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대학생들이 만드는 학습일상에 관한 연구

        나항진(Hang-Jin Na)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노인대학이라는 곳에서 보이는 학습일상을 살피는 것이다. 2004년 1월부터 동년 12월까지 문화기술적 연구의 주요 방법인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하여 얻은 연구자료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다. 연구자료는 Spradley(1980)의 연구모델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노인들은 학습 일상 속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체계를 만들어갔다. 첫째, 그들은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학습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이는 그들로 하여금 ‘학습인’으로 변신케 하였다. 둘째, 노인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여가활동은 이들을 여가의 소비자에서 ‘여가의 생산자’로 거듭 나게 하였다. 셋째, 노인들은 동료 노인과 강사, 행정진, 지역사회와의 관계망 속에서 ‘사회적 지지기제’를 만들어 갔다. 넷째, 그들은 여러 봉사활동 및 세대공동체교육을 통하여 ‘존경받는 어르신’으로서의 역할을 체득하고 있었다. 노인들은 지혜로운 학습활동을 통해서 삶의 여유로움을 만끽하기도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senior citizens" lear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various programs adopt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elderly. I used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adapting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was used for from January 2003 to February and the results are analysed by Spradley"s(1980) research model.   I divided the daily life of senior citizens" learning into four categories. First of all, I found that the elderly enjoyed the pleasure of learning by taking part in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aged people interpreted their leisure anew. They experienced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rough by involving in leisure programs. Also, the aged people form a network by being involved in the same age group, which in turn forms a mechanism of a social supporting relationship. Finally, they tried to have authority over the community and other generations.   I concluded that the senior people improve their daily lif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getting involved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have to be a variety of high-quality supportive systems for the learning of the elderly. Because this in turn changed their ways of life in the process of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노인들이 구성하는 학습의 의미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나항진 ( Hang Jin Na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6 교육인류학연구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인대학생들이 학습 일상 속에서 보여주는 학습의 의미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들을 크게 ``적극적 참여형``과 ``제한적 참여형`` 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들은 학습 일상 속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체계를 만들어갔다. 첫째, 그들은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써 학습하는 즐거움을 느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학습인``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노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여가의 소비자에서 ``여가의 생산자``로 거듭 나게 되었다. 셋째, 노인들은 동료 노인과 강사, 행정진, 지역사회와의 관계망 속에서 ``사회적 지지기제``를 만들어 갔다. 넷째, 그들은 여러 봉사활동 및 세대공동체교육을 통하여 ``존경받는 어르신``으로서의 역할을 체득하였다. 결국, 학습은 인생의 겨울을 맞이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인들은 지혜로운 학습활동을 통해서 삶의 여유로움을 만끽하고 삶의 질을 올리기도 하였다.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senior citizens` lear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various programs adopt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northern Seoul area. By an ethnographic study method, I tried to explore how the elderly are being categorized, and what kind of meanings influence them in the process of learning. I divided the daily life of senior citizens` learning into four categories. First of all, I found that the elderly enjoyed the pleasure of learning by taking part in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aged people interpreted their leisure anew. They experienced perspective transformation by being involved in leisure programs. Also, the aged people form a network by being involved in the same age group, which in turn forms the mechanism for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 Finally, They tried to gain authority over the community and other generations. I concluded that the senior citizens improve their daily lif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getting involved in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have to be a variety of high-quality support systems for the learning of the elderly. Because this in turn changed their ways of life in the process of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의 여가에 관한 연구

        나항진(Hang Jin Na) 한국노인복지학회 2002 노인복지연구 Vol.18 No.-

        노인들은 여가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서 삶의 여유로움을 느낄 수 도 있고, 일상적인 고된 삶을 단순히 연장해 갈 수 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인들은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심리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개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노년기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안정감, 삶의 행복감 등 삶의 질을 추구하는데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여가는 사회적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여가와 사회관계 사이의 관계는 종종 여가는 종속적이고 사회체계는 독립적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된다. 즉, 문화가 여가의 형태를 만든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가가 사회체계를 만드는 독립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특히,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을 비롯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그들의 삶에서 독립변인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노인들의 여가생활은 남는 시간을 그저 소비하는 활동으로서가 아니라 노인들의 삶에 의미체계를 구성하며 자신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가치있는 메커니즘으로 새로이 조명을 받아야 한다. This study started as an effort to illuminate what kind of meaning the word leisure has for the elderly, and what influence leisure has on them. By some theoretical background, I tried to explo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leisure of the elderly and successful aging. The concept and forms of leisure were also discussed for an understanding of leisure in old age. And the roles and benefits of leisure were explored. I propose that leisure is not a simple notion and unrelated to the idea of retiring from work and taking a rest. The senior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regard leisure as a positive concept. I explored the importance of their leis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long education, and took into account som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leisure of the old. Finally, I examined how the leisure activities, done with the desire of maintaining a healthy life, are combined with their workout exercises. This in turn changed their ways of life in the process of upgrading of the quality of life. I concluded that the senior people improve their lif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getting involved in the various leisure programs. As a result, there have to be a variety of high-quality supportive systems for the elderly people.

      • KCI등재

        노인교육기관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나항진(Hang Jin Na) 한국노인복지학회 2003 노인복지연구 Vol.19 No.-

        요구란 통상 현재의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간의 차이를 일컫는다. 요구는 주로 현재와 원하는 수준간의 격차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결핍 또는 격차를 채우거나 치유하기 위하여 학습이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구분석은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성장에 관계된 영역에 적용되어 왔다. 즉,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활동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홍보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장점과 가치 평가를 지원한다. 노인들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요구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노인교육기관 운영자들은 공통적으로 운영비의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강사확보의 문제, 시설 및 교실환경의 문제, 프로그램 수준 미흡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이에 정부 및 지방단체에 바라는 사항도 운영비 지원금 보조 및 증액이 가장 많이 바라는 사항이었으나, 노인교육을 담당할 전문직원의 양성 및 배치, 프로그램의 부족 등도 요구하고 있었다. 정부 당국은 이의 극복을 위해 재정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각 기관에 노인과 노인교육기관의 요구분석에 입각한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needs assessment includes activities to diagnose from various motivations of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mprehensive plans and policies of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through an examin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s on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results call for needs assessment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nature of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welfar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are satisfied with operating their system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s. many institution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eeds assessment, but they didn`t use needs assessment in planning and operating the programs for the elderly. they need financial help as well as various help in personnel and institutional aspect. It should be suggested that the authorities give financial help to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and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on the basis of needs assessment.

      • KCI등재

        영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에 관한 연구

        나항진(Na, Hang-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들과 노인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영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와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복지관에서 1?3세대 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5명의 영유아교사들에 대한 관찰 및 심층면담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과의 면접사례에서 23개의 구성된 의미가 발견되었고, 이들 간의 순서와 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개의 주요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새로운 교육방법의 체험’, ‘편치 않은 프로그램 운영자’, ‘성공적인 노년 성찰’ 등이었다. 연구자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도움으로 1, 3세대가 세대 간의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바로 지금 여기에서’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quality of the experiences of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involving preschoolers and senior citizens. Relying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during the four-month period from September to November of 2010. The six participants took part in focus group interviews and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iorgi"s four types of specific steps. From this analysis, three components and nine subcomponents of the meaning system were drawn from this intergenerational program: First, by sharing warm care and cultural teaching items with preschoolers, the teachers obtained new teaching skills. Second, acting as intermediaries between preschoolers and senior adults, the kindergarten teachers served in the uncomfortable role of operator for intergenerational programs. Third, formulating positive images of the elderly flourishing in ag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took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effort to form intergenerational linkages helps kindergarten teachers nourish a loving understanding of and cooperation with varying age groups.

      • KCI등재

        노인이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나항진(Na, Hang-J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과 아동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노인들이 만들어 가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와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복지관에서 1?3세대 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12명의 노인들에 대한 관찰 및 심층면담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면접사례에서는 28개의 구성된 의미가 발견되었고, 이들 간의 순서와 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12개의 소범주와 다시 4개의 대범주가 발견되었다. 4개의 대범주는 ‘조화와 자긍심 함양을 위한 기회’, ‘3세대에 대한 이해 증대’, ‘느림과 곧음의 미학 실천’, ‘학습 메커니즘으로서의 관계망 형성’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체험을 통한 1?3세대 통합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intergenerational program with children. For this, the researcher enac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ed for 4 months from 2010 september to november 2010. Twelve elderly women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iorgi"s 4 types of specific steps. From this study, I found that four components and twelve subcomponent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The components resulted from the analysis are : first, the elderly obtained the opportunity that they lived harmoniously across between two age groups and enhanced self-efficacy. Second, the elderly increased the understanding for the third generation from the beginning of understanding to mutual growth. Third, the purposeful and creative activities with peers and children have enabled the elderly to practice the wisdom of seniors. Fourth, the elderly have formulated networks as a learning mechanism. Finally, I have concluded that the effort to form the intergenerational linkages helps the elderly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cross age groups and contributes to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

        학부모가 경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나항진(Hang Jin Na),정효정(Hyo Jung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과 노인들이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함께 하는 과정 속에서,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1.3세대 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와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 다. 이를 위해 서울 동부지역에 위치한 한 어린이집에서 행해진 1.3세대 통합 프로 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의 학부모 중 6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현상학적 연구방 법을 사용하여 관찰 및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들과의 면접 사례에서 21개의 구성된 의미가 발견되었다. 이들 간의 순서와 관계를 분석하여 최 종적으로 3개의 주요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다양한 교육경험에 만족’,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인식’, ‘현실적 세대 간 화해의 시작’ 등이었 다. 결국, 학부모들에게 1.3세대 통합프로그램이란 ‘노인들과의 행복한 동행 속에서 자신들의 아이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며, 자신들도 현실적인 관계 속에서 세대 간의 이해와 포용을 체득하는 의의 있는 경험’이라고 정의할 수 있 었다. This study aims to uncover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parents who are involved in intergenerational programs with preschoolers and senior adults. The study employ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ver a four-month perio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September to November of 2013. Six kindergarten parent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iorgi``s four types of specific step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comes up with a meaning system having three components and nine subcomponents. The three components are as follows: Kindergarten parents are satisfied that their children are able to get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Second, they recognize their children’s positive change regarding perspective toward senior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good manners. Third, the experiences bring about a practical reinoculation with parents of husband and parents of married woman. Finally, the study concludes that efforts to form intergenerational linkages help kindergarten parents increas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age groups. Also, these processe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love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유아가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에 관한 연구

        나항진(Na, Hang-Jin),염지혜(Yeom, Ji-H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9

        이 연구는 유아들과 노인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함께하는 과정 속에서 유아들이 만들어 가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와 경험의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복지관에서 1ㆍ3세대 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유아들에 대한 관찰 및 심층면담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면접사례에서는 24개의 구성된 의미가 발견되었고, 이들 간의 순서와 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소범주와 다시 3개의 대범주가 발견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자존감 증대를 위한 기회’, ‘1세대와 전통문화의 이해 증대’, ‘아다지오와 포프테의 하모니 만들기’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ㆍ3세대 통합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 of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intergenerational program with senior adults. For this, the researcher enac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ed for 4 months from 2010 september to november 2010. Fourteen preschool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iorgi"s 4 types of specific steps.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three components and nine subcomponent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The components resulted from the analysis are : first, preschoolers obtained the opportunity that they can increase self-esteem and enhanced self-efficacy. Second, preschoolers increased the understanding for the first generation from continuous contact and interchange. Third, the purposeful and creative activities with preschoolers and senior adults have been the initiative of making the harmony between adagio and forte. Finally, We have concluded that the effort to form the intergenerational linkages helps preschoolers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cross age groups and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filled with love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노년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의론적 탐색

        나항진(Na, Hang Ji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노년교육의 정당성을 탐색하고, 교육자원 혹은 교육기회의 정의로운 배분을 위한 당위성을 이끌어 내는데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노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연구자는 롤즈의 정의론을 토대로 사회정의를 실천하기 위한 원칙으로 '원초적 입장'을 지적하였다. 이 입장은 '무지의 베일'과 '합리적 무관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사회정의의 실천방법으로 '우연성의 배제', '차등원칙 실현', '민주주의적 평등', '공동자산' 등이 제시되었다. 이를 근거로 향후 보다 정의로운 노년교육을 위한 함의를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최소수혜계층인 노인, 여성, 장애인 등이 교육 가치의 배분에 있어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 둘째, 우수한 능력을 갖춘 사람들 혹은 세대는 자신들이 사회의 공동자산이라는 인식하에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들 스스로 분산된 힘을 응집시키고 잠재력을 발전시키려 노력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롤즈의 정의론은 노년교육을 위한 정당성 도출 및 노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이념적 틀로서 매우 유용하다. Based on Rawl's Justice Theory, the author examines the rationales for educating older adults and advocates for their needs for just distributions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he author also seeks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just educational systems for older citizens. On the basis of Rawl's Justice Theory, the essential principles for realizing social justice are presented. The author points out the Veil of Ignorance and Rational Indifference. As the practical methods for achieving social justice, the author presents Exclusion of Coincidence, Difference Principle, Democratic Equality, and Common Asse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just education systems for older adults include: 1) The least advantaged groups such as older adults, females, and the disabled should not be discriminated in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2) People with higher capacities are obliged to serve less capable people; and 3) Older adults should mobilize all resources to empower themselves and to develop their potentials. The author concludes that Rawl's Justice Theory can be tapped into as a useful ideological framework in order to expand education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