, I try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three things: first, what are the dispensable human needs that moral theories can satisfy adequately; seco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theory are and what morality is really; and third, how moral theory works in our practical area. Moral theory is necessary in responding to the demands on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in resolving inconsistencies or conflicts between moral intuitions, and between the moral and nonmoral considerations, and in presenting new moral possibilities for our consideration. Moral theory, contrary to the criticism of antitheorists, can be taken to be a normative ethical theory which provides a set of universal moral principles for us. Also, moral principles, while they do serve to guide specific acts, are intended most fundamentally to guide one's entire life. It is true that moral reasons are not always the appropriate reasons to act on. Nevertheless, the moral consideration has its ultimate authority over nonmoral considerations in that it is our expression of excellence which we should try to attain. 윤리학에서의 반이론주장은 도덕이론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믿고 도덕적인 영역의 이론화에 반대한다. 본 연구는 반이론주장으로부터의 도전을 계기로 도덕철학이 제시하는 도덕이론이 지향해야할 적절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덕이론들이 적절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불가피한 필요들이 무엇인지, 도덕이론의 성격과 도덕성의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한다. 또한 도덕이론이 실천적인 영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며 그것이 어떤 한계를 가지는지를 검토한다. 도덕이론은 도덕성의 정당화요구에 반응하고, 도덕적 직관들간의, 그리고 도덕적 가치와 그 밖의 다른 가치들간의 불일치나 갈등을 해소하도록 우리를 이끌어주며, 우리가 고려할 새로운 도덕적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성격에 있어서 도덕이론은, 반이론가들의 비판과 달리, 보편적인 도덕원칙을 제시하는 규범윤리이론일 수 있다. 도덕이론이 제시하는 보편성은 행위자와 행위자가 처한 구체적인 상황에 관련된 여러 변수들이 작용함으로써 다양한 정도로 실현되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실천적 영역에서 도덕이론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덕원칙에 따라 행위하는 것은 도덕적 관심으로부터 행위하는 것이며, 도덕원칙에 복종할 때 행위자의 감정이 함께 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도덕원칙은 개별적 행위를 안내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보다 근본적으로 삶의 지침으로 의도된다. 도덕적 요구와 실제 삶간의 괴리는 도덕에 한계로 작용하지만, 도덕적 요구의 옳음은 우리가 지향하고 추구해야할 수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우선성을 주장할 수 있다.

      • KCI등재

        칸트 덕론에서 윤리학적 방법론의 성격과 의의- 윤리학적 교수법을 중심으로 -

        노영란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9 No.3

        ‘Teaching ethics’ in Kant’s the Doctrine of Virtue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Kant's doctrine of the methods on the acquisition of virtue. In this paper, I shall explore the nature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eaching ethics’ while scrutinizing the ambiguous or controversial parts included in the Doctrine of Virtue. First, the structure of the doctrine of the methods of ethics i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reason why virtue is a kind of acquired morality and the reason why the method of acquiring virtue requires both ‘teaching ethics’ and ethical ascetics. In addition, ‘teaching ethics’ is carefully examined in terms of goals, content, and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its nature. This examination reveals that moral catechism is not limited to the goal of understanding moral principles and that it is not a coercive or dogmatic method but a Socratic method. Also,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eaching ethics’ is considered by discussing the factors of ‘teaching ethics’ that enable students to move from the understanding of moral principles to the resolution to comply with duty and its indirect effect of triggering moral feeling.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덕론 편에 있는 윤리학적 교수법은 윤리학적 방법론의 핵심으로서 덕의 획득에 대한 칸트의 교육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적 교수법에 대한 덕론의 설명에 포함된 모호하거나 논쟁적인 부분들을 검토하면서 윤리학적 교수법의 성격과 실천적 의의를 탐색한다. 먼저 덕이 획득되는, 일종의 후천적인 도덕성인 이유와 덕의 획득을 위해 이론적 가르침에 해당하는 윤리학적 교수법과 수양적 훈련에 해당하는 윤리학적 수양법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면서 윤리학적 방법론의 구조를 탐색한다. 또한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의 차원에서 윤리학적 교수법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 윤리학적 교수법을 대표하는 도덕적 문답법이 도덕원칙에 대한 이해라는 목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 강제적이거나 독단적이지 않다는 점, 그리고 소크라테스적 방법에 해당한다는 점 등을 밝힌다. 나아가서 도덕원칙과 덕규칙에 대한 이해에서 의무를 준수하려는 결단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요인들 그리고 그러한 이해가 간접적으로 야기하는 감정 교육적 효과 등을 논의하면서 윤리학적 교수법의 실천적 의의를 고찰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그린(Joshua D. Greene)의 이중과정이론의 규범적 함의에 대한 고찰

        노영란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9 No.4

        Moral psychology has rapidly developed in cooperation with empirical sciences such as evolutionary biology, cognitive science, and brain science and thereby the discussions about its normative implications have been actively made. Joshua D. Greene’s dual-process theory of moral judgments is one of the remarkable results in those discussions. Greene explains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the deontological and the consequential judgments respectively to be the automatic settings of the emotional response and the manual mode of the controlled, conscious reasoning. He puts forward various scientific evidences including his own neuroscientific researches to support his theory. And he insists that the psychological facts bring about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rejecting deontology and preferring consequenti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Greene’s dual-process theory makes a misunderstanding of deontological judgments and so the theory is not appropriate for rejecting deontology as a normative ethical theory. For this I shall demonstrate that the deontological judgments in the crying baby dilemma can be driven by the cognitive reasoning rather than emotional responses. Furthermore I shall investigate how Greene could deal with such a possibility while closely inspecting kantian ethics pertinent to the deontology which Greene insists to reject.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at kantian ethics is compatible with the empirical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deontological judgments is relatively more intuitive and less cognitive than the process of consequential judgments. 진화생물학, 인지과학, 뇌과학 등 인간을 탐구하는 여러 경험과학들과의 협력 속에서 도덕심리학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도덕심리학적 연구 성과들이 가지는 규범적 의미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린(Joshua D. Greene)의 도덕판단의 이중과정이론은 이러한 논의들 중에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주장이다. 그린은 인지신경과학의 방법에 따른 자신의 실험결과를 포함하는 여러 과학적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의무론적 판단과 결과론적 판단의 심리적 과정을 각각 직관적인 정서적 반응의 자동적 세팅과 조절된 의식적 추론의 수동적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도덕심리학적 사실은 의무론을 거절하고 결과론을 선호하는 규범적 함의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그린의 이중과정이론은 의무론적 판단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아니며 이중과정이론으로부터 규범윤리이론으로서의 의무론을 거절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이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그린이 논의하는 우는 아이 딜레마를 가지고 의무론적 판단이 정서적 반응이 아니라 인지적 추론에 의해 이끌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이면서 그린의 주장을 반박한다. 나아가서 인지적 추론에 따른 의무론적 판단의 가능성에 대한 그린의 있음직한 대응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대응들이 결국 의무론적 판단이 결과론적 판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직관적이고 덜 인지적이라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그린이 거절하는 의무론에 해당되는 칸트윤리학을 검토하면서 의무론적 판단에 대한 경험적 사실과 칸트윤리학의 양립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스마트 주얼리의 감성적 디자인 유형 분석.

        노영란,최윤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8

        As areas of ICT devices expand due to development of fourth industry, Smart Jewelry is being released. Jewelry is not only a fashion tool to dress up the human body as it merges with the functional aspects of smart devices, but it also delivers the information needed to improve users' living conditions and the interaction of the information needed is likely to be expanded. Although wearable Jewelry is not widely popular with consumers due to its recognition that it is a Smartphone aid and technical limitations, it needs to be ultra-smallized and improved in design. By analyzing emotional types according to design, materials, and colors, focusing on the current wearable jewelry products, the company aim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value of creative smart jewelry by thinking about how smart jewelry will stimulate people's emotions. 4차 산업의 발달로 ICT 디바이스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스마트 주얼리들이 출시되고 있다. 주얼리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적 측면과 융합되면서 인체를 치장하는 패션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활환경과 안전개선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는 기능 및 필요한 정보의 상호작용이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주얼리는 스마트폰 보조기라는 인식과 기술적 제약으로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해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으나 디바이스의 초소형화,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출시된 웨어러블 주얼리 제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재료, 색채에 따른 감성적 유형을 분석하여 스마트 주얼리가 주얼리로서 사람들의 감성을 어떻게 자극을 할 것인가를 고려하며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 수정하여 창의적인 스마트 주얼리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신경과학적 도덕심리학과 덕윤리: 도덕판단에서 정서의 역할과 성격을 중심으로

        노영란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compare Aristotle’s virtue ethics and Jonathan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of moral judgments and Joshua D. Greene’s dual-process model. First of all both of Haidt and Greene present a kind of model integrating intuition and reasoning in moral judgment even though they take different positions on the degree of reasoning. Aristotle, too, aims for an integration model when he says that choice requires both of deliberation and desire.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odels and Aristotle in the features and method of integration. Haidt and Greene suggest a Humean model of integration while Aristotle pursues for an intellectualist one. And the integration mainly occurs interpersonally in Haidt’s model or it varies with the kinds of moral judgment in Greene’s while Aristotle insists that deliberation and desire work inseparably within a virtuous person. He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ristotle’s arguments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two models upon moral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two models show that the more naturalizing ethics, the more predominant the intuition and that the more reflecting moral philosophy-oriented positions, the more central the reasoning. It is the same with Aristotle. Aristotle’s metaphysical and teleological positions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his ethical naturalism and this explains why he pursues for an intellectualist integration and an inseparable interaction of deliberation and desire.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differences among Haidt, Greene, and Aristotle has to do with how normative conclusions in moral philosophy are connected to descriptive premises in moral psychology and what kind of normativity is involved in. 신경과학적 도덕심리학의 흥미로운 연구 성과는 정서와 직관이 도덕판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헤이트(Jonathan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모형과 그린(Joshua D. Greene)의 이중과정모형을 중심으로 하는 신경과학적 연구 성과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가 도덕판단에서 정서의 역할과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비교・검토한다. 먼저 두 모형 모두 도덕판단에서 정서가 하는 역할을 중시하지만 추론의 역할도 인정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통합모형에 해당한다. 그리고 합리적 선택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 역시 사유와 욕구를 아우르는 통합적 설명을 추구한다. 그러나 정서와 함께 추론을 통합하는 방식과 성격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와 두 모형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헤이트와 그린은 흄적인 감정주의적 입장에 근거한 통합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르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개인 안에서 사유와 욕구가 상호의존적으로 온전히 통합되는 것을 추구한 반면 헤이트는 한 개인 안에서 보다는 주로 사람들 사이에서 추론과 직관이 영향을 주고 받는다고 보고 그린은 판단의 종류에 따라 추론과 직관이 상이한 방식으로 통합된다고 본다. 이러한 차이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주장으로서의 두 모형의 도덕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의미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건한 형태의 윤리적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헤이트는 추론을 장려하지만 직관을 지배적으로 보는 규범적 주장을 한다. 반면에 그린은 과학적 사실과 도덕철학을 보다 느슨하게 연결하고 결과론을 지향하는 도덕철학적 입장을 반영하여 추론이 지배적인 결과론적 도덕판단을 규범적으로 옹호한다. 한편 목적론을 옹호하고 인간본성에 대한 사실을 규범윤리적으로 접근하는 아리스토텔레스는 헤이트나 그린보다 추론의 역할을 더 중시한다. 또한 결과론에 대한 규범적 지향을 가진 그린이 추론을 중시한 반면 결과론과 의무론을 아우르는 규범윤리적 입장을 지닌 아리스토텔레스는 추론과 정서의 온전한 통합을 주장한다. 이러한 비교・검토는 헤이트와 그린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간의 차이가 도덕심리학의 기술적 전제로부터 도덕철학의 규범적 결론을 어떻게 연결짓느냐 그리고 어떤 규범윤리적 지향이 관여하느냐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학과 도덕철학의 조화를 추구한다고 할 때 도덕심리학과 규범윤리이론의 관계설정이 근본적으로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