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생제 대체제로서 Dicarboxylic Acid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남인식,안용대,정기환,안종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16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4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carboxylic acid supplementation, as replacement antibiotics, of on in vitro ruminal parameters and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in lactating cows. in vitro treatments were 1) Con (4 g of basal diet), 2) CM (4 g of basal diet + 0.05 ml of monensin), 3) CR (4 g of basal diet + 0.1 ml of dicarboxylic acid) and in vivo treatments were 1) Con (25 kg of basal diet/head/day), and 2) CR (25 kg of basal diet + 5 g of dicarboxylic acid/head/day), respectively. A total 10 lactating dairy cows (649±19 kg average body weight, 99±65 average milking days) were divided in to two groups according to mean milk yield and number of days of postpartum. The cows fed a basal diet during adaptation (2 wk) and experimental diets during the treatment periods (4 wk). In the first in vitro experi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in pH, gas production, and ammonia-N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during incubation. However,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R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or CM treatment (P<0.05). Total VFA was tended to higher in CR treatment than those of control and CM treatment (P> 0.05). In the second experiment, milk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reatment (40.39 kg) compared to control (35.19 kg), (P<0.05). Milk composition and MUN were not changed by dietary supplementing dicarboxylic acid.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reporting that supplementation of dicarboxylic acid might enhance the stabilization of ruminal fermentation and increase the milk yield of lactating cows.

      • KCI등재

        축산 농가 HACCP 심사 분석과 개선

        남인식 한국유기농업학회 201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5 No.1

        본 연구는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에 기반이 되는 농가 HACCP 제도 도입에 있어서 일부 문제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HACCP 인증(재인증) 부적합농가 수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 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3년간 HACCP 심사 결과에 따른 지적비율을 축 종별로 분석하고 상위 10% 이상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이를 개 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5개 HACCP 관리 분야 평가항목 중 지적 비율이 높은 평가항목으로는 소, 돼지 농가에서 4번(가축사육 공정도 및 농장평면도), 10번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12번(HACCP 검증), 14번(HACCP 교육) 그리고 닭농가에서는 10번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12번(HACCP 검증), 14번(HACCP 교육)으로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 타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가 HACCP 평가기준의 대폭 축소 및 단 순화, 연 1회 의무 교육 시 해당 분야 집중 교육과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모니터링, 검증 등과 같은 어려운 HACCP 용어를 각각 안전관리기준, 감시, 확인 등으로 이해하기 쉽게 풀 어서 사용하여 국내 축산농가의 현실에 눈높이를 맞추어 개정되어야 많은 축산농가에서 가축사육단계 HACCP 제도를 부담 없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된다. HACCP is the one of best tool to prevent 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hazards of livestock products. In Korea, HACCP is implementing all livestock industry including animal farm. According to the result of HACCP assessment in animal farm for three years, we have found a high non-compliance rate in some evaluation items of HACCP. To improve this problem, revision of HACCP evaluation items, difficult HACCP terms change to easy understand and development of intensive HACCP training program are needed.

      • SCOPUSKCI등재

        PCE(perchloroethylene)제거반응에서 크롬산화물 촉매의 활성저하

        남인식,임성대,장광현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3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크롬산화물 촉매상에서 반응물 농도에 대한 촉매의 안정성 및 활성저하 mechanism 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우수한 제거활성을 지니는 높은 표면적의 CrO_χ/TiO₂및 CrO_χ/Al₂O₃촉매상에서 반응물인 PCE 농도를 30, 1,000, 5,000, 10,000 ppm으로 증가시켰을 때 30ppm의 낮은 PCE 농도에서는 두 촉매 모두 100시간 이상의 반응시간동안 활성저하 없이 안정된 제거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1,000 ppm 이상의 고농도 PCE가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그 농도에 비례하여 크롬계 촉매의 활성저하 정도가 심화되었다. 촉매의 활성저하는 크롬의 휘발이나 coking에 의한 비표면적의 감소에 기인되었다기보다는 크롬산화물이 고농도의 반응물에 의하여 활성 점으로 작용하는 높은 산화수의 Cr(VI)에서 Cr(III)로의 환원에 의한 상전이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활성이 저하된 촉매들에서 반응물의 농도와 반응시간에 비례한 소량의 크롬 질량감소가 관찰되었지만 활성저하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 on the deactivation of chromium oxide catalysts for the oxidation of CVOCs was investigated. Feeds with various PCE concentrations of 30, 1,000, 5,000 and 10,000 ppm were introduced into the reactor for the oxidation over CrO_χ catalysts supported on high surface area TiO₂ and Al₂O₃. Both chromium oxide catalysts exhibited stable PCE removal activities up to 100 hours of reaction time without any catalyst deactivation at the low concentration of PCE in the feed, 30 ppm.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PCE, from 1,000 to 10,000 ppm, significantly deactivated the chromium oxide catalyst regardless of the support. Deactivation of the chromium oxide catalyst was neither caused by the evaporation of chromium from the catalyst surface nor the reduction of surface area by coking. It was mainly due to the phase transformation from Cr(VI), active reaction sites on the catalyst surface, to Cr(III). Although some of Cr on We catalyst surface evaporated during the course of the reaction at high feed concentrations of PCE, it was insignificant to reduce the PCE removal activity of the catalyst.

      • KCI등재

        돼지농장 HACCP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점수 설정에 관한 연구

        남인식 한국유기농업학회 201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5 No.1

        본 연구는 친환경안전축산물 생산에 기반이 되는 돼지농장의 HACCP 평가항목별 점수부 여 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하여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돼지 생산에 기초자 료로 활용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현행 돼지농장 HACCP 평가항목은 중요 도의 구분 없이 동일한 점수(5점)를 부여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지적비율, 위해의 심각도 등을 고려하여 평가항목별로 중요도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평가항 목의 점수를 차등 부여하도록 하였다. 돼지농장의 선행요건 평가항목(70개)은 중요도에 따 라 최대 4점에서 최소 2점의 점수체계를 구축하여 총 점수가 200점이 되도록 하였으며, HACCP 관리 분야 평가항목(15개)은 최대 10점에서 최소 5점 체계를 구축하여 총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현장에 적용할 경우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돼지의 생산이 가능하여 돼지농장 HACCP 도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core of HACCP evaluation items in pig farm. The importance and score of each HACCP evaluation item was derived through the non-compliance rate and severity of hazard. The total score of evaluation items of the pre-requisite section was 200 points and the HACCP section was developed to have a total of 100 points. Implement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o pig farm may help to improve more safety and hygienic pig produc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in pig farm will be achieved.

      • KCI등재

        양돈 농장 규모에 따른 HACCP 적용 목적, 효과, 문제점 분석

        남인식 한국유기농업학회 201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for small, medium and large scale of swine farms implementing HACCP. Small and medium scale swine farms stated that the primary purpose of HACCP implementation was to receive government funding, but large scale swine farm was answered to improve the farm's competitiveness. In the case of small farms, the effect of HACCP implementation responded to systematic farm management as the top priority, while mid-scale and large-scale swine farms were said to improve farm sanitation. In addition, the biggest problems caused by the implementation of HACCP were the difficulty of improving the consciousness of the employees (small farm) and the records management (medium scale, large farm) by HACCP implement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number of HACCP evaluation items of pig farm and HACCP education for employees.

      • SCOPUSKCI등재

        CuHY 및 CuNaY 형 Zeolite 촉매에 의한 일산화 탄소의 산화

        남인식,하백현 한국화학공학회 197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14 No.1

        화우자싸이트형 제오라이트, CuHY와 CuNaY에 대한 일산화탄소의 촉매산화활성을 제오라이트내의 2價銅 이온의 양을 변화시키며 구했다. CuHY에 대하여서는 銅이온 42% 교환점에서 현저한 酸化活性의 증가가 있었으나 CuNaY에는 그러한 現象이 없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온도가 350℃ 정도 상승했을 때 같은 정도의 교환점에서 산화활성의 최소점이 있었다. 二價銅이온이 42%이하이고 온도가 270℃ 보다 낮은 범위에서는 CuHY와 CuNaY의 활성화에너지가 각각 6 및 20㎉/mole이었다. 그러나 銅이온의 교환이 42%를 넘어서면 활성화에너지의 이러한 현저한 차이는 없어지고 12㎉/mole가 되었다. 이는 銅이온만의 효과때문으로 생각된다. 270℃보다 반응온도가 크면 CuHY에 대하여는 전화율이 1에 가까워져 활성화 에너지의 測定이 불가능하였으나 CuNaY에 대하여서는 이보다 낮은온도에서 구한 20㎉/mole와 같은 값은 나타내며 이는 銅이온함량에 무관하다. 따라서 온도상승으로 銅이온보다 나토리움 이온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이다. Catalytic oxidation activities of carbon monoxide on faujasite zeolite, CuHY and CuNaY, were measured by controlling cupric ion exchange level in the zeolit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xidation activity was observed to occur at 42% cupric ion exchange level on CuHY, but this was not the case with CuNaY. Nevertheless, in the latter kinetics, there appeared a minimum oxidation activity at the same ion exchange level when temperature was raised up to 350℃. In the cupric ion exchange level below 42% and the temperature range lower than 270℃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kinetics on CuHY and CuNaY showed 6 and 20㎉/mole respectively. However, as the cupric ion exchange level increased beyond 42% such a distinguishable difference in activation energy between two solids disappeared giving the value of 12㎉/mole. It is probably due to only the effect of cupric 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the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270℃ the activation energy on CuHY could not be measured due to complete conversion of reactants but on CuNaY revealed the same value of 20㎉/mole as that observed in the lower temperature range, independent of the cupric ion exchange level. This implies that the influence of sodium ion became prevaillng over the cupric 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