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尹行恁의 「薪湖隨筆_『大學』」 해석을 통해 본 18세기 학문논쟁의 한 국면

        남윤덕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碩齋 尹行恁(1762~1801)은 18세기에 활동했던 전형적인 관료문인의 한 사람으로 당시 군주였던 正祖의 信任이 두터웠던 인물이다. 윤행임은 好學의 군주였던 정조와 함께 주자학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당시 탈주자학이나 반주자학을 외치던 학자들과 양명학을 비롯한 여러 학설에 대한 논리적인 비판을 통하여 주자학의 학문체계를 지켜내고자 하였다. 또한 南塘 韓元震(1682~1751)의 湖論 계열의 학통을 私淑하고 계승하여 '人物性異論'을 주장하였으며, 『대학』이 『주역』에 근원하고 있음을 『주역』에 나타난 여러 사례들을 토대로 밝혀내기도 하였다. 윤행임은 『대학』을 해석함에 있어 『고본대학』이 아닌 주자의 『대학장구』를 중심으로 『대학혹문』·『주자어류_대학』등에 나오는 여러 학자들의 다른 說들과 『시경』·『서경』·『주역』등의 경전에 나오는 관련 사실들을 종합하여 주자가 설명한 『대학』에 대한 說을 보충하고, 의문이 가는 부분이나 지나치게 생략된 곳이 있으면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주자학을 더욱 명확히 하고, 공고히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윤행임의 이와 같은 행동은 18세기 중국으로부터 활발하게 유입된 서적 및 여러 다양한 학설들이 당시 조선 학계의 학술적 변이양상을 부추긴 것에서 부터 주자학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던 하나의 방법이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의 학문체계의 정통성으로 주자학을 확고히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18세기 조선 후기 經學 해석의 특징적 한 국면을 제시해주었다. Suck-Jae Yoon, Haeng-Im(碩齋 尹行恁, 1762~1801) was one of the typical bureaucratic literati who were in active in the 18th century and also strongly trusted by king Jung Jo. Yoon, Haeng-Im(尹行恁) showed his literature tendency focused on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together with king Jung Jo at that time who liked learning something(literature) and he tried to keep the system of literature for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through logical criticism against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that insisted on De-Orthodox Neo-Confucianism(脫朱子學) in that period. Moreover, he himself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cholastic mantle of the line of Nam-Dang Han Won-Jin(南塘 韓元震, 1682~1751)'s Ho-Theory(湖論) and also succeeded to this scholastic mantle and then, advocat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ce(人物性異論) and he clarified that Dae-hak(『大學』) was based on the Book of Changes(『周易』) with various cases which are stated on the Book of Changes(『周易』). With centering around Chu-Ja's Dae-hak-jang-gu(『大學章句』), not the old version Dae-hak(『古本大學』) after he synthesized some scholars' theories from Dae-hak-hok-moon(『大學或問』), Analects of master Chu_Dae-hak(『朱子語類_大學』), etc with the related facts from the Book of Odes(『詩經』), the Scripture of Documents(『書經』), the Book of Changes(『周易』), etc before Yoon, Haeng-Im(尹行恁) interpreted Dae-hak(『大學』), he added something to Chu-Ja's theory about Dae-hak(『大學』). In case there were any unclear or omitted things on it, he focused on making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more clearly and firmly by adding his opnions to it and he kept his theory against be contrary to Orthodox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heories such a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This kind of Yoon, Haeng-Im's(尹行恁) activity was one of the ways he would try to establish his own academic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to protect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from books and various theories flowed from China in the 18th century because they would probably incite the charater (nature) of Joeon's academic field to be transmuted in the Joseon Dynasty era. On the basis of such efforts, he firmly settled down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s his own orthodoxy for academic system and at the same time, showed a specific and special phase of interpretation about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經學) around the later Joseon Dynasty era.

      • KCI등재

        壺山 朴文鎬의 『孟子集註詳說』 「盡心章句」에 대한 이해와 특징

        남윤덕 한국공자학회 2020 공자학 Vol.41 No.-

        The pragmatic aspect of Park Moon-Ho was ultimately an academic effort to study the essence of scholasticism. Park Moon-Ho clearly knew what his goals and mission were in his unsettled atmosphere. It was based on the neo-classical view of the world, in order to preserve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ethical view through the censorship of the scripture commentary, thereby raising the ethnic identity and self-esteem that is not shaken by foreign powers. In order to do so, it was necessary to conduct a more accurate and more detailed verification process centered on librarian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most basic Confucian scriptures. Such result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scripture commentaries such as Maengja-Jibju-Sangseol 「Jinsim-Janggu」, which can be acknowledged as a re-discovery of the Confucian scripture commentary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culmination of Horonian symbolic sciences. 박문호의경학가적 면모는 궁극적으로 경학의 본질을 구명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었다. 박문호는 어수선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목표와 사명이 무엇인지 분명히 인지하고 있었다. 그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전통 유학을 지키고자 하는 편에서 경전주석서를 집대성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 윤리관을 확립함과 동시에 외세에 흔들리지 않는 민족적 주체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있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유교경전을 검토하여 주자학 중심의 보다 정확하고 면밀한 검증절차가 필요했던 것이며, 그러한 결과는 맹자집주상설 「진심장구」와 같은 경전주석서에 고스란히 담겨져 나왔다. 박문호의 경전해석은 구한말 일제강점기 유교 경전주석서의 재발견이자, 호론계 기호경학의 집대성으로 그 경학사적 가치는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瑣編]에 나타난 술[酒]에 대한 인식과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飮酒文化

        남윤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1

        Lim Cheon-sang introduced amusing anecdotes related to various drinking cultures that occurred Yangban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Lim Cheon-sang recognized the meaning of Alcoholic drink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person who loved Alcoholic drink, father-in-law, Yoon Gwang–rye. It is not merely for us to be drunken but for us to enrich of lives as roles and meanings. Lim Cheon-sang has taught the readers to learn and to laugh at the funny and strange anecdotes related to the alcoholics drink of Yangban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add to the content interest of 『Soaepyeon』, Lim Cheon-sang, who knew better than anybody that the interesting events were not always ending in the place where alcohol existed, collected the stories related to one who loves to Alcoholic drink the envoys and actively reflected them through the adding process. The story of the liquor shown on the 『Soaepyeon』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ll the drinkers of today's modern society. In addition, it has secured diversity of drinking culture that was concentrated on poetry and novels as a writing and a story house. Especially, showing the aspect of drinking culture of middle and late Joseon is worthy of cultural value. 任天常은 『瑣編』에서 조선 중‧후기 양반사회에서 일어났던 여러 다양한 술[酒]문화와 관련된 흥미로운 일화들을 공개하였다. 임천상은 愛酒家였던 丈人 尹光禮와의 만남을 통해 술이 단순히 취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고 즐겁게 만드는 하나의 촉매제로서 역할과 의미를 동반한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임천상은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술과 관련된 재미나고 기이한 일화들을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해학적으로 풍자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교훈과 웃음을 자아내게 하였다. 술이 있는 곳엔 언제나 흥미로운 사건들이 끊이질 않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았던 임천상은 『쇄편』의 내용적 흥미를 더하기 위해 애주가들에 얽힌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던 것이다. 『쇄편』에 보이는 술 이야기는 오늘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모든 애주가들과의 소통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필기‧야담집으로써 詩歌類와 小說類에 편중되었던 음주문화의 다양성을 확보해 주었다. 특히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음주문화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문화사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 KCI등재

        定齋 柳致明의 關西遊錄에 나타난 현실인식 −‘犯越’과 ‘田制’를 중심으로−

        남윤덕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5

        Jeong Jae Ryu Chi-myeong's Kanseo Yurok showed the style of writing miscellaneous recording at the 19th century‘s Yurok writing method, and based on this writing method, he freely expressed his thoughts on politics as an incumbent official who governs the Kanseo area. The perception of reality shown in Kanseo Yurok becom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Ryu Chi-myeong's life as a official. First, in Kanseo Yurok the seriousness of ‘Border transgression’,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Gija Joseon, and the impression of the character were described together. At that time, Ryu Chi-myeong announced the seriousness of the frequent ‘Border transgression’ of the Qing Dynasty people, and in the process, showed a concrete example of the 19th century ‘Border transgression’. At the same time, he witnessed and worried about the hard life of the people in the Kwanseo area, who had no choice but to commit a crime called ‘Border transgression’ for a living, but also worried amid the dilemma of having to keep the strictness of the strict national law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gistrate. Meanwhile, Kanseo Yurok showed various interests in the land system such as ‘Gija-Jeongjeon’, ‘Cheonmaek-method’ and ‘Gyunjeon’. It revealed reality perception as an official governing the Kwanseo area in detail. In particular, Ryu Chi-myeong showed interest in ‘Gija-Jeongjeon’, which can examine its origins in Pyeongan Island, and has a positive perception. This,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tried to find hope in the ‘Gija-Jeongjeon’ to solve the poor lives of the peopl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land system in the Kwanseo area and the burden of taxes. The ‘Border transgression’ and ‘the land system’ seen in Kanseo Yurok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s living base. These two problems are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shown in Kanseo Yurok and also we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consider that at least once in terms of social system. 정재 류치명의 관서유록은 19세기 유록 기술방식에서 筆記雜錄化 樣相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방식을 바탕으로 관서지역을 다스리는 현직 관리로서의 治定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하였다. 관서유록에서 보여주는 현실인식은 류치명의 관인으로서 삶을 이해하는 주요 특징이 된다. 먼저, 관서유록에서는 ‘범월’의 심각성과 기자조선의 역사적 내력, 그리고 인물에 대한 감회를 함께 서술하였다. 당시 류치명은 청나라 사람들의 빈번했던 ‘범월’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19세기 ‘범월’의 구체적 사례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생계를 위해 ‘범월’이라는 범법행위를 자행 할 수 밖에 없었던 관서지역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목격하고 걱정도 하지만 위정자의 입장에서 지엄한 국법의 엄중함도 지켜야하는 딜레마 속에서 고민도 하였다. 한편, 관서유록에서는 ‘기자정전’, ‘천맥법’, ‘균전’ 등의 ‘전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심을 보였다. 이것은 관서지역을 다스리는 관인으로서의 현실인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특히, 류치명은 평안도에서 그 유래를 살필 수 있는 ‘箕子井田’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긍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이것은 현 실정과 맞물려 관서지역 토지제도의 한계점과 조세부담 등으로 인한 백성들의 궁핍한 삶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희망을 ‘기자정전’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다. 관서유록에서 보이는 ‘범월’과 ‘전제’는 백성들의 삶의 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가지 문제는 관서유록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특징적인 면면이라는 점 외에도, 오늘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사회 제도적인 측면에서 한번 쯤은 고민해 볼 문제가 아닌가 한다.

      • KCI등재

        晦堂 張錫英의 『예기』 13편 주석가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戴禮管見』을 중심으로

        남윤덕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In this paper, among the 『Liji』 interpreted by Jang Seok-yeong, 13 pieces were selected that showed their characteristics well, and the scriptures shown in each piece and the errors of commentators who interpreted the scriptures were criticized. In addition, through this, he looked back on his life of trying to correct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by restoring propriety in the turbulent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DaeRyeGwanGyeon』 is a book representing Jang Seok-yeong's rites and has the significance of annotating 『Liji』 in earnest. In addition, the fact that he directly handled and commented on 『Yili』ㆍ『Liji』 centering on old rituals has a great meaning in view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In addition, it has data value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Hanju School in that it inherited the view of the study of rites of the Hanju School, which emphasized the search for the origin and essence of rites through the scriptures of the three rites. 『DaeRyeGwanGye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entary on 『Liji』' by reinterpreting 『Liji』 and verifying errors in characters and phrases and writings. Through this study of 『DaeRyeGwanGyeon』, we can create another value in the YeongNam area and the history of Ye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hope that many studies on 『DaeRyeGwanGyeon』 will be made in the future. 본고에서는 장석영이 풀이한 『禮記』 가운데, 그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13편을 선별하여 그 각각의 편 속에 보이는 경문과 그 경문을 해석한 주석가들의 오류를 비판하는 모습을 살폈다. 아울러 이를 통해 격동기의 19~20세기 초 혼란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예교를 회복하여 나라의 근간을 바로 잡으려했던 그의 삶을 되짚어 보았다. 『대례관견』은 장석영의 예학을 대표하는 저서로써 본격적으로 『예기』를 주석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구한말 예학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古禮를 중심으로 『의례』ㆍ『예기』를 직접 다루고 주석했다는 점은 당시 상황을 놓고 보았을 때 큰 의미가 있다. 또한 三禮 경전을 통하여 예의 본원과 본질의 탐색을 중시했던 寒洲學派의 예학 관점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한주학파의 예학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자료적 가치도 지닌다. 『대례관견』은 『예기』를 재해석하고 字句의 오류나 錯簡 등을 검증한 ‘『예기』 해설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대례관견』의 연구를 통해 우리는 영남지역 나아가 구한말 예학사에 있어 또 하나의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겠다.

      • KCI등재

        晦堂 張錫英(1851∼1926)의 『戴禮管見』연구

        남윤덕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용봉인문논총 Vol.- No.62

        회당이 살았던 구한말은 한일합방, 국권상실 등 민족적 위기의식이 팽배했던 시기였다. 『대례관견』은 그러한 위기의식 속에서 편찬되었다. 회당의 『대례관견』은 三禮 경전을 통하여 예의 본원과 본질의 탐색을 중시했던 寒洲學派의 예학 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이는 19 세기 조선시대 예학의 또 다른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회당의 예학 해석 방식은 19세기 조선시대 주요 문인들의 예학 저술의 비교분석을 가능케 하여 예학사의 외연을 넓힐 수 있다. 장석영은 『대례관견』에서 ‘以經證經식 경전풀이’와 ‘현토’·‘字句’·‘문장’에 대한 오류 검증을 통해 『예기』의 경문과 주석을 각 장별로 치밀하게 분석하였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예학을 배울 때 보통 『주자가례』를 보편적으로 공부하는데, 장석영은古禮를 중심으로 『의례』와 『예기』를 본격적으로 다루었고, 이를 통해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고 실추되었던 禮敎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경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그의 업적은 스승이었던 장복추와 이진상도 이루지 못한 것이었으며, 『대례관견』에 나타나는 문제의식과 정치한 분석력은 이미 스승의 예학을 뛰어넘어 자신만의 독자적인 예학세계를 구축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서 우리는 19세기 중반∼20세기 초반을 대표하는 예학가 장석영의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淸石 徐錫華의 經說類編에 나타난 鶴峯學派의 경학적 특징 연구‒ 大學·中庸 분석을 중심으로 ‒

        남윤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80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existed a growing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crisis. During this period of crisis, Seo Seok-hwa published the Gyeongseolyupyeon by carefully selecting and compiling the doctrines of Confucianism that had been explicated by Yi Hwang, Yi Hyeon-il, Yi Sang-jeong, and Ryu Chi-myeong. This study confirms the purpose of the book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lassics that had been expounded by the Hakbong School. When compiling the Gyeongseolyupyeon, Seo Seok-hwa intended to suggest that the whole nation needed something which could play a pivotal role in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Seo Seok-hwa also attempted to revive the Hakbong school with which he was academically involved, as h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Chinese Classics that had been explained by and handed down for generations in the Hakbong school. Moreover, he centered on the idea of respect [Jing, 敬] explicated by the Hakbong school, and stood against different schools that pursued practicalities or erroneously interpreted the Chinese classics. Finally, Seo Seok-hwa sought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for the public to put his idea into practice. 청석 서석화가 살았던 구한말은 한일합방, 국권상실 등 민족적 위기의식이 팽배했던 시기였다. 경설유편은 그러한 위기의식 속에서 편찬되었다. 비록 청석이 직접 저술한 것은 아니지만 퇴계, 갈암, 대산, 정재의 경설을 경설유편에 정선해 넣은 사람은 바로 청석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우리는 청석이 경설유편을 편찬한 의도와 학봉학파의 경학적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청석이 경설유편을 편찬한 의도는 당시 민족적 위기의식 속에서 새로운 구심점이 필요했던 이유와 자신이 몸 담았던 학봉학파에 대한 학문적 자부심을 되살리고자 했던 의지에서 찾을 수 있겠다. 청석은 학봉학파 대대로 내려온 경설을 계승·발전시키며 ‘敬’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학풍이나 異說에 맞서 대처하는 방법 등을 일깨워 자주적 민족의식 고취를 통해 이를 현실 생활에 직접 접목시키려는 실천 의지를 경설유편에 반영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한다.

      • KCI등재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신호수필(薪湖隨筆)』 경사류(經史類) 해석의 『역(易)』 활용양상과 그 의미

        남윤덕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2

        The I Ching is a central book that Yoon Haeng-im preferred to use, which can show his perspective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his essay Shinho-supil, with the I Ching, Yoon Haeng-im attempted to interpret a variety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gyeongsa), such as the Analects, the Mencius, the Great Learning,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Shangshu, the Mao Odes, the Lesser Learning, the Book of Rites, the Zuo zhuan, the Summary of the Nineteen Histories, the Tongjuan waiji, the Shiwu yaoyi, and the Jingchuan tongyi. Yoon Haeng-im had his own method of interpreting thes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with the I Ching. On the one hand, while 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Yoon Haeng-im selected phrases that he believed were needed to be explained in detail, and matched them with the corresponding passages in the I Ching. On the other hand, Yoon Haeng-im used excerpted passages from the I Ching to help to better underst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such as the Summary of the Nineteen Histories. Furthermore, with the I Ching, he raised his doubts about some specific passages from these history books and argued whether or not these passages were written based on historical facts. The early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was confirmed at King Jeongjo’s lecture on gyeongsa, called gyeongsa-gangui. In this lecture, there were a series of questions posed by the king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which were answered by his civil servants. The king and his civil servants believed that the I Ching was an essential precondi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gyeongsa. Yoon Haeng-im appears to have further developed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resulting in him using his own methods to explain almost all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in detail. This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oon Haeng-im’s interpretation of gyeongsa. To conclude,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Yoon Haeng-im’s usage of the I Ching seems to have represented a paradigm of methods in 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and classical Chinese histories during the era of King Jeongjo. .

      • KCI등재

        晦堂 張錫英의 『戴禮管見』에 나타난 문제의식과 경세적 특징

        남윤덕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3 동방학 Vol.- No.48

        Hoedang Jang Seok-young's DaeRyeGwanGyeon is a book that well shows Jang Seok-young's ceremonial competence and academic inclination, as it has a detailed composition and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In DaeRyeGwanGyeon, he meticulously analyzed the scriptures and annotations of Liji for each chapter. In addition, in general, Family Rites of Zhu Xi is universally studied when learning rites from the Neo-Confucian worldview, but Jang Seok-yeong dealt with Yili and Liji in earnest, focusing on old books on rites. This is the expression of his practical academic spirit to overcome the gloomy situation of the times and recover the lost rites, and this can be sai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rites and schools. In the ideological aspect, Jang Seok-young said that the temperament and intellect of a person is not immutable, but can change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subject, and showed an enterprising academic tendency to supplement the theory tha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n orthodox theory. In particular, it was criticized that all the Horak disputes between the Noron factions fell into mistakes centering on energy [main energy]. And in terms of economic status, he criticized the limitations of the 'Nine-square Field System' and af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Equal land Field System'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his achievements like this were not achieved by his teachers,Jang Bok-chu and Lee Jin-sang. In other words, the critical mind and political analytical power shown in DaeRyeGwanGyeon in Liji 13 have already surpassed the master's rites and formed a family, which goes beyond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master's rites to create his own independent It revealed a ceremonial worldview. Through these facts, we can estimate the status of Jang Seok-yeong, a major in rites representing the mid-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定齋 柳致明의 『關西遊錄』에 나타난 지역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남윤덕 한국한문고전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0 No.1

        Ryu Chi-myeong's 『Kwanseo Yurok』 examines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in various aspects such as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Pyeongan-d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Yurok, which records the impressions and excitement of the ridges and scenic spots in the Kansai region. It also reflects reality perception, such as directly or indirectly. 『Gwanseo Yurok』 shows the historical value through historical technology. This is revealed realistic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literature. Ryu Chi-myeong is the ideological figure of the Joseon Confucian, who is the origin of Myohyangsan, Gija who spread civilization in the East, Hwangseong, Song Dynasty, Huijong and Heumjong, and Orangka's Ogukseong. Revealed without adjustment. In addition, introduced representative gangs and Kanghak spaces in the Kwanseo region, and expressed his regrets and feelings in a sincere and calm tone. Ryu Chi-myung's 『Kwanseo Yurok』 can be recognized as a literary value in various meanings and intentions, such as knowing the government office area properly and taking time for self-reflection as a wooden building, not a description of a simple go sightseeing. 柳致明의 『關西遊錄』은 관서지역 내 누정과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에 대한 感評을 기록한 일차적인 유록의 성격과 평안도지역에 대한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그 정황 관계를 살펴 그에 대한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현실 인식도 반영하고 있다. 『관서유록』은 역사 기술을 통해 그 사료적 가치성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이는 역사와 문학이 결합된 모습으로 사실감 있게 드러난다. 류치명은 묘향산의 유래, 동방에 문명을 전파한 기자, 황성, 송나라 휘종과 흠종, 그리고 오랑캐의 오국성 등 그 옛날 역사적 사실 묘사에서 북방지역의 역사인식과 소중화 의식이라는 조선 유학자의 사상을 가감 없이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관서지역의 대표 누정이나 강학공간을 소개하며, 그에 대한 소회와 감정을 진솔하고 담담한 어조로 표현해 내기도 했다. 류치명의 『관서유록』은 단순한 유람에 대한 기술이 아닌 유학자로서 관서지역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기성찰의 시간도 갖는 등 여러 의미와 의도에서 그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