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과 중ㆍ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 비교 연구

        남승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실과교육 활동의 효과를 제고하고 초등학생들의 사고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중․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학생들 모두 기술적 사고 성향 중 기술적 조작 성향과 기술적 호기심 성향이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해 수업 전략을 수립할 때 기술적 조작 성향과 기술적 호기심 성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술적 문제 파악 및 해결 성향 요인을 제외한 기술적 사고성향의 모든 요인에서 초등학생은 중․고등학생과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사고와 관련된 초등학교 실과 교육활동은 중․고등학교와는 차별화되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술적 분석 성향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초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이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높았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기술적 사고성향이 점차로 낮아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부터 수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은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기술적 사고성향 차이가 점차로 커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을 고려한 사고교육 관련 교육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o improv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the study that relat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factors technological manipulation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were showed the most high score in all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when set up the class strategies we should consider technological manipulation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preferentially. Second, In all factors except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solving disposition facto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thinking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middle․high school. Third, In all factors except technological analysis disposition fact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were more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we need to set up the specific strategies from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o settle the problem tha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were gradually decreased as grades went up.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s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chnological analysis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solv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manipulation disposition. And the differences were gradually grew bigge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they went up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o when set up the plan that related thinking education we should consider the gender of male and female students.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 학생의 좌ㆍ우뇌 활용 성향 연구

        남승권,최완식,임병웅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necessary baseline data to the information prodigy related research through the study on the brain left/right tendency of information prodigies. Subjects were 298 gifted students(59 information, 79 mathematics, 80 science, 40 invention, 40 social science) and 114 general students summing up 412 in the schools of Daejeon metropolitan area. 'Brain Tendency Test' developed by Torrance and modified by Ko in Korean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prodigies' brain tendencies. Data analysis has been done with the χ2 test of frequency with the alpha =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have tendencies of utilizing right brain hemisphere at the most, both left/right brain(whole brain) utilization at the second, and left brain utilization at the last. 2)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prodigie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left/right brain tendency. 3) There was statistically mild evidence to support the notion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brain tendency between the group of information prodigies and the group of other area of the prodigies. The degree of inclination to utilize the whole brain hemisphere for the prodigies of the other area was the highest compare to other left/right brain utilization while the information prodigies tend to utilize the right brain hemisphere at the most. 4) The female information prodigies have tendencies of utilizing while brain area at the most, right brain utilization at the second, and left brain utilization at the last contrary to the brain utilization tendencies in the male information prodigies which are the same as the brain utilization tendencies of the information prodigi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brain tendencies statistically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the female subjects were too small.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의 좌ㆍ우뇌 활용 성향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정보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대전광역시교육청 영재학생 298명(정보 59명, 수학 79명, 과학 80명, 발명 40명, 인문 40명) 및 일반 학생 114명 등 총 412명을 선정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Torrance 등이 개발하고 고영희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 보완한 '뇌 선호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빈도분석 및 χ2-검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α = .05 수준에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영재 학생은 우뇌를 특히 많이 쓰는 성향이 있으며, 그 다음으로 통합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뇌 활용 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두 집단 간에는 뇌 활용 성향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우뇌 활용을 선호하는 정보영재 학생과는 달리 다른 분야 영재 학생은 통합뇌를 활용하는 성향이 가장 높았다. 통계적으로도 두 집단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영재 학생 중 남학생은 정보영재 학생 집단 전체에서 보인바와 같이 우뇌를 특히 많이 사용하고, 통합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성향을 보인 반면, 여학생은 통합뇌, 우뇌 및 좌뇌의 순으로 뇌를 활용하는 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여학생에 대한 샘플의 수가 적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보기술단원 평가에서 분석적 루부릭의 적용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남승권,최완식 대한공업교육학회 2005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lytic rubrics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4 classes of the 2nd grade in B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The pretest was performed to check the group homogeneity. For the experiment desig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s a type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5 sess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 < .05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application of analytic rubrics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 affecte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 positive way in 4 factor's(openness,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self-evaluation) but does not affected in 3 factor's(autonomy, creativity, problem solving).(2) The difference in sex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application of analytic rubrics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wo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rubrics in technology education assessment.(1)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any types of rubrics for technology education are needed. (2) Systematic training of rubrics for technology teachers is needed.

      • KCI등재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남승권,윤자룡,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that influence on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o activate the technology subject educational activities.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 on the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were home environment, in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So in order to enhance the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we should prepare the method to make the good home environment, and to enhance the student's in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Second, to make the good home environment we should make an effort through cooperation with parent to enhance the parent's support or parent's intellectual stimulation than parent's supervision or parent's pressure. Third, to enhance the internal motivation we should make the method to enhance the ex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and make the good school environment such as teacher, friend, and class. Fourth, to enhance the student's study strategy we should make the method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such as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make the good school environment such as teacher, friend, and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 교육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환경, 내적동기, 학습전략이었다. 즉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가정환경을 잘 조성하고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학습전략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가정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협조하여 부모의 감독이나 부모의 압력 보다는 부모의 지지나 부모의 지적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내적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적동기와 학습전략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 친구, 수업 등의 학교환경을 잘 조성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조작 성향과 기술적 호기심 성향 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 친구, 수업 등의 학교환경을 잘 조성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남승권,최완식,윤자룡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activity effects.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developed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develop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program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instruction.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organizes the 46 subjects and 121 educational contents, and this educational program is worthwhile to be facilitated when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like the Ministry of Eduction, Science and Technology, local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ies organizes a teacher-training program. Third, as the result analyzing teachers' training demands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training program,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demand wa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ctivities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and following demands were the 'production of various evaluation tools', the 'effectively epilogue strategy', and the 'technology to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in order. Therefore a training program for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 should deal these educational contents importantly, and a future teacher-training program developer need to refer to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은 46개 과목과 121개 교육 내용으로 구조화 되었는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및 대학 등의 교사 재교육 기관에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활용할 가치가 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기술·가정과 교사로서의 전문성 계발 활동’, ‘다양한 평가도구의 제작’, ‘효과적인 발문 전략’ 및 ‘학습의욕을 높이는 기술’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가정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교육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추후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교과에서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 연구

        남승권,최완식,윤자룡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of the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and verify the impact of classes which applied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on the students' practice on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the study related to green growth education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the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and measurement instrument were developed. Second,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applied in class. Third, D middle school students(male 62, female 59) in Daejeon city were tested by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measurement instrument and the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made. There were three results conduced from this study. First,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had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e on the items which they directly face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computers, monitors, and data. Through this point, when green growth curriculum developed in Technology·Home Economics, we must consider the more closely related in lives contents. Second,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al method not impact on the practice on the items such as printers, peripherals, and other items. But in the future we expect more students hold printers and peripherals so the study for these items needed the more. Third,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green information technology practice. Through this point, when green growth curriculum organized, there was no needed to separete students' gender.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교과에서의 녹색성장 교육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을 개발하고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녹색 정보기술 교육의 실천방안을 개발하였고,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을 적용한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둘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셋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 검사지를 통해 대전에 위치한 D중학교 학생(남 62명, 여 59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방안 적용 수업이 컴퓨터, 모니터 및 데이터 등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직접적으로 접하는 항목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점을 통해 향후 기술·가정교과에서 녹색성장 교육과정 개발 시 생활과 밀접한 내용을 보다 많이 고려하여 편성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 방안 적용 수업이 프린터, 주변기기 및 기타 항목에서의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향후 보다 많은 학생들이 프린터 및 주변기기를 보유할 것을 예상하여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실천 방안을 보다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녹색 정보기술 실천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녹색성장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편성할 때 남학생과 여학생을 특별히 구분하여 개발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3차원 물체 투상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의 뇌파 활성도 분석

        남승권,김희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3차원 물체 투상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의 뇌파 활성도 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남녀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3차원 물체 투 상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할 때 활성화되는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반구(우뇌/좌뇌)에 따른 세타파와 델타파의 뇌파 활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수준에서 우뇌의 뇌파 활성도가 좌뇌의 뇌파 활성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뇌파 활성도 차이는 알파파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서 남자 집단의 뇌파 활성도가 여자 집단의 뇌파 활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타파의 경우, 여자 집단의 뇌파 활성도가 남자 집단의 뇌파 활성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의 차이에 따른 뇌파 활성도 차이는 베타 Low파, 베타 High파 및 델타파 의 경우 학력이 높은 집단의 뇌파 활성도가 학력이 낮은 집단의 뇌파 활성도보다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E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of imagination of a three-dimension object.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EEG data of 20(male 10, female 1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ctivities of right brain was higher than that of left brain in θ wave and δ wave. Second, the degree of activities of men group brain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group brain in α wave. But the degree of activities of men group brain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group brain in θ wave. Third, the degree of activities of high academic abil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low academic ability group in β low wave, β high wave and δ wave.

      • KCI등재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

        남승권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o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tudy's quality that were related to the thinking in technology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home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 schoo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measurement instrument were select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measurement was composed of six factors as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 technological analysis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solv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expression disposition, technological manipulation disposi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on disposition. After selected the measurement instrument divided region into four part as Seoul ․ Kyeonggi, Chungcheong, Honam, Yeongnam, and analyzed 257 students'(male 136, female 121) survey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cronbach α,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o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the parent's support and parent's intellectual stimulus, especially parent's intellectual stimulus was the biggest impact factor to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 case of male student father's role gave a influence to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Second, the biggest impact school environmental factor to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school class. Through this fact we could know that school clas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all factors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except technological creating and expressing disposition. Through this fact we could know that differentiated approaches were needed according to sex of male and female studen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에서의 사고와 관련된 연구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환경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정환경 검사 도구, 학교환경 검사 도구,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검사 도구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는데,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는 기술적 호기심 성향,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의 6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경기, 충청, 호남, 영남의 4개 지역을 구분하여 설문조사 한 후 257명(남학생 136명, 여학생 121명)의 자료를 빈도분석, 백분율, Cronbach α, 독립표본 t 검정,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요인은 부모의 지지와 부모의 지적자극이었으며, 부모의 지적자극은 기술적 사고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역할이 기술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술적 사고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 요인은 수업이었다. 이를 통해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높이는데 학교 수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을 제외한 기술적 사고성향의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일선 학교의 기술 수업 중에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술교과 관련 영재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대한 연구

        남승권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chnology subject related gifted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o activate the technology subject related gifted education.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dif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 and the gifted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are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som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and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nformation gifted student is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manipulation disposi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nvention gifted student and robot gifted student. Third, there is a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mong gifted student according to sub-factor that consist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result shows that when we implement information, invention, and robot gifted class we should apply the appropriate strategies after correct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와 관련된 영재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기술교과와 관련된 영재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사이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이 일반 학생에 비해 높았는데, 이를 통해 능력과 기술적 사고성향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보 영재 학생에게는 기술적 호기심 성향이 그리고 발명 영재 학생 및 로봇 영재 학생에게는 기술적 조작 성향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셋째, 기술적 사고성향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에 따라 영재 집단 사이에 각기 다른 동질성 및 이질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정보 영재, 발명 영재, 로봇 영재 교육을 실시할 때는 각 요인에 대한 해당 영재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그에 알맞은 전략을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