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상(李箱)의 소설에 나타난 냄새의 의미 - 「환시기」를 중심으로

        노연숙(Roh, Yeon-Sook)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7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the “smell” that appears in his work, focusing on Hwan Si Gi that has not been properly illuminated during that time. In the meantime, Hwan Si Gi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Nal Gae or other work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look at HwanSiGi, a work that has been relatively unnoticed among the above-mentioned work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look at the omitted turning points that have not been noted so far. The frame composition, present-past-present, omitted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how the state of resentment was overcome when transition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smell of coal sparkling water as a clue and the consequent narrative of horror, and trace the process of the omitted turning point by referring to the negative attitude of the aberration towards the mortal, which is the origin of fear. This will give us a clear look at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reality, the intention that the writer intended to convey. Unlike other works, HwanSiGi is dominated by a mood of harmony, creation and peace, not division, collapse and anger. The main character, “Lee Sang,” emphasizes love in a conversation with Songun. This love is more like the great love of a superhuman on the other side of good and evil. “I” chooses to travel to Tokyo as a symbolic immigration, a third way, away from the dichotomous world that forces the choice of life and death. In this regard, HwanSiGi is noted for its life’s willingness to affirm a fragrant life beyond the stench-ridden grudges, even if it failed as a result.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전후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민족의 의미

        노연숙(Roh Yeon-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해방 후 조선은 ‘대한민국’이라는 독립 국가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일제 잔재의 청산 및 친일파를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밟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이광수는 민족의 반역자라는 죄목으로 반민특위법에 따라 검거되는 처지에 놓인다. 이광수는 비단 이 외부적인 사건뿐 아니라 민족적 규탄의 대상으로 많은 비판을 익히 받아온 처지였다. 특히 해방 후에 친일행적을 했던 이광수에 대한 비난은 극심했으며, 이광수 또한 자신의 과거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해방 후에 이광수는 〈나의 고백〉을 통해 자신의 친일행적의 배경과 동기를 밝혀 놓았지만, 그 내용인즉 ‘친일은 곧 자기희생’이었다는 논의로, 자신이 애국자라는 명예를 버리고 조선민족을 위한 행동을 취했던 것이라 주장했다. 이러한 이광수의 태도는 자아반성이 없는 비열한 변명으로 받아들어졌으며, 더 이상 이광수라는 이름을 전면에 걸고 문단활동을 할 수 있는 자리마저도 유지하기 힘들게 했다. 이러한 전후 사정은 익히 알려진 것으로, 본고에서는 해방 후에 이광수 문학이 해방 전의 행적에서 자유롭지 못한 채, 무수한 죄의식과 무수한 고백의 포즈 그리고 미처 다 털어놓지 못했던 고통으로 얼룩진 악몽이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이광수 스스로가 시인하고 싶지 않았던 죄의식과 그를 지탱하게 했던 민족적 자의식의 실체를 구명해 보고자 했다. 이광수는 변명으로 일관된 〈나의 고백〉을 집필하기에 앞서, 자신이 감추어 두었던 오래전의 간통사건을 〈나(스무살고개)〉를 통해 고백한 바 있다. 이광수가 해방 후에 자신의 자서전을 쓰면서 굳이 밝히지 않았어도 좋았을 간통사건을 굳이 언급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를 유념해보면, 간통사건과 친일행적의 미묘한 연관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다. 그것은 곧 ‘배신’이며 자신의 영역권의 ‘이탈’이라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이광수는 무수한 시간이 흐른 뒤에 겨우 운을 떼어 간통사건을 고백했다. 이에 비추어 본다면 친일행적은 그 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요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이광수의 심적인 번민은 악몽으로 나타났는데, 그의 작품 〈꿈〉(중편)과 〈세조대왕〉 그리고 〈원효대사〉에는 각각 살인과 파계라는 죄를 저질렀을 때 발생하는 죄의식과 중압감이 서술되어 있다. 작품에서 이들은 악몽을 극복하기위해 불심을 빌려보지만, 불상마저도 흉악한 모습으로 변하는 공포를 겪는다. 이 좌절은 이광수의 자서전과 같은 단편 〈꿈〉에서도 나오며, 해방이 곧 그의 최대 악몽이라 볼 수 있을 만큼, 해방 후에 이광수에게 남은 것은 단지 불심과의 공명뿐이었다. 이광수는 민족적 수양이나 수행을 대신하여 민족 간의 사랑을 추구해야 할 기치로 제시해 놓았는데, 이는 그의 관심이 어디까지나 민족에 놓여 있었으며, 실패로 끝나버린 그의 좌절된 이상의 실체가 곧 민족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After the liberation, Korea went through stages to become a strong nation state. The first stage was to remove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punish the pro-Japanese. In this process, Yi Gwang-su was identified as pro-Japanese and was arrested. I will deal with the meaning of nation,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s distinguished by being self-conscious about his pro-Japanese actions. By investigating his frustrated will to administrate a nation by the nation discourse and by collecting the remaining pieces which are left from his ideal world, I hope to clarify the meaning of 'nation', which has not yet been described clearly. Yi Gwang-su was willing to justify his pro-Japanese actions with his own logic in My Confession. But there are many inconsistencies in his thoughts that the cooperation for Japan was the only way to lessen national difficulties and to get a good chance to improve national development. Accepting the stage of liberation, Yi Gwang-su asserted that his actions had been a sort of sacrifice for the people of Chosŏn. However, he did not get free from a sense of shame. It is very suggestive that he referred to adultery as a part of the recording of disgrace. In I (1948), Yi Gwang-su wrote his memory that he committed adultery with Moon's sister. Being Pro-Japanese is a kind of 'national adultery' and has a common point in the action following his desire, although the one is a national, while the other is a private problem. The actions is to betray another and to throw away its realm (wife and Chosŏn). Instead of an apology for his collaboration, confessing his adultery which nobody scolded him for shows a delicate irony. He confessed his fatal mistake that he could not control himself quite some time after it had happened. A confession about collaboration would have demanded an even longer time. In the short story Dream(1939), Yi Gwang-su could not hide terror although he knew that his nightmare was an illusion. Although he did not spell the name of any crime, this shows that he felt the critical eye of the nation resting upon him because of his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In reality, the biggest nightmare of Yi Gwang-su was maybe the liberation itself. In the moment of liberation, he lost all things and had to face reality and therefore the fact that his national movement had failed. It is well known that Yi Gwang-su's literature deals with nation generally and shows that the center of his interest lies on the destiny of nation. There was nothing that he could lean on after liberation. There remained only sympathy with Buddha's love. His fiction, which represent his biography and wish for relief about retribution for the deeds of a former life, shows the love for the nation, which he as an outsider from national border appealed to, finally.

      • KCI등재

        이파촌의 「폭풍우(暴風雨) 지난 후(後)」 연구

        노연숙 ( Roh Yeon-sook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4 No.-

        이 글은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이파촌의 「폭풍우 지난 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 작품은 1930년대 『조선일보』에 연재된 대중소설이다. 작가보다 작품이 중요하다고 볼 때, 비주류의 신진작가의 소설이지만 시의적인 면에 있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품은 대중소설이지만 통속성에만 치우치지 않고 사회주의와 긴밀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주인공이 선하고 반동인물이 악한 스테레오 타입의 인물유형을 깨고, 주인공이 악하고 반동인물이 선한 사회주의자라는 독특한 구성에서도 드러난다. 이렇게 뒤바뀐 인물의 성격창조 방식은 애정서사 안에 사회주의가 은폐되어 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작품은 검열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멜로드라마의 구성을 취하되, 독자의 도덕적 정서에 호응하는 사회주의의 긍정성을 보여준다. 작품에서 사회주의의 유무는 선악의 세계와 대응한다. 이로 볼 때 「폭풍우 지난 후」는 사회주의를 내재한 대중소설로, 사회주의가 대중소설의 대중성을 확보하는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After the Storm" of Lee Pachon as a way to expand the scope. This work is the debut of an unknown writer who has never been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research.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the work in the context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author. In this regard, the contemporary phenomenon of the literary periphery needs to be reconsidered. The 1930s was a time for reminiscing about the fallen socialist. Above all, it was not free from censorship, which the serialization was sometimes suspended if the socialist activity was directly specified. The main character is the wicked who has never been seen before. And it depicts the process of a wicked person being influenced by a socialist who is a figure of his surroundings. This seems to be intended to avoid censorship by putting an interest-oriented narrative at the front. This work shows that popular novels cannot be completed simply by its popular nature. Public novels had to reflect the moral sentiment of contemporary readers. This work put forward socialism as such moral sentiment, and it suggests that popularity can be acquired by a combination of popular nature and ideology.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한중일에 통용된 정치적 텍스트의 굴절 양상 고찰 - 시부에 다모츠(澁江保)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노연숙 ( Roh Yeon-so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3 No.-

        이 논문은 시부에 다모츠(涉江保)의 『파란쇠망전사(波蘭衰亡戰史)』(1895)가 한국과 중국에서 번역되었다는 사실에 주안을 두고, 동아시아 삼국의 문학텍스트를 비교해봄으로써, 당대 한국에서 이와 같은 장르의 문학이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었으며 번역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당대 `민족담론`으로 획일화될 수 없는 미묘한 변별점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이는 일차적으로 어용선의 「파란말년전사」(1899)가 일종의 애국을 표방하는 역사장르에 속한다는 평가에 의문을 던지는 것과 동시에, 정치적으로 문학적으로 변방에 선텍스트, 특히 정전바깥에 선 텍스트의 성격을 구명하면서 이들 텍스트만의 특성을 고찰해보는데 있어 일정한 시선을 확보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저자인 시부에 다모츠를 비롯하여, 한국의 역자 어용선과 중국의 역자 설공협은, 문학의 영역에서 그리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마이너리그에 선 인물들이었다. 이는 이들의 정치적인 입장이나 성격이 국가사업에 동조하지 않는 그룹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부에의 경우에 군국주의를 추구하는 내셔널리즘의 계열에 비껴서 있었으며, 어용선은 고종정권을 위협하는 인물로 지목된 바 있으며, 설공협이 번역한 「파란쇠망사」에 추가된 발문에는 반러(反露)정신이 고양되어 있어, 당시 지배정권의 정치적인 방향과 반대편에 놓여있었다. 텍스트 상에 있어서, 시부에는 제국의 논리 그 자체마저는 부정할 수 없었으나, 텍스트는 그 내용과 별도로, 수용되는 입장에 따라 변모될 수밖에 없는 시대적인 운명에 갇혀 있었다. 한국과 중국으로 수용되었을 때 그 번역된 텍스트는 자연스레 변용되어, 다른 형태의 실천을 표방하고 보조하는 매개체로 쓰인 것이다. 이는 직역된 텍스트에도 그러했다. 내용소개가 목적이 아니라 정치적인 사례로서의 이용에 목적이 있었기에, 역사적인 성격의 텍스트는 정치적인 텍스트로 변모할 수밖에 없었다. Focusing on the fact that Sibue Tamotu`s ParanSoemangJensa(波蘭衰亡戰史) had been translated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aims to find specific features which could not be included `discourse on n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way of translation and acception of `historical narrative genre.` This work would put the question to the viewpoint that Eoyongseon`s Paranmalyeonjensa(1899) is the one of `patriotic historical narrative genre` primarily. Moreover, this work would find a viewpoint which could features of the text outside of the canon literarily and politicaly. Sibue Tamotu as an original writer and Eoyongseon and Seolgonghyeop as a translator were not famous in literary field in those days. This shows their political positions were not accord with national political projects. Sibue could not be grouped to nationalists who agitated for militarism. Eoyongseon had been regarded as a dangerous man in the regime of ko-jong. And Seolgonghyeop`s ParanSoemangsa had been opposite side of political direction of the government because the preface of ParanSoemangsa included contents opposed to Russia. On sibue`s text, of course, it was impossible to deny the logic of impelialism. However, text have to be modified accord to viewpoint of mediators through the acception of text. Sibue`s text was also be modified to claim to support different kinds of practices, even if it was translated literally. Through the acception and translation, Sibue`s text had been changed from historical text into political text, because the translators had not aimed to introduce the history of Poland but to indicate a political example.

      • KCI등재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자의 낭만적 형상화 -박화성의 「백화」론

        노연숙 ( Yeon Sook Roh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3

        Park Hwaseong’s novel Baekhwa, which was serialized in the newspaper Donga Ilbo, is generally not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historical novel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such, a study on the newspaper series text of Baekhwa has not been carried out even though it is complete in form. Therefore, the current paper aims to deal with the material of the ‘series itself.’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sentimental class nature’ in Baekhwa. First of all, Park made an ideal world in order to realize revenge against the evildoer(勸善懲惡). Secondly, each character’s emotional thinking was expressed by poetry and music(詩歌). Loyalty was implied by poetry and music, which operated to connect Wangsaeng and Baekhwa as important clues. They were reborn as the artist by poetry and music without losing their original nobility, and reborn as true human beings. Finally, the characters were linked by a debt of gratitude(恩義) to one another. They swore brotherhood and married each other in the name of comrades(志氣相合). Moral justice(義), in particular, is this novel’s main theme and is connected with the plot of the revenge. Although this series is a historical novel, it focused on fictional characters rather than actual characters. They are unrecorded characters, such as the Subaltern. Park succeeded in delivering, through them, the message that the realization of justice makes the world better.

      • KCI등재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과 결합된 가족서사 고찰

        노연숙(Roh Yeon-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이 단순히 작품의 배경에 국한되지 않고, 작중인물의 일상에 개입하여 인물의 미래와 행로를 바꾸고 있다는 데 주목하여, 신소설의 주된 골격이 되는 가족서사가 정치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어떻게 변모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신소설은 공적인 담론보다 개인사에 치중하며, 특히 가족이라는 체제에 천착하여 ‘헤어진 연인과 해체된 가족의 재회와 상봉’을 주된 구도로 삼고 있음을 쉽게 볼 수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이별과 유랑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문명에 대한 감각을 담지하게 되며, 고국으로 돌아와 가족과 상봉하기 전까지, 자국을 문명국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당위적인 명제처럼 일괄적으로 지니게 된다. 이러한 패턴과 모델을 대표하는 인물로「혈의 누」의 옥련이와「은세계」의 옥남이를 들 수 있다. 이인직의 정치 감각 속에 직조된 이 아이들은 이인직이 구상한 문명세계라는 ‘인공정원’에서 성장하고 무기력했던 기성세대를 대신한 새로운 세대의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매번 뛰어난 성적으로 신문에 오르내린 옥련이의 학문적 천재성은 문명이 지향하는 바가 곧 교육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너무나 완벽한 그래서 인공적인 신기루와 같은 이상적인 조형물에 불과함을 역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특히 후자의 측면에서 옥남이는 理想兒 혹은 정치개혁의 기계로 그려진다. 정치적 사건은 아이들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었으나, 정치개혁의 의지를 지니고 돌아온 아이들은 그들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자국의 절망적인 늪 속에서 별 다른 힘을 써보지 못한 채 침몰하게 된다. 이들이 품었던 정치적 열망은 이루지 못하거나, 개혁의지는 사라지고 가정이라는 개인적 공간으로 침전해가는 것은, 가정과 국가의 관계가 대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이들은 국가사업에 뛰어들면 가정을 유지할 수 없고, 가정에 주안을 두면 국가사업을 운영할 수 없는 모순 속에 갇히게 된다. 이 모순과 역경 속에서 결국 정치개혁의 이상은 실패로 끝나지만, 정치적 파고가 낳은 옥련이와 옥남이는 신소설에 나오는 인물군을 대변하여 정치에 대한 열망이라는 감각을 일깨워준다. 즉 신소설 속에서 국가, 문명, 정치개혁 등 다음 세대에는 외압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둘리지 않을 힘을 소지하려 했다는 흔적을 남겨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신소설에 함의된 정치적 사건과 정치성은 신소설의 범주를 정치적인 신소설, 혹은 너무나 신소설적인 정치소설로까지 확장시켜 놓는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the new-style fiction), which are not only functioned as a background in a work but also change the characters' future by cutting in their lives. Thus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aspects of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al events and the family-narrative, which is a primary frame used frequently in Shinsoseol. Shinsoseol is said to adopt the private history like the reunion of divorced couples or dispersed families as a story line, not the public discourse. The political even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the characters in Shinsoseol, make them say goodbye to their family and lead nomadic lives. Suffering from their destiny, they get the senses of 'Civilization', and then have an aspiration to make their country 'the civilized nation'. They regard this aspiration as a bounden duty. Representatives of these patterns and models are Okryeon in Hyeorenoo(Blood tears) and Oknam in Eunsegye(Silver World). Okryeon and Oknam have ever studied abroad in Japan and America, which was considered as two centers of the civilization. These idols who are made from Lee In Jick's political sense come to face a dilemma, family and nation. They are new generation who can substitute for the old, but they cannot avoid sinking down under the real world. Their aspiration to change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osun is broken down and they are absorbed in the private history. This shows the antagonism between 'family' and 'nation'. In brief, they cannot help choosing either family works or national business, not the both. It's a dilemma. Even though political revolutions in Shinsoseol end mostly to fail, characters such as Okryeon and Oknam awake people at that time to a sense of politics by rise and fall of their political passions. Like this, Shinsoseol left traces of 'nation', 'civilization', and 'political revolution' behind for the next generation to follow out of the political confusion. Politics and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 made Shinsoseol include the new political novels.

      • KCI등재

        安國善의 『比律賓戰史』와 번역 저본 『南洋之風雲』 비교 연구

        노연숙(Roh Yeon-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본고는 이제까지 연구사에서 다루어지지 못했던 『比律賓戰史』의 번역 저본인 『南洋之風雲』을 중심으로, 『南洋之風雲』과의 비교를 통해 다른 맥락에서 번역된 『比律賓戰史』의 특수한 지점들을 조망해보고자 했다. 『南洋之風雲』은 마리아노 폰세가 스페인어로 저술한 CUESTION FILIPINA를 미야모토 헤이쿠로우와 후지다 스에타카가 공역한 것이다. 이 작품은 일본에서 체류하던 중국유학생에 의해 상해출판사에서 출간되었으며, 역시 일본에서 유학하고 보성관의 번역원에서 활동하던 안국선에 의해 조선에서도 출판되었다. 『南洋之風雲』에는 ‘비율빈독립문제의 진상’이라는 부제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리핀이 미국의 식민지로 떨어지게 된 경위가 순차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比律賓戰史』는 원작을 밝혀놓지 않았지만, 구성과 내용면에서 『南洋之風雲』과 동일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내용을 압축한 수사나 일본의 연원을 조선의 연원으로 바꾸었다는 것, 그리고 세세하게 나열된 인물의 소개가 대표적인 인물을 제외하고는 생략되었다는 것뿐이다. 이렇게 동일한 『比律賓戰史』가 어떻게 원작과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일까. 이는 출판배경이 된 정치적 상황과 번역의 행위에 대한 고찰로 해명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시각에서 볼 때, 단순히 독립을 지향하는 역사 교과서로서의 고정된 인식을 탈피할 수 있다. 거칠게 말해 안국선의 번역은, 이미 원작과 거리를 확보한 다시쓰기의 형태로 재현되었다. 러일전쟁을 전후로 확연히 뒤바뀐 일본의 정세와 맞물려, 일본 측에 잠식되어 간 조선의 정치적 상황은, 어디까지나 미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필리핀의 사정과 다르지 않았다. 즉 필리핀의 좌절된 독립의 이야기 속에 비판된 미국이라는 제국은, 곧 조선을 억압하는 일본이라는 제국에 대한 비판의 시선으로 연결되었다. 이 점에서 『比律賓戰史』는 『南洋之風雲』과 동일하지만 결코 완전히 포개질 수 없는 격차를 지닌다. 일본어가 조선어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자연히 빚어질 수밖에 없는 차이에 대한 문제는 번역의 행위가 정치적으로 독자의 특성에 따라 변용되지 않을 수 없는 운명임을 시사해준다. This paper intends to inspect Beeyulbin jeonsa(比律賓戰史, Philippine War History) for its peculiar and remarkable characteristics. Beeyulbin jeonsa's original text is Namyangjipoongwoon(南洋之風雲, The Storm of South Sea)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studies. Namyangjipoongwoon, translated by Miyamoto Heykuro and Hujida Setaka, is a translation of CUESTION FILIPINA written in Spanish by Mariano Ponce. This work was published in Sanghai Publishers by a Chinese student studying in Japan. And Ahn Kook-seon, who had also studied in Japan and was a translator of Translation Institute of Bosungkwan, translated it into Korean in Chosun. Namyangjipoongwoon, the subtitle of which is 'the Truth of Philippine Independence Issue', showed separately and gradually why and how Philippine had become a colony of the United States. Beeyulbin jeonsa didn't confess its original text, but it shared the plot and the contents with Namyangjipoongwoon. It just has a few differences. One is that it used a rhetoric to compress the contents. Another is that it changed the origin of Japan into the origin of Chosun. The other is that it presented several representative characters omitting a lot of characters in the original. What's the meaning of this translation? What's the meaning of Beeyulbin jeonsa different from Namyangjipoongwoon.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will investigate the political situation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activitiy of translating. Especially with the latter' view, we can escape from a fixed idea that Beeyulbin jeonsa was a history textbook for students which the intellectuals tried to implant a spirit of independence into. Speaking previously, Ahn Kook-soon's translation was a re-writing originated but distant from the original text. Chosun' political situation wasn't different from Philippine's because Chosun became gradually a colony of Japan at that time, which had won the Russo-Japanese War and had acquired the leading powe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it were, the United States as a expansionist was the same with Japan. Namyangjipoongwoon's critical attitude to US was adopted equally in Beeyulbin jeonsa, in which, of course, the critical attitude was targeted to Japan. From this point, Beeyulbin jeonsa is not only the same with Namyangjipoongwoon but also has the difference that cannot be ignored. This sameness and difference cannot help coinciding whenever a Japanese text is translated into Korean. It's perhaps a destiny of translation, which usually transforms the original text with the political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