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 가구와 비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노승현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mong middle and aged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households. This study used the 2008, 2011, 2014 and 2017 surveys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to explore how gender, age, spouse,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proportion of working households, household income, private health insurance, types of health care system,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the type of disability, the degree of disability, disability duration, determin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households.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households, and conducted the panel logit model. This results show tha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spouse,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ypes of health care system,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the type of disability(internal disability). This study shows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middle and aged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 및 비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재난적 의료비는 지불능력 대비 가구 보건의료비 지출수준이 역치기준을 초과한 상태로 정의하였다. 한국복지패널 3, 6, 9, 12차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50세 이상 중고령 장애인가구 123가구 510명과 중고령 비장애인가구 625가구 3375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재난적 의료비 영향요인에 대한 패널로짓 분석결과, 중고령 장애인 가구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을 때, 저학력의 경우, 가구원수가 많은 경우, 건강보험+비빈곤가구에 비해 건강보험+빈곤가구인 경우, 의료급여 가구에 비해 건강보험+비빈곤 가구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신체외부장애에 비해 내부장애의 경우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이 높았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중고령 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발생을 경감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Phosphonated Alginate Derivatives as Coating Material on Titanium Surface for Medical Application

        노승현,김은혜,한가득,김재원,Yoshihiro Ito,이재관,손태일 한국고분자학회 2017 Macromolecular Research Vol.25 No.12

        Alginate derivative was prepared to be coated on titanium surface for improving osseointegration. It was modified by reaction of alginate and 3-aminopropylphosphonic acid. The phosphonate group of P-alginate was identified by 31P NMR. There was a specific peak derived from phosphonate group at about 24 ppm form external standa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water contact angle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for characterization of titanium surface treated with P-alginate. To confirm toxicity, cytotoxicity test was performed. Cell-adhesion test was demonstrated to improve cell adhesion on titanium surface.

      • KCI등재후보

        역량기반교육과정 비판적 분석: 2012 경기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노승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4 인격교육 Vol.8 No.1

        This is the case study of the documentation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which is a current theme of educational reform. In 2012,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GPOE) firstly introduced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to the curriculum of GPOE of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GPOE is the biggest educational organization which holds 1.8 million students, 120,000 teachers and 2,300 schools. So it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e of GPOE, the way to present i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e and subject competence, and the strategies to develop the competence. Especi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perspective toward the curriculum, methods and evaluations related to competence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synergy will be maximized when school member's willingness to change school meets the support from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uthoriti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more discussion about the documentation of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the province-level curriculum and school-level curriculum is needed. 이 글은 교육과정 개혁의 주제로 논의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e-based curriculum)이 공식 문서화(documentation)된 사례연구이다. 2012년 경기도교육청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처음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경기도 교육과정(curriculum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에 도입하였다. 지역단위 교육청의 문서자료이지만, 경기도교육청에 소속된 12만 명의 교사, 2,300개의 학교, 180여 만 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가장 큰 규모의 교육주체임을 생각해 볼 때 경기도 교육과정의 역할과 그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이 글에서는 경기도 교육과정인 ‘창의지성교육과정(creativity intellect curriculum)’과 교육청이 선정한 7가지 역량, 교과별 역량내용 및 선정과정, 역량계발방식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기초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반영된 지역 및 학교단위 교육과정에 적용에 대한 논의가 보다 더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승현,임승희,Roh, Seung-Hyun,Lim, Seung-He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참여의 동기 및 결과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여 자원봉사 참여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조사는 2007년 한국호스피스협회 추계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자원봉사자 200명과 5개 호스피스 기관의 자원봉사자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자원봉사참여도를 내생변수로 실존적 안녕감 ${\rightarrow}$ 자원봉사참여도의 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자원봉사지속성을 내생변수로 가치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 자원봉사참여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 자원봉사만족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자원봉사만족도를 내생변수로 실존적 안녕감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사회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이해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가치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접효과의 경우 자원봉사지속성을 내생변수로 실존적안녕감 ${\rightarrow}$ 자원봉사 참여정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 실존적안녕감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 사회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 이해동기 ${\rightarrow}$ 자원봉사만족도 ${\rightarrow}$ 자원봉사지속성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들의 실존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타적 가치추구 유도교육, 지적성장 격려, 친밀한 관계의 경험에 기초한 자원봉사활동, 지속적 봉사활동 유도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tested a model of hospice volunteer's motivations and outcomes to encourage more volunteer workers to participate in hospice care. Methods: This included 200 volunteers who attended the Autumn Conference in 2007 and 132 volunteers from five hospice organizations. Results: Volunteers' existential well-being affected an endogenous variable of volunteer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The durability of volunteer activity was affected by value motivati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volunteers' job satisfaction level, valid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existential well-being, social motivation,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value motivation. The dur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was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ree different paths. Volunteers' existential well-being determined the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which in turn affected the durability of such activities. Social motivation influenced volunteers' job satisfaction, and then the dur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Volunteers' understanding of motivation also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n the dur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durability of volunteers activities c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volunteers' well-being and by providing volunteers with education on altruistic values, encouraging them to seek intellectual growth, and advocating them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 volunt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