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수학교육 관련 혼합 연구에서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 ( Jang Ham Na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初等 數學敎育 Vol.19 No.1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혼합 연구방법(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한)을 활용한 연구에서 질적 연구방법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질적 접근의 적용이 연구 목적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초등수학교육 학회지에 2012년 게재된 전체 16편의 논문 중, 혼합 연구법을 활용한 논문 5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비교 항목별 분석 결과를 양화된 수치로 간략하게 제시하던 기존의 혼합 연구물에 대한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질적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연구참여자 및 샘플링 선정 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시사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pplied to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reby to gain an insight to suggest reasonable ways of employing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intended goal of research,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mixed method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Unlike those a few previous studied on mixed method that focused on producing general trend by simply show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n what the frequence of used research topic, content, methods combination,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mixed studi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and in-depth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validity of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mathematic of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

        나장함 ( Jang Ham Na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다문화 교사교육 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주요 연구물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다문화 교사교육은 어떠한 유형으로 논의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 교사교육 교육과정 관련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어떻게(개념화 다문화 교육의 목적, 교사교육의 목표, 교사교육 교육과정 구성)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현재 다문화 교육의 실천 양상을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아래, 교육학 관련 분야에서 최근 4년간(2007년~2010년)의 논문 중 다문화 교사교육 교육과정구성에 초점을 둔 1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 중 다문화 교육의 기본원칙과 정면으로 상반되는 보수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다문화 교육을 개념화하고 있는 논문은 한편도 없었다. 이는 매우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다문화 교육의 기본 원칙에 가장 충실한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기초를 둔 논문도 한편에 불과하였다. 대다수의 논문은 그 사이-다문화 교육의 기본원칙과는 상반되지 않으면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도 않은-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교육의 필요성 역설과 다소 추상적인 방안제시로부터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증가, 문화적으로 민감한 교수법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대하여 본 연구는, 문화적 민감성과 다문화적 역량이 다문화 교사교육의 전형으로 자리 잡게 될 때 간과하는 것은 무엇인지, 서구적 맥락에서 생성된 문화적으로 민감한 교수법과 관련된 연구들이 우리의 연구맥락에서는 어떻게 논의되는지, 그리고 문화적 민감성과 다문화적 역량에 초점을 둔 개념화에 대한 성찰과 대안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a( MTEC),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clear picture of curren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MTE) practices in Korea. Using both semi-meta synthesis and content analysis and applying a typology for multicultural education(ME), I analyzed literature on MTEC, focusing on how they conceptualized the purpose of ME, the object of MTE, and the constitution of MTEC cont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7 out of the total 10 papers were framed to prepare teachers with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cultural responsiveness. Only one article was meet the basic princip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ther words, more than 70% of studies did not frame ME as a political movement concerned with social justice, as a critical awareness of power and privilege, and as a commitment toward social equality and justice. Moreover,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appropriate tends to become the major form of multicultural curriculum construction while it tends to be conceptualized in a way that is less critical than the original authors did(for example, Gay`s and even Ladson-Billings`s critical stance are reduced or removed ). An unexpected finding was that the total number of 10 papers were meet the diversity standard of NCATE.

      • KCI등재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에 대환 고찰: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나장함 ( Jang Ham Na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기존 연구물들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보다 확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종합·분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연구 맥락에서 연구 종합·분석의 방법론들 전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개별 질적 연구를 종합·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교육학 및 사회과학 관련 분야에서 전무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 동향의 결과로 개별 질적 연구물은 독립적인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정책 대안화의 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연구 종합·분석의 고전적인 방법,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및 제약 등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연구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실행 과정, 장·단점, 교육과정 및 교육학 관련 연구에서의 시사점 등을 논의함으로써 질적 연구 종합·분석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서구적 맥락에서 소개된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진단해 보기 위하여 "장애인의 직업 교육 및 직업 유지"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행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점들과 이슈들을 탐색하고, 향후 질적 연구물에 대한 종합·분석을 위해서는 어떠한 논의와 시도들이 강구되어야 하는가를 제시하였다. Research synthesis is built on the reflection that individual studies are limited in generalizablity of the knowledge they produce. The findings of a single study are vulnerab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mpling, the context of research setting, and the amount of time allowed for complet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a single study is evident in that it can hardly provide a generalizable and definitive finding to a research question. Qualitative meta-synthesis refers to the theories, grand narratives, generalizations, or interpretive translations produced from the integration and comparison of findings from qualitative studies. Although variations among different research synthesis methods are diverse form one to another(in terms of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strategies), all methods of research synthesis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single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onsistence and dissonance in similar studie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 review, meta-analysis, best evidence synthesis, and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is study also explores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entangled with practic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is paper conclude with suggestions that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ereby expecting to generate an accumulative knowledge and a new insight from this synthesizing meth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고 현(Ko Hyun),나장함(Na Jang 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광주지역에 소재한 C대학과 G대학에 재학 중인 2~4학년 3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 지 한 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핵심역량과 자기효능감은 교직전문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 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핵심역량과 전문성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역량을 개발 및 강화하고 교사로서 자기효능감을 확립하기 위해 실제적인 교수 기회와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와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percep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2 college students in 2nd to 4th graders at C and G universities in Gwangj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8 to June 1, 2018 for one week.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rived. First, teacher core competency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need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 system and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that can provide practical teaching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establish self-efficacy as a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