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적 담화 분석법으로 [라디오스타] 한현민 편의 ‘우리’ 분석하기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term ‘our’ in the TV show [Radio-Star] with the guest Hyun-min Ha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the study, seven cases of the term ‘our’ were selected from speech in the show whose referents were examined by the vocabularies, postpositions, implicature, and discursive and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term, ‘our.’ As a result, the utterance of “Our” indicates South Korea/ South Koreans, South Koreans except African immigrants and African- Koreans, African-Koreans, and foreigners, which on one hand contributes to include Hyun-min Han, an African-Korean teenager, as South Korean in solidarity, but on the other hand excludes him, his father, and his friends from South Koreans as other. This study is useful for art education researchers or graduat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reading about solidarity surrounding African-Koreans in the media in South Korea, or in a way to unpack hidden agendas in discourse.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화 분석법으로 [라디오스타] 한현민 편에 등장한 ‘우리’ 의 의미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텍스트에서 총 일곱 개의 ‘우리’가 들어간 음성언어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 일곱 인칭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referent)을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를 둘러싼 어휘, 조사, 함축, 그리고 담화적 맥락과 사회문화적맥락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TV 프로그램에서 ‘우리’의 발화는 한국/한국인, 아프리카계 이민자/아프리카계 한국인을 제외한 한국인, 아프리카계 한국인, 외국인을지시하였다. 이 지시대상들은 한편으로는 아프리카계 한국인인 한현민을 한국인으로포섭함으로써 유대감을 창출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한현민과 그의 아버지 그리고 그의 아프리카계 한국인 친구들을 배제함으로써 이들을 타자화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아프리카계 한국인에 대한 연대감이 어떻게 시각미디어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관심있거나 혹은 담화에 내포된 숨겨진 의미를읽는 연구 방법론에 대해 관심있는 미술교육 전공 대학원생이나 연구자에게 적합하다.

      • KCI등재

        시선을 되돌리는 장애예술을 활용하는 미술교육에 대한 소고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0 No.-

        본 연구는 시선 되돌리기 전략을 구사하는 장애예술을 통해 비장애인이 장애인에게 던지는 차별적 시선에 대해 성찰해 보게 하는 미술교육에 대해 고찰 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르트르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시선 되돌리기는 보는 사람을 대상화, 객체화함과 동시에 보는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 의식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장애예술은 장애를 가진 예술가가 예술 활동의 주체가 되고, 장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게 하며, 장애인 그룹의 독특한 문화에 대해 알려줄 수 있으므로 교육적이다. 시선 되돌리기를 활용하는 장애예술을 미술교육에서 활용하게 된다면 장애예술가의 자전적 이야기와 관람자 자신들의 시선을 다시 자신들이 보게 하는 교육적 요소를 통해 학습자들이 장애인에 대해 무심코 던지는 시선의 의미와 학습자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미술을 통한 인성함양이라는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을 구현하는데 있어 하나의 새로운 비전을 더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considering art education to assist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own biased gaze towards the disabled by virtue of disability arts with the strategy of looking back. From Sartre's viewpoint, the strategy of looking back enables viewers to experience themselves being objectified and to be aware of themselves as observers/subjects. The disability arts are educational because they allow disability artists to be subjects in art making, to counter prevailing notions of disability, and to inform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culture. If we utilize disability arts that are predicated on disability artists' strategy of looking back, the educational factors of disability artists' autobiographies and a looking back strategy are expected to give learner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looking and how it would affect them in opposition to just looking at the disable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would add a new vision to promote character through art education which is designated as one of the natures of contemporary Korean art education in the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 KCI등재

        ‘기관없는 신체’로 살펴 본 '종이와 함께 놀기' 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생성 특성에 관한 연구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becoming in an art education program of <Playing with Paper> from a perspective of the Body without org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lex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were used. Applying <Playing with Paper> to seventy six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ing students, I analyzed students' art works and files of the voice recordings and photos that students made in their processes to create artwork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program were chosen based on the principles of becoming in the Body without organs. They were: 1) escaping from organism, 2) flowing intensities and affects 3) molecular becoming in processes of forming assemblages, 4) desiring machines through de/re-territorializatio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works tended to be de-centered due to the absence of a pre-topic, and students experienced rhizomatic procedures and changes in their own roles in the process of art making. Second, artworks explored the intensities, affects of materials and the potentials of the materials, and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figure and background. Third, students performed molecular becoming processes, formed assemblages, and made flexible meanings. Finally, students experienced the desiring machine in de/re-territorialization of the materials. This research plays a critical role in helping art educators who ar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Deleuze's and Guattari's theory in terms of the way to apply this theory to art education, and who attempt to develop an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leuze's and Guattari's theory. 본 연구는 <종이와 함께 놀기> 미술 교육 프로그램이 가진 생성적 특성을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관없는 신체’의 개념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76명을 대상으로 <종이와 함께 놀기>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산출된 미술작품과 작업과정이 기록된 녹음 및 사진 파일을 문헌연구와 담화분석의 혼합적 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기관없는 신체가 가진 생성적 특성인 유기체로부터 벗어나기, 강도와 정동이 흐르게 하기, 분자적 생성과 어셈블리지 형성하기, 탈/재영토화 속에서 욕망하는 기계 되기의 네 가지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은 미리 설정된 주제의 부재로 탈중심화 되고, 학습자들은 리좀적 미술 표현 과정과 미술 표현에서의 역할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작품에서 재료의 강도와 정동, 잠재성이 추구되고 형상과 배경의 경계가 모호하게 표현되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분자적 생성 과정을 수행하고 어셈블리지를 형성하며 유동적 의미를 생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재료의 탈/재영토화 속에서 욕망하는 기계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철학을 미술교육에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하는데 관심있고, 향후 들뢰즈의 철학을 이용하여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고자하는 미술교육자들에게 유용하다.

      • KCI등재

        Fredric Jameson의 포스트모더니즘론으로 전주한옥마을 읽기와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d the Jeonju Hanok Village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Fredric Jameson's idea of postmodernism. In addition to this reading of the Hanok Village, this paper suggests how Jameson's ideas impact art education for art educators. To this end, first, I reviewed literature on Fredric Jameson's notion about the postmodernism and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This resulted in the conclusion that commodification underlies postmodernism. Commodification causes depthless pastiche, simulacrum, and weakness to historicity. In response to this cultural logic of postmodernism, it was revealed that Jameson proposes cognitive mapping as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enabling people to perceive the totality of their world. Second, I examined the Korean houses(Hanok) and the costumes(Hanbok) in Jeonju Hanok village applying Jameson's cultural critique method. This allowed postmodern cultural logic in the village to have three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Hanok and Hanbok in the village have characteristics of pastiche, which serves the commodification of the aesthetic products. Another was that the aesthetic products construct the simulacrum of the past, which satisfies tourists who desire consuming the nostalgia of the past. The other was that the aesthetic products in the village approach the past and history by stylistic and stereotypical means, so that it is likely to produce schizophrenic effects on subjects who consume history on the surface and who get rid of historicity at the end. Finally, this paper ends with suggesting an example of a teaching plan focusing on cognitive mapping with the medium of Hanbok in the Jeonju Hanok Village. This teaching plan example is expected to give art educators insight on how to approach postmodern cultural critique. 본 고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론을 이론적 프레임으로 하여 전주한옥 마을을 읽고 미술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프레드릭 제임슨이 보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에 대해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해보았다. 연구 결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모든 것을 상품화하려는 기제의 작용으로, 미적 생산물들을 깊이없는 패스티쉬화, 시뮬라크롬화하며, 사람들의 역사성 약화를 야기하는 특징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할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으로서 제임슨은 인지적 지도그리기를 통해 우리가 사는 세계의 총체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주한옥마을에 있는 미적 생산물들 중 특히 한옥과 한복을 중심으로 제임슨의 문화비평을 연구방법으로 하여 읽어 보았다. 연구결과, 전주한옥마을에서 포스트모던 문화논리가 세 양상으로 확인되었다. 하나는, 한옥마을의 한옥과 한복들이 패스티쉬하는 특성을 띔으로써, 상품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미적 생산물들이 과거의 시뮬라크롬을 구축함으로써 과거에 대해 향수하고자하는 사람들의 소비욕구를 만족시키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마을에 있는 미적 생산물들이 스타일상으로 그리고 스테오타입으로 과거와 역사에 접근함으로써 역사를 피상으로 소비하는 분열적 주체를 낳게 해 결과적으로 주체의 역사성 약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고는 마지막으로 미술교사 를 상대로 어떻게 포스트모던 문화비평이 가능한지, 전주한옥마을에서의 한복체험을 매개로 하는 인지적 지도 그리기 수업의 예시를 제안하며 글을 맺었다.

      • KCI등재

        탈(脫) 흰 피부 선호를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 연구

        남영림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4

        초등학생들의 화장 선호 현상은 동시대에 진행되고 있는 인종주의의 양상일 가능성이 크므로 흰 피부 선호에 대해 성찰하고 반응해 보도록 돕는 미술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흰 피부 선호를 해체하도록 돕는 초등학생 대상 미술 교육의 방향에 대해 도출해 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탈(脫) 흰 피부 선호 초등 미술 교육의 이론적 프레임을 구축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인종주의, 비판적 인종 이론, 비판적 페다고지, 인종에 대해 다룬 작품/시각이미지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로서 “미술을 통한 비판적 인종 페다고지”를 제안하였다. 이 교육은 인종 문해력을 목표로 시각이미지에 나타나는 흰 피부의 우월성, 흰 피부 선호의 역사, 흰 피부를 욕망하게 하는 환경, 정체성의 복잡성과 유동성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흰 피부 선호 테마에 대한 대화와 체험/시각(화)체험을 교육의 방법으로 취한다.

      • KCI등재

        전지구화시대의 지역문화관광에 기반한 초등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소고(小考)

        남영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xtual features of local cultural tourism in the globalization er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ies and examples of the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in globalization and took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metho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re implicated in the local cultural representations that appeared in a tourist encountering site in the contemporary era.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posed <local base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contextual inquiry oriented art 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s a basic principle. The alternative art education suggested the work of an artist who dealt with globaliz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such as souvenirs as an educational medium. As an educational goal, I proposed that learners explore cultural complexities, ambiguities, and contradictions in the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I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medium. I proposed inquiry based learning and production and criticism of art works as an educational method in <local base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will give teachers and researchers interested in elementary art education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ways and roles that their students can take to preserve, expand and inherit local culture in the globalization of the future. 본 연구는 현(現) 전지구화시대에 지역문화관광에 얽힌 맥락적 특징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띈다. 본 연구는 전지구화 속 지역문화의 재현에 대한 이론 및 사례를 탐구한 후 초등학교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문헌연구를 연구 방법으로 취하였다. 연구결과, 동시대 지역의 문화가 재현되어 관광지에 나오게 되기까지에는 정치·경제적 요인이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맥락 탐구 지향 미술중심 융합 교육〉을 기본 원리로 한 〈지역기반 다문화 미술교육〉을 제안하였다. 대안적 미술교육은 기념품과 같은 지역문화의 재현물과 전지구화를 다룬 예술가의 작품을 통해 학습자들이 지역문화의 재현물에 얽힌 문화적 복잡성과 모호함, 모순에 대해 탐구해보도록 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 내용은 교육매체에 깃든 맥락 파악에 중점을 두고, 교육방법은 조사·탐구학습과 미술 작품제작 및 비평을 실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에 관심있는 교사나 연구자들이 그들의 학생들이 장차 전지구화 속에서 지역문화를 보존, 확대, 계승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안과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공감 기반 미술 교육을 위한 맞춤형 미술 수업 설계 방안 탐색

        남영림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이 연구는 미술 교과교육에서 공감을 바탕으로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 기반 미술교육을 맞춤형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어떻게 수업을 설계해야 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결과, 공감 기반 미술교육을 위한 맞춤형 미술 수업은 공감을 학습의 내용이자 방법으로 삼는 학습 주제를 설정하고 미술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다양한 특성을 활용하여 개별·협력적으로 학습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돕는 일련의 교수·학습 과정을 말한다. 공감 기반 맞춤형 미술 수업은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이 시각 매체 읽으며 공감하기-시각 매체 속 타자에 대한 공감적 탐구 및 표현하기-현실 속 너에 대한 공감적 탐구 및 표현하기-정리 및 성찰의 과정을 거치게 하되, 학습자들의 다양성이 반영되도록 기획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수업과 관련된 학습 변인 값들을 측정, 조사하고 이때 얻어진 데이터들에 기반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계획해 갈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공감 기반 맞춤형 미술 수업을 설계할 때는 학습의주제 선정-수업 기준안 설계-학습 변인 선정-학습자의 특성 파악-개별 학습자의 특성 분석-학급 전체의 특성 분석-거시적수업 설계-차별화된 교수적 처방이 필요한 학습자 군집 분석-미시적 수업 설계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how to design 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empathy i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empathy-based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ifferentiated art classes for empathy-based art education set learning topics that use empathy as both the content and method of learning. And empathy-based differentiated art classes refer to a seri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hat help learners solve learning problems individually and cooperatively by utilizing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art learning process. Empathy-based differentiated art classes allow learner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empathizing while reading visual media - empathetic exploration and expression of others in visual media - empathetic exploration and expression of themselves in reality - organizing and reflecting. Empathy-based differentiated art classes are designed to reflect the diversity of learners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and investigate learning variables related to classes among learners and pla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data obtained. Overall, the design of empathy-based differentiated art classes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Selection of learning topics - Lesson design - Selection of learning variables - Identific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 Analysis of individual learner characteristics –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entire class - Macro lesson design - Analysis of groups of learners requiring differentiated prescriptions - Micro lesso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