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노복순,박현주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8 특수교육논집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및 경기도에 위치한 H대학, K대학, J대학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t-test, ANOVA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성별, 종교 유무, 장애가족 유무, 자원봉사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태도 하위영역 중 ‘권위주의적 태도’를 제외한 전 하위영역에서 1학년이 2, 3, 4학년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현장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형성의 중요성과 향후 교수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looked at 248 university students in H, K, and J universities in Gangwon and Gyeonggi provinces to learn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analysis use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OV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depending on their gender, religion or volunteer experience.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in all sub-disciplinary areas, excluding authoritarian attitudes, first graders are more positive than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rs. Students with field experience were also more negative in their attitude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than those without fiel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orming attitudes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in social welfare colleges and ways to construct future teaching programs.

      • KCI등재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본 판소리 연구사 검토와 판소리 연구의 새로운 방향

        노복순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4 No.-

        This article reviews articles in the performance-aesthetics perspective of Pansori and attempt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future Pansori studies. Therefore, the main subjects of this article other studies focusing on elements related to Pansori performances, performance studies discussing these elements in a comprehensive stand and studies discussing Pansori in the aesthetics perspective. First of all, this article shall take a close look at the performer related, Pansori drummer related and audience related studies as the element related Pansori performance, and shall carefully review comprehensive performance elements and aesthetics related studies. The endeavors of this article discovered that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performer are concentrated on the narrative embellishment and little musical studies, and the other two subjects, Pansori drummer and audience studies, are at early stages. Lastly, there are only a handful of narrative aesthetics and musical aesthetics in the Pansori performance-aesthetics field, and there are almost no Pansori aesthetics study discussing the performer, Pansori drummer and audience as a whole. Therefore this article is proposing the necessity of performance-aesthetics study that discusses Pansori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focusing on the fundamentals of Pansori, performance-art, and performance studies which is the ultimate value of performance-art.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제 논문들을 검토하고 판소리 연구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판소리 공연과 관련된 제 요소를 중심으로 다룬 논문들과 이러한 제 요소들을 총체적인 입장에서 논의한 공연학적인 연구, 그리고 판소리를 미학적인 측면에서 논의한 연구들이 주요 검토대상이다. 먼저, 판소리 공연에 관련된 제 요소로서 광대 관련 연구, 고수 관련 연구, 청관중 관련 연구를 나누어 검토하고 공연-총체적인 연구와 미학관련 연구도 면밀하게 살피고자한다. 그 결과 광대에 관한 연구는 사설치레 연구에 치우쳐 있고 그 다음으로는 음악학적인 연구가 조금 되어 있었고 나머지 고수와 청관중 연구는 거의 초기상태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판소리 공연-미학 분야는 사설미학과 음악미학정도가 몇 편 있었을 뿐, 광대, 고수, 청관중을 모두 종합적으로 다룬 판소리 미학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판소리 연구를 위해서는 판소리의 본질인 공연예술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 공연학적인 관점에서의 논의와 더불어 공연예술의 궁극적 가치지향인 공연학을 바탕으로 한 공연-미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여주 집단 민속놀이의 복원 배경과 지역적 향유 양상 -흔암리 쌍용거줄다리기를 중심으로-

        노복순 한국국악학회 2023 한국음악연구 Vol.74 No.-

        This paper examined the restoration process and various aspects enjoyed in various festivals and events for the Ssangyonggeojuldarigi in Heunam-ri, Jeomdong-myeon, Yeoju-si. The Ssangyonggeojuldarigi which was suspended from the transmissio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restore Sejong Culture's big festival in Yeoju, and then won the Presidential Award at the National Folk Art Competition, solidifying its status as a representative folk game in the region. Various festivals attracted the participation and attention of modern people by planning performances such as a street parade using Ssangyonggeojull demonstration, a wish-making road that makes wishes and blocks evil, Dongyigut, and flying wind lanterns. In this way, female owners are enjoying the Ssangyonggeojuldarigi creating a new cultural tradition with a modernity reflecting socio-cultural changes and demands In a humanized modern society, its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embodies various performances and embodies a healthy life in modern society with two axes: the achievement of wishes that embody the fundamental human desire to restore the community for solidarity, harmony, and solidarity of citizens and further lead a happy future lif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lso implemented through the Ssangyonggeojuldarigi in the festival as an important value of Ssangyonggeojuldarigi, which is inherent in community and magic.

      • KCI등재

        항일가요의 가사 결합양상과 특성 - <조지아행진곡> 활용 곡을 중심으로 -

        노복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4

        As a general method of survival and evolution of anti-Japanese songs, there is ‘lyrics-rephrasing’ utilizing specific melodies. Thus, after paying attention to <Marching Through Georgia> which was one of the original songs that formed the most musical pieces,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aspect of combination with various lyrics and its characteristics by including the songs utilizing it. Those subject songs had the same melody, so the analysis focused on the aspect of change in rhythm according to the syllable number of lyrics. First, comparing the form of lyrics and rhythm of melody in the songs utilizing <Marching Through Georgia>, instead of the original song, the hymn No.393 <March We Onward> was ‘lyrics-rephrased’, so this was regarded as the original song. Based on thi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a case of quoting the strengthened dotted rhythm of original song by focusing on rhythm, a case of restraining dotted rhythm, and a case of various varieti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ucture of lyrics and dotted rhythm, there was no close correlation. Despite the same syllabic meter, they were differently represented into dotted rhythm or symmetric rhythm depending on songs. There were also various types of varieties of rhythm, which might be a method of creation reflecting the desire for creation to seek for unlikeness and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lyrics-rephrasing’ of the same melody into many songs. 항일가요의 생성·생존과 진화·확장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특정 곡조를 활용한 ‘노가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가장 많은 악곡을 생성한 원곡 중 하나인 <조지아행진곡>에 주목하고, 그 활용 곡들을 망라하여 다양한 가사와의 결합양상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 대상 곡들은 곡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가사의 음절수에 따른 리듬의 변화 양상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먼저, <조지아행진곡>을 활용한 노래들은 가사의 형식과 곡조의 리듬을 비교해 볼 때, 원곡이 아닌 찬송가393장<우리들의 싸울 것은>을 ‘노가바’한 것임을 확인하고 이를 원곡으로 보고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리듬을 초점화하여 원곡의 강화된 부점 리듬을 원용한 경우, 부점 리듬을 절제한 경우, 다양한 변이형의 세 가지로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살폈다. 그 결과 가사의 구조와 부점 리듬과의 상관성을 살폈으나 밀접한 관련성은 없어 보였다. 동일 음수율을 가졌더라도 곡에 따라 부점 리듬이나 균등 리듬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리듬의 다양한 변이형태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동일 곡조를 여러 곡으로 ‘노가바’하면서 다름과 차이를 모색하고자 하는 창작 욕구가 반영된 창작 방법이라 생각된다.

      • 초등학교 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

        노복순 ( Ro Bok-soon ),하영자 ( Ha Young-ja ),박희현 ( Park Hui-hyun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참여한 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돌봄교실에서 적합하도록 사전에 구조화하여 약 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10회기로 진행되어 각 회기는 약 80분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5명을 대상으로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여 paired t 검증과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사후 검증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에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어떠한 유의한 향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전-추후검사와 측정시기별 치료조건 간 차이 검증에 있어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교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통제집단은 어떠한 유의한 향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The study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10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n S-city.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consisted of 10 sessions during the 5 weeks period, each session lasted for 80 minute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elf-esteem scale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cale.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each of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at post t-test, the subject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elf esteem, total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its all sub-factors.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n't report significant improvements. At the 8 weeks follow-up, these changes experienced by the experiment group on the improvement of self esteem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These results could lead to the preliminary conclusio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elped improve and develop self-esteem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 KCI등재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소고 -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

        노복순 ( Noh Bok-s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2000년을 전후하여 지자제가 정착되면서 지역에서 크고 작은 수많은 축제들이 우후죽순으로 개최되고 있는데 해당 축제의 정체성과 목적성을 프로그램에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지역의 공연예술축제에서 성공한 사례로 보고 그 특성과 지향을 살펴 향후 공연예술축제의 발전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특히 음악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축제의 정체성과 기획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구성과 내용, 의미와 지향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무엇보다도 <2017전주세계소리축제>의 가장 큰 성과는 지역의 문화자원인 판소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축제의 정체성을 실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니아와 대중들의 눈높이를 만족시켰다는 점이다. <2017전주세계소리축제>가 공연예술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해낸 특성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미지 만들기, 둘째, 문화적 소통을 위한 탈경계화의 욕구, 셋째, 신진예술가와 지역예술가들을 위한 무대 제공, 넷째, 대중 소환의 매개체, 다섯째, 미래 잠재 관객의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라는 단일 행사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공연예술축제의 표본 모델화로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추후 다양한 공연예술축제를 연구하여 <전주세계소리축제>와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myriads of small and large festivals are being organized in many reg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s around 2000, the undeniable fact is that the identity and purpose of such event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ir programs.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s an exemplary case of a local performing art festival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ing art festival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 musical program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content, meaning, and direction that can effectively reveal the identity and intention of a festival. The most significant accomplishment of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s that it presented a local cultural resource, Pansori, in various ways not only to manifest its identity but also to satisfy both the enthusiasts of such musical genre and the general audience. The achievements of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through the performing art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reated a new image of traditional music; second, it realized the desire to rise above regional and generational demarcations through cultural communication; third, it provided a stage for budding and local artists; fourth, it served as a vehicle for summoning the public; and last, it was conducive to expanding the spectrum of potential audience. This paper has limitation in covering the subject of the improvement of performing art festivals because it analyzed only one event. In follow-up studies, a more objective discussion should be performed by further analyzing the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n comparison with various other performing art festivals..

      • KCI등재후보

        판소리 고수의 음악학적 역할과 의미

        노복순(Noh boks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3 No.43

        소리판에서 고수는 ‘일고수이명창’이라는 용어가 생성될 정도로 그 중요성과 다양한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판소리 고수의 역할/기능을 음악학적인 입장에서 고수관련 용어, 그 증에서도 고법에 관련된 용어를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고수관련용어를 소리머리장단의 수행자로서의 고수, 즉흥연주자로서의 고수, 이면에 따른 음색연출자로서의 고수, 예술적 완성도를 위한 조력자로서의 고수로 그 유형을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소리머리장단의 수행자’, ‘즉흥연주자’, ‘음색 연출자’, ‘광대의 조력자’ 같은 모든 고수의 역할은 고법을 통해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 모든 것은 반주자로서의 역할로 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출자’, 지휘자, ‘조력자’ 등으로 규정한 기존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고수의 역할/기능은 주체적이고 독립된 일반적 의미의 역할은 아니라는 점이다. 즉 고수의 이러한 여타의 역할은 광대의 소리를 반주하는 반주자의 범주 내에서의 확장된 의미로 규정짓고자 한다. 소리판에서 고수는 광대의 소리를 중심으로 광대의 완벽한 예술세계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그 존재이유가 성립된다는 점이다. 어느 한 순간도 고수의 존재를 드러내고 고수의 역량을 과시하여 소리판을 주도하는 역할이 고수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고수의 주 역할은 공연자인 광대의 음악세계를 이해하고 면밀히 파악하여 보다 예술적으로 완성도 높은 무대를 연출하기 위한 반주자로서의 확장된 범주 내에서 행하는 일련의 행위인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diverse roles of the gosu (drummer) in pansori are being accentuated to the point that the term ‘ilgosuimyeongchang’ has emerged. The following manuscript provides a detailed and realistic discussion from a musi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function of the pansori gosu, and terminology related to the gosu and gobeop (a method of drumming in pansori). Accordingly, the terminology related to the gosu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 a gosu who performs the sorimeorijangdan (rhythm), an improvisational gosu, a gosu who directs the tone based on the inside story, and a gosu who assists in artistic completion. As a result, all of the roles of the gosu, including ‘performer of the sorimeorijangdan’, ‘improviser’, ‘director of tone’, and ‘gwangdae (an entertainer) helper’, are realized through the gobeop. This manuscript stipulates all of these as roles of an accompanist.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semantic roles of the ‘director’, ‘conductor’, and ‘assistant’ are not independent or leading roles. In other words, the other roles of the gosu are defined within the category of the accompanist who performs the sounds of the gwangdae. The existence of the gosu in soripan is established as a means to bring to fruition of a complete artistic world that utilizes sounds produced by the gwangdae’s. Revealing the gosu’s existence, exhibiting their abilities, and leading the soripan are not roles that are given to the gosu. Accordingly, the primary role of the gosu is to perform a series of actions that include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musical world of the gwangdae, and producing a more artistically complete stage as an accompanist.

      • KCI등재

        항일가요에 나타난 가사와 곡조의 결합 양상연구 - <철도창가> 곡조 활용 곡을 중심으로 -

        노복순 ( Nho Boksun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본고는 <철도창가> 곡조에 노랫말을 바꾸어 수많은 노래를 생산하는 항일가요의 창작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다양한 가사가 특정 곡조와 결합하면서 어떠한 양상으로 리듬과 박자를 생산해 내는지를 가사의 음절과 음보의 관계와 비교하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활용 곡조의 리듬을 중심으로 음절수가 증가하면 부점이나 박자의 리듬을 나누는 방식으로 곡조를 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철도창가> 곡조를 활용한 악곡의 가사는 4·4조, 6·5조, 8·5조로 다양하게 분포 되는데 4·4조는 정격으로, 6·5조는 변형이 자유롭게 일어나 리듬이 상대적으로 다양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8·5조는 음수율 면에서 변화를 거의 주지 않고 정격의 율격을 고수하면서 리듬이 패턴화 되는 양상이다. 이들 악곡을 통해서 음수율과 음보율은 곡조에서 리듬의 구성이나 박자의 길이를 강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가사와 곡조와의 친연성을 살펴보았다. 주로 각 행의 3행 첫 어절에 주요 핵심어를 배치하여 높은 음을 표현하며 주제를 강조하고 있었다. 주제 구현 면에서 철도창가 곡조는 항일투쟁과 교육계몽적인 내용이 대부분인데 항일투쟁의 주제 구현에 있어서는 모두 8·5조의 음수율을, 교육계몽적인 주제는 4·4조, 6·5조로 구조화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항일가요는 특정 곡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악곡을 생산하여 확장하고 있는데 그 창작방식에 있어서 리듬을 강제하는 음절과 음보를 지켜 개사하였고, 주제의 구현이나 내용을 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음정이나 리듬을 달리하여 구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method of creating anti-Japanese songs that could produce many songs by simply changing lyrics of a certain melody. First, this thesis analyzed the aspect of producing rhythm and time in the combination between various lyrics and specific melody, by comparing it with a relation between syllable and metrical foot of lyrics. In the results, when the number of syllables was increased focusing on the rhythm of utilized melody, the melody was produced in the method of dividing the dotted or time rhythm. The lyrics of songs utilizing the melody of < Railroad Song > are distributed in diverse syllabic meters such as 4·4, 6·5, and 8·5. The meter 4·4 is the regular mode while the meter 6·5 could freely have transformation, and the rhythm is relatively more diversified. In case of the meter 8·5, the rhythm tends to be patternized by sticking to the metrical rule of regular mode without giving almost no changes in the syllabic meter. Those songs verified that the syllabic meter and foot meter would play roles in forcing the composition of rhythm or length of time in songs. Next, this thesis examined the affinity between lyrics and melody. Most of them emphasized the theme by placing the keyword in the first word segment of the third line in each line, and expressing a high note. In the aspect of realizing the theme, the melody of Railroad Song is mostly about anti-Japanese struggle and educational enlightenment. They were all structuralized in the syllabic meter as meter 8·5 for the realization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as meter 4·4 & 6·5 for the educational/enlightening theme. Like this, such anti-Japanese songs are expanding by producing songs in the method of utilizing a specific melody. In the method of creation, the lyrics were changed by keeping the syllable and metrical foot forcing the rhythm. In the method of emphasizing the contents or realization of theme, it was realized by changing tunes or rhythm.

      • KCI등재

        일반논문 : 고구려 고분벽화 "주악도"에 나타난 공연문화 양상-음악문화를 중심으로-

        노복순 ( Bok Sun Noh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안악3호분>, <덕흥리벽화분>, <삼실총>, <무용총>, <장천1호분>, <수산리고분>, <오회분 4호묘>를 대상으로 하여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나타난 공연문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생활풍속도가 있는 <안악3호분>, <덕흥리벽화분>, <수산리고분>에서는 ‘행렬도’가 등장하는데 ‘담고’ 중심의 보행악대와 ‘각’ 중심의 기마악대로 나누어 연주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안악3호분>, <무용총>, <장천1호분>에서는 ‘무악도’가 나타나는데, 합창단의 노래나 현금, 완함, 장적 등의 선율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악도를 통하여 4세기 중반에는 이미 서역의 공연문화가 고구려에서 연행되었고, 5세기 중반에는 외래문화의 고구려화가 진행되어 5세기 고구려 중심의 수준 높은 문화가 존재하였음도 짐작할 수 있다. ‘선인도’는 집안지역에서만 나타나며 고분벽화의 중기시기인 5세기 중엽부터 말기인 7세기 중엽까지 보인다. 5세기의 <삼실총>, <무용총>, <장천1호분>에서는 사람의 형상이나 알 수 없는 모습을 한 반인반수(半人半獸)의 하늘을 나는 형상이 연주를 하고, 6세기 이후 <오회분 4호묘>에서는 사신(四神)을 타고 연주하는 승선(昇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악도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요 악기는 ‘현금’과 ‘완함’ 그리고 ‘각’ 종류의 악기를 들 수 있는데, 고분벽화의 말기에 유행한 선인도의 주악도에서는 단연 ‘현금’의 등장이 많다. 따라서 현재의 고구려 악기로 ‘거문고’를 꼽고 있는 이유를 고분벽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actice of performance culture in the wall painting Kokuryo``s ancient tomb, which is targeted at "Anak tomb 3". "Deokheungri wall painting tomb", "Samsilchong``, "Muyongchong", "Jangcheon tomb 1", ``Susanri tomb", and "Ohoibun 4". "Anak tomb 3", "Deokheungri wall painting tomb", and ``Susanri tomb" that contain genre painting have "Hangyeldo(Parade Painting)", which is regarded as giving a performance, being separated in the form of walking band of ``Damgo`` and horse-riding band of Gak" We can see "Muakdo" in "Anak tomb 3", "Muyongchong", and "Jangcheon tomb 1", where the performance mainly is played by choir``s song or melody instrument of ``Hyungeum(Korean lute)``, ``Wanham``, and Jangjeok``, etc. Besides, It is viewed as that Western Chinese performance culture in ``Muakdo`` was already played in Goguryo in the mid-4th century, and high quality culture of Goguryo existed in the mid-5th century We can only see "Seonindo`` in Jiban area, which appears from the mid-5th century to the mid-7th century. In "Samsilchong``, "Muyongchong", and "Jangcheon tomb 1" in 5th century, the figure of half-man half beast flying sky which is the feagure of man or unknown appearance is giving peformance. And after 6th century, we can notice ascending supernatural being who performs riding 4 gods in "Ohoibun Ohoimyo" Main musical instruments that most frequently appears in "Juakdo" are ``Hyungeum(Korean lute)``, ``Wanham``, tec, and in the end of the wall painting of ancient tomb "Juakdo" of ``Seonindo (supernatural being painting)`` has many ``Hyungeum(Korean lute)``.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we can consider ``Keomungo`` to be ``Gokuryeo instrument`` by the wall painting of ancient tom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