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건유우의 사양관리

        노상호 한국낙농육우협회 2001 낙농·육우 Vol.21 No.1

        건유우관리와 관련된 사항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수정일과 분만일을 정확히 기록한다. 2. 착유후기에 적절한 사료급여로 건유직전에 BCS를 3.5 수준에 맞춘다. 3. 건유기간은 소에 EK라 45$\~$60일 사이로 정한다. 4. 충분한 조사료와 분만시 적절한 신체상태유지를 위해 약간의 농후사료를 공급한다. 5. 광물질과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한다. 6. 분만 3주전부터는 3$\~$6kg의 농후사료를 급여하

      • KCI등재

        1960년대 중화권 대중문화의 한국 내 유행과 현지화에 관한 일고찰 : 무협영화와 소설을 중심으로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the 1960s. In the postwar era, ‘Free’ Asia of anti-communist states such as South Korea and Hong Kong shared human networks and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connect ed them beyond national borders. From the late 1950s, the two countries tested a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s. A movie Love with an Alien co-produced by a South Korean company and Hong Kong’s Shaw Brothers shows us the close distance of the two countries from an angle of an oversea Chinese woman who evacuated perhaps during the Korean War from South Korea to Hong Kong. Entering the 1960s, the Hong Kong Wave started in South Korea with surprising popularity of Wuxia films and novels. The Wuxia (Martial Arts) culture successfully appealed to South Korean popular audience who could easily understand moral heroism based on Confucian ethics. Especially, Shaw Brothers and ‘New Wuxia Culture’ of Hong Kong and Taiwan imagined transnational cultural identity of the Chinese at their Wuxia culture. Although South Koreans did not regard themselves as one of such imagined community, South Korean audience unexpectedly welcomed the Wuxia culture as universal stories, not as “Chinese” stories. As the 1960s came to an end, South Korea began to have its first Wuxia fandom which not only consumed the culture, but also tried to make their own local Wuxia culture. Many South Korean novels which claimed the authorship of Wolung Sheng appeared at the turn of the decade, and the phenomenon of the fake novels proved the rapid localization of Wuxia culture as a new sub culture in South Korea. Especially, the South Korean Wuxia culture took its root among male audience which embraced it as their new world of male fantasia. Thus, the popularity of Hong Kong Wave and hybridity of Wuxia culture in South Korea strongly indicates that South Korea was experiencing the dynamic growth of pop culture and the diversification of its cultural consumption and production. 본고에서 필자는 196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초국가적인 문화교류와 중화권 대중문화의 현지화 과정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계속된 동아시아의 전쟁과 이산(離散), 냉전은 전후 새로운 민족국가의 틀을 뛰어넘는 트랜스내셔널한 문화망의 기반을 만들어놓았다. 한국과 홍콩은 반공과 이산이라는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1950년대 말부터 상호간의 문화교류를 추진한다. 최근 발굴된 한국과 홍콩 합작영화인 <이국정원(異國情鴛)>은 한국출신 화교여인의 경험을 소재로 하고 한국인과 홍콩인이 서로를 잃어버린 가족으로 인식할 수도 있는 판타지에 기반한 멜로드라마이다. 특히 홍콩 대중문화는 1960년대에 들어서 무협소설과 무협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한국사회에 침투한다. 마침 한국사회에서는 1960년대 소비문화의 성장과 함께 액션의 스펙터클에 열광하는 대중문화가 성장하고 있었다. 대중들은 고난을 극복하고 도덕적 목표를 성취해 가는 무협의 입신출세담에 쉽게 빠져들었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월경(越境)은 신무협의 보편적 문화주의에 기인하는 면도 있지만 한국 내에서 이러한 문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구심력이 작용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한국대중의 욕망은 이런 문화적 수용과정을 이해할 때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는데, 중화권 문화가 한국에서 현지화(現地化)되어가는 현상은 1960년대가 끝나갈 무렵부터 등장하는 무협소설의 위작(僞作)들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와룡생의 이름을 내세운 수많은 위작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한국형 무협문화는 욕망하는 남성의 판타지물로서, 심지어 포르노적 요소를 가미한 채 한국 대중문화에서 하위문화적인 위치를 점하기 시작한다. 즉, 1960년대 말, 70년대 초부터 소위 ‘색협지’의 초기적 형태가 발견된다. 본고에서 필자는 선우인이라는 번역가(들)의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서 대내외적 문화적 역학관계 속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한다.

      • KCI등재

        1940~50년대 ‘전시체제’와 국영전력사업체의 등장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In the 1940-1950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mained under the control of wartime state in colonial Korea and independent South Korea. The wartime regime created a strong notion and system that the state monopolized energy production and policy-making process, preventing any access of civilians and private firms. I would like to analyze the energy production and its policy during the long wartime period (from 1937 to 1953) b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orean Electric Power Company (Chosŏn chŏnŏp, KEPC) before and after the wars. So-called ‘reform bureaucrats’ of the Japanese wartime regime not only distrusted capitalist market economy, but also firmly believed that tight control and mobilization of critical resources were the key for the preparation and victory in modern ‘new-generation’ warfare. In colonial Korea, the KEPC was made by the state in 1943 to monopolize the energy production. The state’s control, however, did not end after WWII. In independent South Korea, the KEPC consistently demanded the state’s ownership over the electric power whereas there appeared critical voices and American pressure of demanding the privatization of energy industr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gan to use the KEPC as de facto state enterprise for ‘recovery from the war’, ‘industrial development’, and ‘effective use of American aids’. In the 1950s, therefore, the KEPC extended its business and interest from hydroelectric power to thermal power and later showed strong interest in nuclear power. 한국의 전력사업(電力事業)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의 관리와 통제라는 원칙을 유지, 발전시켰다. 에너지의 생산과 배분은 시민들이나 사기업이 관여할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과 제도가 20세기 중반 전쟁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전업주식회사(朝鮮電業株式會社)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시체제의 자원관리를 분석하였다. 소위 혁신관료라고 불리는 일제의 전시관료집단은 기존의 시장경제원칙을 불신하고 전쟁의 준비와 승리를 위한 자원관리, 동원체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들은 자원과 산업의 개발이야말로 미래전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결국 일제는 민유국영안이라는 전력의 국영화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낳은 전시자원관리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남한에서 존속하였다. 특히 조선전업은 지속적으로 전력국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거대국영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목소리는 미국 측의 민영화 요구와 함께 국영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전재복구, 산업개발, 미국원조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정부는 이미 조선전업을 사실상 ‘정부대행기구’로 활용하였다. 1950년대 조선전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의 복구, 확대를 주도하였고 나아가 원자력발전에도 상당한 관심과 지식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0년대와 50년대 전력국영관리체제의 성립과 변화는 상당한 연속성을 보이며 에너지 정책과 개발과정이 갖고 있었던 폐쇄적 성격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18세기 물리(物理) 개념을 통해서 본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인식론 탐구

        노상호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1 No.-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Yi Ik renovated his Neo-Confucianism by adopting Aristotle. He aimed to solve the old problems of Neo- Confucianism by dividing human cognitive functions into several steps of knowing the Principle of Things. His new epistemology received influences from the Jesuits in China. The Jesuits introduced the new ideas of cognitive subjectivity and the function of the rational soul. When Yi Ik accepted the Western theories, he believed that Western philosophy could improve Neo-Confucianism. In the end, he recognized new faculties of human cognition; rationality and the brain as the organ of thinking. 18세기 초반 이익의 인식론은 성리학의 격물치지를 충실히 따르면서도 그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였다. 주희는 ‘치지’의 궁극적인 목적이 지선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지만, 격물과 지선 사이의 관계는 불분명하였다. 이익은 이일원주의를 고수하면서 격물치지를 수행하는 인간의 인식을 보다 세분화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는 물리(物理)라는 객체와 인식주체로서의 ‘나’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인식의 단계를 경험지를 아는 영각(靈覺)과 선험지를 아는 사량(思量)으로 구분하였다. 이익의 새로운 단계적 인식론은 예수회가 소개한 아리스토텔레스-토미즘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예수회가 소개한 인식론은 인간의 영혼이 갖는 주체성과 직능을 분석하였고 합리(合理)를 아는 능력인 명오(明悟)는 인간 고유의 인식 능력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성리학과 서학을 융합한 이익의 인식론적 확장은 18세기 조선 학술계가 이룩한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 전후 수학 지식의 보급과 탈식민지 수학자의 역할: 최윤식(崔允植)과 이임학(李林學)의 사례를 중심으로

        노상호 한국과학사학회 2018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0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math education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1945. Two prominent Korean mathematicians of post-1945 South Korea, Yoon Sik Choi and Rimhak Ree, are the cases in point. The two mathematicians received their higher education in mathematics and physics at prewar Japanese universities,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Keijo Imperial University, respectively. Their colonial background did not block them from achieving a hegemonic position in math education and research in post-liberation South Korea. Choi graduated from Tokyo Imperial University, where Takagi Teiji taught. Takagi studied at the University of Göttingen with David Hilbert and Felix Klein. The Göttingen group emphasized the synthesis of algebra and geometry and initiated the so-called “Klein Reform.” The Klein Reform entered colonial Korea through the Japanese Empire during World War II. The Japanese mathematicians positioned functions at the center of math education. It is striking that the two former colonial elites, Choi and Ree, successfully claimed their intellectual leadership among South Koreans by resuming the Japanese wartime curriculum reform in the name of universal mathematics. So, postcolonial math education in South Korea was redefined by former colonial elites who selectively borrowed from the colonial system.

      • KCI등재

        Cultural Hybridity and "Mimic Men" in Colonial Korea: The Case of Yu Chin-o (1906-1987)

        노상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3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3 No.2

        This paper examines how a new nation-wide school system implemented in 1910 created the Korean student population of that time and the three decades that followed. Moreover, it shows the effects of the colonial examination system imp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My argument is that the new educational system engendered "cultural hybridity" in Korean students who successfully passed examinations in their attempt to climb the ladder of success. A remarkable consequence of receiving an education and being subjected to the examinations was that successful candidates took advantage of their literacy in order to pursue learning beyond the official curriculum. Although elite students were more assimilated into the Japanese system than were their less favored contemporaries in the colonial society, this assimilation could have the paradoxical effect of destabilizing the regime rather than reinforcing it. As "mimic men," therefore, elite Korean students can illuminate the complex trajectory of Korean cultural history under Japanese rule. I make this argument by analyzing the 1927 diary and short story Kim Kangsa wa T Kyosu (Lecturer Kim and Professor T) of Yu Chin-o, a graduat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reby shedding new light on the daily politics and multiplicity of Korean identiti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