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쥐의 조직적합항원(MHC) 부적합, 비골수파괴성(Nonmyeloablative) 골수이식에서 Class II Eb 유전자 Microsatellite 변이의 PCR 증폭을 통한 생착 및 혼합키메리즘의 평가

        상영,박민정,박현실,조석구,민소연,이종욱,민우,김춘추,김호연,장홍석 대한혈액학회 2007 Blood Research Vol.42 No.2

        배경: 생쥐에서 동종골수이식 후 공여자 조혈모의 생착 확인을 위하여 흐름세포측정법(flow cytometry)을 이용한 H2 판별이 가장 흔히 사용되지만, 말초 혈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이식받은 생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생착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많은 양의 말초 혈액을 필요로 하는 흐름세포 측정법을 대체할 수 있는 DNA 관련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생쥐의 꼬리 정맥에서 채취한 극소량의 말초 혈액에서 class II Eb 유전자 microsatellite의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한 증폭을 통하여 공여자 조혈모세포의 생착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공여자와 받는이 생쥐의 혼합 세포주에서 공여자 세포의 검출에 대하여 저자들이 개발한 분석법과 흐름세포측정법의 민감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희석실험(dilution experiments)을 실시하였다.결과: Class II Eb 유전자의 microsatellite 변이에 대한 PCR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기 생착 및 혼합키메리즘이 확인 가능하였다. 공여자와 받는이 생쥐의 혼합세포주에서 공여자의 키메리즘 정도는 희석실험을 통하여 반정량적으로 추정 가능하였다. 이 분석법은 공여자 키메리즘이 1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키메리즘을 육안적으로도 식별할 수 있는 민감도를 보였다.

      • KCI등재

        Prediction of forest fire risk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Bhutan using a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scenario and random forest

        김준,노민우,Tshering Kinley,이우균,WANGSONAMWANGYEL 한국기후변화학회 2023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4 No.4

        Forest fires destroy millions of forest acres globally, damaging ecosystem services, emitting carbon into the atmosphere, and causing billions of dollars in socio-economic losses, including loss of life. Bhutan, despite its small size, is grappling with forest fires compounded by climate extremes, a remote location, and a lack of preparedness. Under such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develop policy, technology, and action to respond to forest fires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Random Forest model (RF) and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approach to create a model for predicting forest fires in Bhutan by considering climate data, spatial data, and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The RF algorithm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input data and predict the change in future forest fire risk in Bhutan. Using SSP scenarios that considered changes due to future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risk of forest fires accurately and spatially in Bhutan.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forest fire risk was highest during the months of October to January, which are also the dry seasons with low precipitation. However, it also showed high variability across climate change scenarios. SSP scenarios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 significant increase in forest fire risk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pport specific policy decisions for forest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in Bhutan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rest fire prediction technology in the light of the changing global climate.

      • KCI등재

        SDM 이전을 위한 강원도 고성군 A/R CDM 사업의 현황과 향후과제

        고영진,송철호,허민정,노민우,홍민아,박호정,손요환,이우균 한국기후변화학회 2022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3 No.5

        In this study, A/R CDM project registered with the UNFCCC in 2012 was reviewed for transfer to SDM. Additionally, econom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amount of CO2 stock for 2021 was 44.15 tCO2/yr at the project sit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tal stock through field survey was higher than PDD. In the case of tree species, the stock of Pinus koraiensis was slightly lower than others. It means that growth of Pinus koraiensis is slow in the site. On the other hand, as Pinus koraiensis occupies the largest area of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ock by preparing an optimal management plans. On economic analysis of the entire business period for securing carbon absorption reductions, the B/C ratio was less than 1,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business feasibility. However, considering the social environment contribution, improving image of the state and companies participating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uch as afforestation, and educational effects, it can obtain investment feasibility of project, continuously. In order to maintain the project, transparency must be achieved through comparison with PD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ting period, the area, and the predicted amount of carbon absorption reduction. It appears possible to achieve transparency through PRC along with the SDM transition.

      • 급성 위염 유발 Wistar Rats 동물 모델에서 표고버섯 추출물의 위 점막 손상 보호 효과

        김미형,이형석,이현아,최지혜,박서연,김시하,경영,장소연,최은영,민우,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17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6 No.2

        본 실험은 150mM HCl/60% ehtanol로 유도된 Wistar rat를 이용하여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추출물의 위염 예방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의 단백 다당체는 종양에 대한 생체 고유의 방어력을 높여줌으로써 간접적으로 종양세포를 저해하거나, 대식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 기능을 개선하여 암에 대한 저항력이나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면역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표고버섯(Lentinus edodes)에 함유된 수용성 식이섬유 베타글루칸(효모, 버섯류 등 의 세포벽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다당류로서 세포 유지 역할)이 위장관을 청소하고 위염 완화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위염 예방 물질로써 표고버섯을 사용하게 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분쇄기를 이용해 분말화한 후, 열수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룹별 각 3마리씩 1군(정상군), 2군(대조군), 3군(실험군-저), 4군 (실험군-중), 5 군 (실험군-고)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3군의 농도는 10mg/kg, 4군의 농도는 30mg/kg, 5군의 농도는 300mg/kg으로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을 투여한 후, 급성 위염 유발 30분 뒤 육안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육안 관찰 종료 후 희생 시켜 위를 적출하였다. 급성 위염으로 인해 손상된 위 조직을 통해 손상면적 측정 및 병리학적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 종료 후, 적출한 위 장기에서 점막 손상에 대한 형태학적 손상을 알아본 결과, 위 보호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위 점막 손상과 출혈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표고 버섯(Lentinus edodes)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위 보호물질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도 저농도 추출물을 투여한 3군에서는 위 점막 손상과 출혈이 관찰되었으나, 2군인 대조 군에 비하여 심하지 않은 정도를 나타내었고, 중농도 추출물질을 투여한 4군에서는 3 군보다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고농도 추출물질을 투여한 5군에서는 위 점막 손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어촌 지역의 중학교 학생들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조절 양식에 관한 연구

        채연숙 ( Yon Suk Chae ),김효정 ( Hyo Jeong Kim ),정희태 ( Hee Tae Chung ),이경수 ( Kyung Soo Lee ),노민우 ( Min Woo No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정서적 특성이 정서조절 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의 성별에 의해 인지되는 정서적 특성과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정적정서와 부적정서가 능동적 양식, 회피/분산 양식, 지지 추구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S군의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정적정서 척도, 부적정서 척도, 능동적 양식 척도, 회피/분산 양식 척도, 그리고 지지추구 양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 무응답, 같은 번호의 응답 1부를 제외하여 총 111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한 후 연구 목적에 맞게 자료 처리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19.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평균차이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정적정서는 능동적 양식(.283)과 지지추구 양식(.284)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정서는 회피/분산 양식(.263)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검증에서는 여학생(M=2.83)이 남학생(M=2.16)보다 능동적 양식을 더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313, p=.023).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정적정서가 능동적 양식(t=2.984, p=.004).과 지지추구 양식(t=3.055, p=.00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등을 논의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고등학생까지 포함하여 연구대상의 대표성을 높여야 할 것이며, 또한 중소도시의 연구대상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도 보다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면접이나 부모와 담임교사의 평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의 자료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서관련 척도의 경우 우리 문화특성이 적합하게 반영되는 한편 다른 요인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정서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Based on the rationale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emotional control form. Using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PANAS; Active style Scale, Avoidant / Distractive style Scale and Support-pursuing style Scale, 112 students from a small rural school were surveyed. 111 students were selected as valid samples while 1 student whose response was not countable was excluded.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latent mea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positive affec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e style(.283) and supportive-pursuing style(.284). On the other hand, negative affec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style(.263). As for the gender differences, female students(M=2.83) showed better awareness of active style than male students(M=2.16, t=-2.313, p=.023). In the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emotion showed affection to active style(t=2.984, p=.004) and supportive-pursuing style(t=3.055, p=.003).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made suggestions regarding the follow-up study.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헌철 ( Heon Cheol Choi ),김효정 ( Hyo Jeong Kim ),정희태 ( Hee Tae Chung ),이경수 ( Kyung Soo Lee ),이주연 ( Joo Youn Lee ),노민우 ( Min Woo No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자아개념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의 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 재학생 310명으로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자아개념 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과 전공에는 각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은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과업긴장, 인내, 포부수준, 시간지각, 인정을 위한 행동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에 있어서는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63.6%로 설명 할 수 있으며 정서자아, 가족자아, 능력자아, 사회자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 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self concept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3; how does self concept influ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students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and the instruments wer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vento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major) were analyzed using ANOV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was 63.6%. Specifically the level of influence resulted in the following order of emotional, family, able, and social self-concept.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cept between genders, while sub-factors of age and maj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garding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tension, perseverance, a level of aspiration, tim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recognition, while major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rest except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