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동적 평가의 스캐폴딩 집단유형과 능력수준에 따른 유아 기하능력발달의 차이

        남미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역동적 평가에서의 훈련 및 전이검사 과정에서 제공되는 스캐폴딩을 개별집단과 또래협동집단으로 구분하고, 유아의 능력수준을 상· 하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역동적 평가가 또래협동으로 실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역동적 평가의 효과가 유아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수준별 교수방법의 개발과 개별화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8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황해익, 남미경, 2007)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캐폴딩 집단유형에 따라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은 만 4세는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개별 역동적 평가집단 간,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 5세는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능력수준에 따른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은 하수준 유아들이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 개별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ynamic assessment in terms of scaffolding group types and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levels. Subjects were 87 four-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hree scaffolding groups; 29 children were assigned to group 1(a peer collaboration dynamic assessment group) and 29 children assigned to group 2(an individual dynamic assessment group) and 29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Dynamic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Hwang & Nam, 2007) consists of 4 subtests, having 24 questions in pre and post tests, 12 questions in the training test, and 10 questions in the transfer tes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ANOVA.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scaffolding group types and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level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development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four year old children i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individual. With the five year old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development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individual group and the lower abilities section of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higher abilities section of that group.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남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체제 개발

        남미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향상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력활동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고 보육시설 종사자의 조력활동에 대한 요구도 조사와 영유아보육관련 전문가들과의 면담조사에 기초하여 조력체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설문조사 대상자 227명과 전문가 면담조사 대상자 15명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여 조력체제 개발을 위한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조력활동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예비조사 후 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이후 전문가 면담을 실시, 면담내용을 분석,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에 기초하여 조력체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종사자의 조력활동에 대한 요구도는 ‘평가인증 참여 신청부터 평가인증이 끝날 때까지’, ‘1~2회에 걸쳐’, ‘개별 보육시설을 조력자가 직접방문’하는 조력을 ‘관할 보육정보센터 직원’이 실시해 주기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영유아보육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은 보육시설 질 개선과 전문성 향상, 인증통과라는 조력목표, 다양한 조력내용, 제도화와 지원확대를 통한 운영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체제의 개발절차와 방향을 제시하고, 조력체제의 목적, 내용, 운영으로 구성체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istance system for childcare centers ‘evaluative accreditation’. 227 principals and teachers to answer questionnaires that asked about requirements for an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addition, a panel of 15 experts was selected to answer questionnair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we collected the needs of the 227 principals and teachers through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assistance syste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he second step, we collected opinions of the 15 experts through open-ended questions. In the third step, we developed the “Assistance System for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of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principals and teachers requested the following support: “from opening of evaluative accreditation to ending”, “1~2 times”, “visiting for childcare center”,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staffs”. Second, experts' opinions about the assistance program were grouped into aims, contents, and management on the assistance model. Third, the “Assistance System for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of Childcare Centers”, including development, directions, aims, contents, and management, was developed.

      • KCI등재후보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남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학․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것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20명의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선정하여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반구조화 된 설문지와 4점 척도형설문지 등을 통해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관련 문헌 및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제안한 15항목으로 이루어진 반구조화 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92항목으로 이루어진 2차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차 조사 결과분석에 따른 3차 델파이 조사는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33항목과 운영 영역 44항목, 총 77항목으로 구성된 시안을 작성하였다. 최종 시안에 대한 패널의 반응분포, 문항의 양호도 및 전문가 합치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의 평균이 3.0 이상이고 부적편포를 나타내었으며 각 문항과 총점 간 상관은 .41~.92였고 신뢰도 계수는 내용 영역이 .98, 운영 영역이 .97로 나타났다. 따라서 왜도가 양의 값으로 나타난 일부 문항을 제외하고는 문항구성이 전체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일부 문항을 제외한 대부분 문항은 전문가의 합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남미경,윤갑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정서 정보에 대한 선택적 주의와 기억 인출의 긍정성 효과

        남미경,방희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4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maintains that an age-related positivity effect in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ttention and memory may reflect efforts at emotion regulation in older adults.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s age differences in selective attention to emotional information and positivity effect in memory retrieval. Compared to the younger age group (aged 19-26 years), older adults (aged 65-84 year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elective attention to emotional words than non-emotional ones, though not showing positive bias, and also recognized the positively valenced words more than the negatively valenced on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age-related positivity effect in cognitive processes may reflect the process of emotion regulation that contributes to positive affective experiences and sense of well-being in older adults.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은 노인의 인지 과정의 긍정성 효과가 정서 조절을 위한 목표 지향적 인지 처리에서 나타나는 것이라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의 관점에서 노인의 정서 정보에 대한 선택적 주의와 기억 인출의 긍정성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목표 지향적 인지 처리는 주의 통제를 필요로 하므로, 대학생 집단(19-26세; 75명)과 노인 집단(65-84세; 120명)을 대상으로 정보 처리의 주의 과정에서 정보 유형(정서, 비정서)에 따른 선택적 주의와 정보의 정서가(긍정, 부정)에 따른 주의 편향을 검증하였다. 기억 인출에서는 정보 정서가에 따른 재인 편향에서의 연령차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은 주의 과정에서 비정서 단어보다 정서 단어에 대해 선택적 주의를 더 잘 기울였으나, 긍정 정서 단어에 대한 주의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기억 인출에서, 노인은 부정 정서 단어에 비해 긍정 정서 단어를 더 많이 재인하여 긍정성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의 인지 과정의 긍정성 효과가 노년의 적응적인 정서 조절 과정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