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과 생활의 균형(WLB)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남기섭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life balance(work family balance, work leisure balance, work growth balance) and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So we tested four hypothese. First,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ork life bal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Second, work 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we tested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work 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panel participants are 230 persons who have been employed middle and small-size enterprises in Daejeon and Sejong city.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work life balan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job stres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job stress play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과 생활의 균형(일과 가족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이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조직구성원들이 일과 생활의 균형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생활만족은 높아지는지,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생활만족은 낮아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일과 생활의 균형과 생활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실증하기 위해 대전·세종지역 소재 중소기업으로부터 수집한 230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일과 생활의 균형은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역시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일과 생활의 균형의 3개 하위요인인 일과 가족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모두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최근 기업 및 근로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과 생활의 균형 연구에서 그동안 살펴보지 않았던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일과 생활의 균형과 생활만족 간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 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남기섭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impact,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mea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So we tested four hypothese. First,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we tested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anel participants are 227 persons who have been employed middle and small-size enterprises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self-efficacy plays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영향력, 유능감, 자기결정력, 의미성)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조직구성원들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경험하는 정도가 클수록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더 높아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로부터 227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고려해야 하며, 기업들은 조직구성원들이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중요한 변수이며,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대기업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 있는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다고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하였다.

      • 전자상거래 활용기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남기섭(Nam, Ki-Seob)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11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2 No.2

        최근 전자상거래 규모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기업들은 경쟁력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에서의 갈등을 최소화시키고, 직무모티베이션을 증진시키는 등 직무상황과 관련하여 노력이 필요하지만 관리자의 리더십 또한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임파워먼트가 이들 변수간에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전지역 벤처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파워먼트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mpowerment on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empowerment,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the empowerment played as a partial mediation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ased on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일-생활의 균형(WLB)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

        남기섭(Ki-Seob Na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7 경영경제연구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생활의 균형(일-가족의 균형, 일-여가의 균형, 일-성장의 균형)이 심리적 웰빙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대전·충청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의 근로자로부터 253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근로자들이 일과 생활의 균형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을수록 심리적 웰빙은 높아지고 이직의도는 감소하는지, 그리고 심리적 웰빙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심리적 웰빙이 일-생활의 균형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일-생활의 균형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심리적 웰빙은 일-생활의 균형의 3개 하위요인인 일-가족의 균형, 일-여가의 균형, 일-성장의 균형 모두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최근 인사조직관리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일-생활의 균형 연구에서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심리적 웰빙이 일-생활의 균형과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 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ur hypotheses were tested. First,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at work-life bal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and finally, we tested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panel participants were 253 persons who were employed in middle and small-size enterpris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ork-life balan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work-growth bala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work-life bala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Finally, Psychological well-being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비정규직의 HRM 관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병주,남기섭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1

        As the uncertainty for the employment increases among workers due to dramatic chang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an before. The impact of HRM practices on firm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field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ill now, theoretical and emplirical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investigating the effect of HRM practic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e outcome of HRM practices was mostly evaluated by financial measures, the object was permanent worker, not contingent workers. This study focuses on how 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consider whether careerism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HRM practices of this study measures five independent variables-wage, fringe benefits, training, job stability and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sur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Wage, fringe benefits and procedural justice of 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was related positively to i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wages, to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ird, this study considers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ism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HRM practices of contingent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tudy reveals that the careerism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fringe benefits and procedural justice of HRM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ism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HRM practices on the turnover intention was not supported. Finall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최근 고용환경 변화로 인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비정규직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인사관리 전반에 대해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비록 비정규직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기업들이 이들에 대한 인적자원 계획을 세우고 이들을 비용개념이 아닌 자산의 개념으로 보고 동기화시킨다면 오히려 정규직에 비해 직무만족이나 직무태도가 더 높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HRM 관행 즉, 임금수준, 부가급부 수준, 훈련, 직무안정성 및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이나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과의 고용관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경력주의를 투입하여, 비정규직의 HRM 관행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비정규직의 경우 임금수준, 부가급부 수준, 절차공정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수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4가지 인사관행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RM 관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경력주의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급여수준, 부가급부 수준 및 절차공정성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이직의도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간 관계: 한국과 중국 근로자 간 차이비교

        임굉지,남기섭,박상현,이선희,정진섭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7 專門經營人硏究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Korean and Chinese work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Korea and China, but in the case of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contradictory results were obtained. Second, in the case of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dividual consideration, motivation, and charism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Korea, but all cases were rejected in China.

      • KCI등재

        중소기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영호,이상인,남기섭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MEs's manag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of the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We analyzed 227 data from manufacturing workers among SMEs in Sejong and Daeje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MEs's manag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on lead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trust on leade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ole of leaders in SMEs, which are relatively limited in size and resource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can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MEs to improve their corporat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소기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대전·세종·충청지역의 중소기업 중 제조업체 근로자로부터 227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기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가 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와 자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중소기업에서 구성원들에 대한 리더의 역할은 중소기업들이 기업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 후 연구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