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연구 -기이(紀異)를 중심으로-

        남동신 ( Nam Dongsin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본고는 기이(紀異)에 초점을 맞추어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문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편찬 취지와 관련하여, 기이 앞머리에 실린 「서(敍)」를 문법과 용례에 맞게 재해석함으로써, 그것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삼국유사』 전체가 아니라 기이에 국한되는 서문임을 밝혔다. 즉, 서는 기이(紀異)를 편찬하는 의도를 드러낸 글이다. 이어서 제2장에서는 편찬자와 관련하여 「무극기(無極記)」를 지은 무극(無極, 또는 混丘, 淸玢)을 집중 검토하였다. 특히 사제관계인 일연(一然)과 무극의 사상적 차이를 부각하였으며, 「일연비」에 등장하는 청분(淸玢)과 산립 (山立)이 서로 다른 인물임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고본 (藁本) 『삼국유사』의 최종 성립 시기가 1360년 겨울 무렵임을 추론하였다. 특히 기이2 「오가야(五伽倻)」조에 인용된 『본조사략(本朝史略)』이 ‘이제현(李齊賢)의 사략(史略)’일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는데, 이는 일연과 무극이 아닌 제3의 인물이 고본 『삼국유사』의 편찬에 개입하였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question of the Samguk Yusa’s formation history, focusing on the first part, “Giyi” 紀異(“Records of Strange Events”). In the first section, we reinvestigate the “Seo” 敍preface at the beginning of the “Giyi” chapter with regard to the intent of the compilation, taking into account grammar and word usages. It is shown that, contrary to common belief, the “Seo” is not a preface to the Samguk Yusa as a whole, but only refers to the “Giyi.” The second section investigates the compiler of the “Mugeukgi” 無極記, i.e. Mugeuk 無極(aka Hon’gu 混丘or Cheongbun 淸玢, 1250~1322). In particular,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Ilyeon 一然(1206~1289) and Mugeuk, who shared a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re emphasized. Also, it is argued that Cheongbun and Sanrip 山立(n.d.), who both appear on the “Ilyeonbi” 一然碑stele, actually are two different people. Lastly, in the third section, the possible time of origin of the Samguk Yusa manuscript is narrowed down to around winter 1360. For the first time, evidence is provided that the term bonjo saryak 本朝史略, quoted in the “Five Gaya settlements” 五伽倻entry in “Giyi” 2, refers to the Historicaloutline 史略compiled by Yi Jehyeon 李齊賢(1288~1367) right after 1357,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another person apart from Ilyeon and Mugeuk was involved in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 Yusa manuscript. The “Giyi” represents wel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amguk Yusa, which is ‘a book of books’ and at the same time an unfinished one. Thus, in future studies on the formation history of the Samguk Yusa it will be even more necessary to return to the ancient printed book (goganbon 古刊本) edition (presumably published in 1394) that is closest to the original.

      • 고려 중기 법상종(法相宗)[자은종(慈恩宗)]과 해린(海麟)

        남동신 ( Nam Dongsi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9 韓國史論 Vol.65 No.-

        본고에서는 고려 중기에 부흥하는 法相宗[慈恩宗]의 사상사적 의의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智光國師 海麟(984-1070)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중기 법상종의 교학은 『瑜伽師地論』에서 『成唯識論』으로 그 무게 중심이 이동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동시에 『成唯識論』의 編譯과 註釋을 주도한 慈恩大師 基(632-682)의 교학, 즉 慈恩學이 主流였음을 의미한다. 고려 법상종의 특색은 『金光明經』을 중시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金光明經』은 불교교단과 세속사회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역설하는데, 고려 법상종단이 이 경전의 ‘護國’내지 ‘護世’ 사상에 크게 공감한 듯하다. 다만 기존에는 ‘護國’을 국왕의 관점에서 이해하였는데, 본고에서는 불교의 관점에서 ‘護世’의 중요성도 부각하였다. 고려 중기 법상종 승려들이 보여주는 放生, 慈善, 救濟 등의 활동상은 분명 『金光明經』에 경전적 근거를 둔 것이다. 법상종의 『金光明經』 중시가 나말여초 禪宗의 흥기에 대한 대응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경쟁 종단인 華嚴宗의 義天(1055-1101)이 渡宋遊學 때 강렬한 禪敎 충돌을 체험함으로써 귀국 이후 기왕의 華嚴學에 실천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교종 중에서도 가장 실천수행을 강조한 天台宗을 개창한 것과 비교된다. 당시 법상종단의 중심 인물 중에서 義天 만큼 禪敎 간의 강렬한 충돌을 체험한 사례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결국 고려 중기 법상종이 보여준 현실 중시의 주된 배경이 고려 사회 내부에 있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vival of the Beopsang School of Buddhism(法相宗 or Jaeun-jong, 慈恩宗, Ch. Faxiang-zong), centered around National Preceptor Jigwang Haerin(智光國師 海麟, 984-1070). First it looks at the precepts of mid-Goryeo Beopsang and examines how its emphasis shifted from the Yugasajiron(瑜伽師地論, Discourse on the Stages of Concentration Practice) to the Seongyusikron(成唯識論, Discourse o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nly). The special feature of Beopsang-jong in the Goryeo can be found in the importance it accorded the Geumgwangmyeong-gyeong(金光明經, Sutra of Golden Light), which stressed the ideal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clergy and secular society. The Beopsang-jong clergy of Goryeo greatly sympathized with the hoguk(護國, saving the nation) and hose(護 世, saving the world) thought of this religious text. However, prior scholarly understandings of hoguk have largely emphasized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monarch, but this paper stresses as well the importance of hose. The range of activities of Beopsang-jong monks in the mid-Goryeo period such as pangsaeng(放生, release of living creatures), jaseon(慈善, benevolent goodness), guje(救濟, relief of suffering) had a textual basis in the Geumgwangmyeong-gyeong. It is difficult interpret the importance accorded the Geumgwangmyeong-gyeong as a response to the rise of Seon(禪宗) Buddhism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This is in comparison to the case of Uicheon (義天, 1055-1101) of the Hwaeom School(華嚴宗) who when studying in Song China had a bout of fierce conflict with Chan(禪宗) Buddhism, an experience that after returning to Goryeo strengthened his practice of his earlier Hwaeom study, and to go further led to his founding of the Cheontae(天台宗, Ch. Tiantai) school, which among the various Buddhist groups was the most devoted to Buddhist practice. Down to the present, among the main members of the Beopsang clergy, there no contemporary instance known of someone who personally had such a fierce encounter with the Seon school. The Buddhism of Liao, with which at the time Goryeo had an active exchange, was led by the Gyo School(敎宗) and the Esoteric Buddhism(密敎). Among these, the Emperor Daozong(道宗), who had a deep attainment in Huayan(華嚴宗) study, was highly critical of Chan(禪宗). In the end, during the mid-Goryeo period the importance placed by the Beopsang-jong on reality hints strongly hints that it had found for itself a place within Goryeo society.

      • KCI등재

        慧超 『往五天竺國傳』의 발견과 8대탑

        南東信(Nam Dongsin) 동양사학회 2010 東洋史學硏究 Vol.111 No.-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investigate two issues in relation to Hyecho's Memoir which is a travelogue written by a Silla monk Hyecho. The first issue I intended to examine is how Paul Pelliot determined that this text was indeed the legitimate Hyecho's Memoir. This issue is important to understand, because Pelliot discovered only a handwritten copy, and the section containing the title of the text and the identity of the author was lost.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discovery of Hyecho's Memoir, I considered the circulation of Huilin's Yitqiejing yinyi to be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only Buddhist text that mentions Hyecho' Memoir. And second themes I intended to deal with in this paper is the Eight Great Stupas. As the ultimate objective of his pilgrimage to India was to pay respect to the Eight Great Stupas, so he documented the names and locations of the Eight Great Stupas, composed of 4 sacred stupas and 4 other great stupas. It was ascertained that Hyecho's Memoir is the oldest extant text indicating the identities and locations of those eight great stupas. I utilized written texts and archaeological survey reports to shed light on those stupas. By accomplishing this task, I hoped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how East Asian pilgrims perceived Indian Buddhism in the early 8th century, and how such Indian Buddhism was understood and consumed throughout the East Asian Buddhist community. The Eight Great Stupas Hyecho referred to were not the so-called Eight Original Stupas, each containing 1/8th of Buddha's sar?ra. Instead, they were the stupas or temples that A?oka erected at Eight Sacred Buddhist Places throughout India. A?oka also erected stone pillars around the stupas he created, and engraved inscriptions upon them. Consequently, the Eight Great Stupas came to symbolize the Eight Sacred places, and the A?okan pillars came to serve as markers of those Eight Great Stupas. The pilgrims were able to identify the eight great stupas with those pillars, and by paying respect to the great stupas, they found themselves inspired by the greatness of Sakyamuni, and had a deep spiritual experie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남동신(南東信)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 였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奇觀’내지 ‘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 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 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 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 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 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 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 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 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 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 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 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 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 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 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 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 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 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 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국문초록 52 美術資料 제100호 2021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 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