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노동자의 고용 관계와 계층화: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노성철,이정아,김문정 한국산업노동학회 2022 산업노동연구 Vol.28 No.2

        Complementing prior research that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precarity of platform workers, we aimed at develop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who we termed ‘digital workers’ who engag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digital platform services. To do so, we draw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f digital workers i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which has undergone a rapid shift to the platform economy. Our findings show that digital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based on their role in the circulation of algorithm and data throughout platform services: core, peripheral and boundary digital workers. While core digital workers design and develop an algorithm that shapes the labor process of the boundary workers, the latter produce data that the former use to improve the algorithm. The peripheral digital workers play an intermediary role in the circulation of data and algorithm. Further, we highlight the nature of stratification which has been emerging among digital workers in terms of wage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our findings. 본 연구는 플랫폼 서비스의 개발ㆍ운영ㆍ실행에 참여하는 ‘디지털 노동자’ 집단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플랫폼 노동에 대한 논의의 확장을 꾀한다. 지난 5년 동안 빠르게 성장한 우리나라의 모빌리티 플랫폼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세 디지털 노동자 집단의 직무, 임금수준 그리고 노동시장 이행 성과를 조명했다. 디지털 노동자들의 직무는 그들이 노동과정에서 알고리즘 및 데이터와 맺는 관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개발자 집단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기획, 구현, 개선한다. 실행자 집단에 해당하는 디지털 노동자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데이터를 생산한다. 끝으로 운영자 집단은 개발자와 실행자 집단 사이에서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중계한다.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가 요구하는 데이터와 알고리즘의 끊김없는 순환은 상이한 제도적ㆍ조직적 공간에서 일하는 세 노동자 집단 사이에 상호의존성을 만들어내고 기술적 분업을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용보험DB를 이용한 양적분석은 세 집단 사이의 계층화의 양상을 드러냈다, 개발자ㆍ운영자ㆍ실행자 디지털 노동자 집단은 고용형태와 임금수준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고, 노동시장 이행은 그러한 차이를 공고화하는 방향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개발자 집단에 속한 디지털 노동자들은 데이터에 기반한 성과지표를 자신들의 경력자원으로 삼아서 노동시장 이행에 적극 활용하는 반면, 운영자-실행자 집단에게 데이터는 접근이 불가능한 조직의 소유물에 불과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알고리즘 생산을 위한 기술적 분업이 계층 간 이동을 어렵게 만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기술의 발전과 불평등의 심화에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The Changing Face of Work Precarity: Dependent self-employed professionals and collective response to work precarity

        노성철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1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professional workers under the arrangement of dependent self-employment experience and respond to work precarity. Drawing on interviews of 53 indie and in-house PDs, I found that the arrangement of dependent self-employment translated into work precarity in three interrelated spheres of work: i) in labor markets, ii) in production processes and iii) in creative communities. Further analysis of the interviews shows that indie PDs have developed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the alter casting of in-house PDs which highlights the creative and entrepreneurial nature of their work. The cognitive practice of alter casting allows indie PDs to extract positive meanings from their precarious employment arrangement an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in-house PDs at the major broadcasters. In turn, this professional identity fueled their desire to self-organize in response to the perceived threats to their professional community. Indie PDs opted for a professional association, rather than a labor union, as a form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to promote social recogni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규직의 파업과 비정규직의 연대 또는 이탈: KBS와 MBC 파업사례를 중심으로

        노성철,정선욱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s non-standard workers’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standard workers’ strikes using the case of a joint strike held by journalists at KBS and MBC in 2012. Tracing the process since 2008 by which a conservative government has tried to control the press and regular journalists have collectively resisted against it, we put our analytical focus on two major groups of freelance broadcast professionals: independent producers and writers in current affairs. Specifically, we examine 1) how they perceived and responded to a series of regular journalists’ struggle to protect journalistic value, 2) how such perception of and response to regular journalists could be developed, and 3) how (de)solidarity could form and then deepened between freelance and regular journalists in the 2012 Media Strike. Our findings show that the ways in which regular journalists had controlled freelance journalists at work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based and occupation-based rationality freelance journalists held in their minds. Independent producers, who had developed a strong class-based rationality in response to the coercive input-output control, showed cynicism about regular journalists’ strike pointing out their hypocrisy and contradiction. In contrast, freelance writers accommodated and joined the strike by regular workers in the spirit of solidarity based on occupational rationality which had developed from normative, process control. Our paper ends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논문은 증가하고 있는 전문 직종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에 보인 태도와 행동을 계급적 연대와 직종적 연대라는 두 가지 개념 사이의 관계짓기를 통해 이론화 하고자 시도했다. 이를 위해 2008년 이후 정규직 제작인력들의 크고 작은 저항이 2012년 언론대파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범위로 삼아서, KBS와 MBC두 방송사의 시사교양부문에서 정규직 피디들과 손발을 맞춰온 대표적 특수고용 직종집단인 독립피디와 시사교양작가들이 정규직 파업에 보인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특수고용 제작인력들이 직종에 상관없이 정규직 피디들에 대해 계급적 이질감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계급적 이질성 인식은 정규직 피디가 실질적 사용자 역할을 하는 방송 산업 특수고용관계의 구조직 특징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고, 정규직 투쟁을 거치면서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직종적 가치공유에 기반한 정규직에 대한 인식은 두 특수고용 직종 집단 사이에 상이하게 나타났다. 시사교양작가들의 경우 정규직 피디들에 대해 높은 직종적 가치일치감을 표시했고 이는 계급적 이질성을 상쇄시키며 정규직 파업의 당위성을 인정하는 수용의 태도로 이어졌다. 반대로 독립피디의 경우 계급적 적대감에 직종적 이질감이 더해져 정규직 인력들의 위선과 모순을 강조하면서 정규직 파업에 대해 강한 냉소를 드러냈다. 이러한 차이는 두 특수고용 직종집단이 각각 정규직과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했다. 먼저 정규직 피디와 독립피디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작과정의 투입ㆍ결과물에 대한 강압적인 통제 (coercive input-output control)방식은 두 집단 사이에 직종가치 인식에 있어 차이를 낳았고, 그 차이는 저널리즘 가치에 대한 위협과 대응 속에서 더욱 커졌다. 반면, 시사교양작가들은 언론인으로서의 직종윤리 및 가치를 바탕으로 한 규범적 과정통제(normative process control)를 통해 정규직 피디들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이는 시사교양작가들이 계급적 이질감을 지양하고 정규직들과 저널리스트로서 직종정체성을 공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갖는 실제적ㆍ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