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mplementation : A Case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Korea

        나장함(Jangham Na)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This study examined what shapes prevalen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IDC)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lthough teachers have been encouraged to make use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tegrating teaching and learning, especially from the early 1990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are fully equipped with proper knowledge and skills in practicing the IDC. Because educational reform demand sufficient amount of locally generated information and data describing what is actually occurring in the local schools when the IDC is supposedly in u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local teachers' views on IDC and their use of it in different schools. A qualitative evaluation(interviews and observations) carried out as a way of describing teachers' conceptualized IDC practice and classroom observations as a way of describing teachers’ actual IDC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1)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를 기술하고, 2) 실제 교실 상황에서 적용된 통합교육과정은 분석하여 교사양성, 교원연수, 행정지원 등의 교육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현장 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두 공립초등학교에서 각각 9명씩 총 18명의 교사들을 인터뷰하고 7개 반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그들이 개념화고 있으며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을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다양한 견해로 통합교육과정을 해석하고, 통합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그 동안의 교원연수/대학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이라는 개념에 대체로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과중심의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을 서로 양립하기 힘든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서로 상반되게 보이는 양자 간의 협력적 관계설정의 중요성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즉, 교육자가 제한된 교과중심의 영역에 자신을 한정시키지 않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경험, 관점 등을 토대로 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생성된 교육적 지식을 재구성하는 대안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이 궁극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 시키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교육(과정)개혁은(제시하는 이론적 근거나 기대효과에 관계없이), 그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여건의 마련 및 그러한 개혁으로부터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집단에 대한 적절한 배려가 따라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나타난 사항들은, 앞으로의 교원양성, 교원연수 등의 교육내용 및 실행이 해당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적절히 반영 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며, 학교 및 현장 교사들의 입장을 보다 이해하는 토대 위에 현실적인 행적지원과 함께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Popkewitz의 관점에서 본 교육변화의 세계적 경향과 과제 - 변화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나장함(Na Jangh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변화의 원인 및 실행 양상과 관련하며 우리의 학문적 맥락에서 그 동안 상대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관점들, 교육변화의 실행 과제 등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연구 결과와 정책 대안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문에서는 교육 변화의 세계적 경향성, 그러한 변화를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과 대안적인 관점, 세계적 교육 변화 경향성에 따른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오늘날 세계 교육이 왜 수렴되어 가는지, 그러한 경향 속에서 경시되어 질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세계화와의 관련성을 점증적으로 더해가는 개별 국가의 교육 변화가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개혁의 의미 실현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과 연구가 요구되는지 등에 관한 답변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한 국가의 교육변화라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 세계적인 담론과의 관련성을 더해 가는 방향으로 추진되게 될 때, 이러한 변화로부터의 야기 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세계적인 교육담론ㆍ추세와 우리 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 비교교육학 연구 관점의 전환, 그리고 교육변화 실행의 괴정(process)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들의 파악 및 이들 간의 보다 협력적인 관계성 확보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itute the meanings,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change in Korea and to reestablish the new relationships among policy makers, scholars, and teachers to address problems in educational reform.<BR>  Currently a reason for reform practice in a nation has to do with the complex force of educational discourse in the world. This means that policy makers tend to less critically immerse into the educational dis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e in today’s world while they overemphasize the benefits from a certain reform that were tested in other nations. In doing so, nowadays the meanings of educational reform become more complex and ambiguous because a reform creates disparities between its proposal and outcome.<BR>  In this research, I attempted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trend in curriculum changes and their relations to individual nations" reform practice. This includes identifying general trends in curriculum practices in today"s world and comparing two traditional perspectives along with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ward the trend.<BR>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teachers, and scholars ne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changes in Korea and the complex force of educational discourse worldwide so that people become more critical of their engagement with it. This dissertation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educational reforms aimed at rethinking the meaning of curriculum change and aimed at addressing problems of inclusion/exclusion entangled with reform practices.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의 질적연구법 활용에 대한 분석: 연구결과의 타당성 증진 방안을 중심으로

        나장함 ( Na Jangha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는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질적 접근을 적용한 논문들의 질적 접근 활용양상을 탐색하고, 질적 접근의 타당도와 신실성 향상 방안을 논의하고,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 접근 활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에 게재된 13편의 논문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경향성을 진단하였다. 질적연구 적용 양상에 대한 경향성은, 적극적 질적연구 6편, 반(semi) 질적연구 3편, 혼합연구 3편, 문헌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입 1편 등으로 나타났다. 기초분석 결과를 토대로, 13편의 논문 중 질적 접근을 적극 활용하여 풍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6편의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6편의 논문의 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질적 분석 결과는 질적연구의 타당도와 신실성(trustworthiness)과 관련된 이슈들을 해당 연구의 맥락에서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질적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연구를 활용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Qualitative research has become a growing area of interest among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for the last two decades.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studie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has rapidly increased whil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s not gained much credit among scholar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o current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lso seeks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approach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a general tren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basic analysis of 13 papers that used qualitative approaches and published i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Series E > from 2019 to 2020. Of the 13 papers. Through the basic analysis, 6 out of 13 papers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qualitative tex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discusses issues related to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 detailed mann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key points to keep in mind when applying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구 발간 교육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 분석

        나장함(Na, Jangham),조대훈(Jho, Da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문헌/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형성에 기여하는 세계시민교육 유관 기관의 교육 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관 3곳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최근 10 년 간(2008-2017)의 교육 관련 출판물을 1) 자료 유형, 2) 주요 핵심어의 빈도수, 그리고 3) 두드러진 세계시민교육의 관점 등의 준거를 적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이 선정한 20개의 세계시민교육 핵심어군 범주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 빈도수를 보인 상위 5개의 핵심어는 ‘문화다양성’, ‘간문화/다문화 이해’, ‘지속가능환경’, ‘개발/발전’, 및 ‘인권’이었고, 하위 5개 핵심어군은 ‘구조적 불평등’, ‘성평등’, ‘생물다양성’, ‘지속가능자원’ 및 ‘건강/보건’이었다. 또한, 자료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점의 분석 결과, ‘인도주의적 관점’과 ‘여행자적 관점’이 압도적이었고, ‘비판적 관점’과 ‘신자유주의적 관점’은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주변화 된 세계시민교육의 주제들에 대한 관심 회복, 2) 세계시민교육의 담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3) 세계시민교육 담론 분석 연구 방법론의 엄밀성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By conduct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reflected on the education materials published by three major GCED agencies in South Korea, which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mainstream discourse of GC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education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those three agencies, focusing on three main criteria: 1) types of materials, 2) frequencies of major key GCED themes, and 3) salient GCED perspectives/approaches. The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diversity, cross-cultural/multicultural understanding, sustainabl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were the top five key themes. while structural inequality, gender equality, biodiversity, sustainable resources, and health/wellness held the bottom five. Regarding the GCED perspective-taking, the two approaches—Humanitarian and Tourist—constituted an overwhelming majority, while the Critical perspective and Neo-liberal perspectives were found the minority. The findings suggest the demand for paying equal attentions to the marginalized GCED themes,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 GCED discourses, and the enhancement of methodological rigor in the area of the analysis of GCED discourse.

      • KCI등재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나장함(Na Jangha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타당도에 관한 논의는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양(계량)적 연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양적 연구와는 다른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에서 제시하는 타당도 개념과는 다른 나름대로의 타당도를 개념을 설정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1990년대 이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교육학계에서 꾸준히 고조되고 있으나, 우리의 학문적 맥락에서는 질적 연구의 타당도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 되어 오지 않아, 오늘날 양산되는 질적 연구물의 질적 수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1)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특성 비교, 2) 타당도 정의 재고, 3) 질적 연구 타당도 확보 선정틀로서의 연주자 렌즈와 연구자 패러다임, 4) 질적 연구 타당성의 유형과 타당도 확보 기법의 조화 등을 논의하였다. 즉, 본 논문은 질적 연구수행에서 혼란을 초래하였으며, 간과되었던 영역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질적 연구 타당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Because the various definitions of validity is rooted in positivist quantitative approach, qualitative research should redefine them for their use in naturalistic approach.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using qualitative approach has rising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quality of their comes call into question. One of the major reason responsible for this problem is the lack of discussions on the quality criteria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sense,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nature of validity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a insight into insuring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I begin this study by comparing some of the major differenc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ext, I review and analyze a range of various definitions for validity given by leading authors. Than, I discuss the lens of researcher and researcher"s paradigm assumption as a determinant of choosing validity procedures. Finally, I offer 3 type of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with verification procedures. This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플라즈몬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활용한 차세대 전기변색 소자 개발 동향

        나장한 ( Janghan Na ),김성빈 ( Sungbin Kim ),허성연 ( Sungyeon Heo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7 No.1

        Direct use of sunlight through the glass windows is an efficient way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related to the heating, cooling, and lighting. Introduction of near-infrared modulating properties through colloidal doped metal oxide nanocrystals into the classical electrochromic materials accelerates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electrochromic devices. There has been a steady enhancement in the performance of electrochromic devices, necessitating a review of the recent progress in next-generation electrochromic devices employing doped metal oxide nanocrystals.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developments in next-generation electrochromic smart windows utilizing colloidal doped metal oxide nanocrystals, with a focus on the key factors for achieving these advanced windows. Colloidal doped metal oxide nanocrystals are a crucial component in realizing and bringing to market the next generation of electrochromic windows, though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still required in this regard.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에 대환 고찰: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나장함 ( Jang Ham Na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Research synthesis is built on the reflection that individual studies are limited in generalizablity of the knowledge they produce. The findings of a single study are vulnerab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mpling, the context of research setting, and the amount of time allowed for complet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a single study is evident in that it can hardly provide a generalizable and definitive finding to a research question. Qualitative meta-synthesis refers to the theories, grand narratives, generalizations, or interpretive translations produced from the integration and comparison of findings from qualitative studies. Although variations among different research synthesis methods are diverse form one to another(in terms of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strategies), all methods of research synthesis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single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onsistence and dissonance in similar studie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 review, meta-analysis, best evidence synthesis, and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is study also explores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entangled with practic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is paper conclude with suggestions that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ereby expecting to generate an accumulative knowledge and a new insight from this synthesizing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

        나장함 ( Jang Ham Na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a( MTEC),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clear picture of curren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MTE) practices in Korea. Using both semi-meta synthesis and content analysis and applying a typology for multicultural education(ME), I analyzed literature on MTEC, focusing on how they conceptualized the purpose of ME, the object of MTE, and the constitution of MTEC cont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7 out of the total 10 papers were framed to prepare teachers with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cultural responsiveness. Only one article was meet the basic princip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ther words, more than 70% of studies did not frame ME as a political movement concerned with social justice, as a critical awareness of power and privilege, and as a commitment toward social equality and justice. Moreover,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appropriate tends to become the major form of multicultural curriculum construction while it tends to be conceptualized in a way that is less critical than the original authors did(for example, Gay`s and even Ladson-Billings`s critical stance are reduced or removed ). An unexpected finding was that the total number of 10 papers were meet the diversity standard of NCATE.

      • KCI등재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고찰

        나장함(Na, Jangh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본 연구는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그 의미를 다소 단순화하고 협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함).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문화 교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의 연구맥락에서는, 다문화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능력을 ’문화적 역량(또는 다문화적 역량/능력,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감각, 다문화적 교수능력 등)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물은 ‘문화적 역량’을 사회ㆍ정치적 의식과 연결시켜 다루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대하여 본 연구는, 먼저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실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한 대안으로 Ladson-Billings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개념을 분석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여, 현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competence or culturally appropriate teaching has received a great interest from many studie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s an effective tool to work with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Although they are presented with similar terms(such as culturally appropriate, culturally congruent, culturally responsive), studies used these ter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d varying definitions of the term. Most of studies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Ladson-Billings’CRP in a manner that focused mainly on narrow definition of culture. Currently, many teacher eduction programs are based on liberal multiculturalism that tends to preclude analysis on power relations and social privile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CRP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needs to incorporate critical multicultural practices so that teachers will develop soci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ir own that will guide them toward critical practice of CR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