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

        나영이 ( Young E Ra ),홍용희 ( Yong Hee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고찰했다. 연구대상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0명과 이들의 자녀 21명이다. 본 연구는 어머니 대상 심층면담과 자녀 및 가족의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귀납적 방법으로 추론하여 결론을 도출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하는 부모역할은 건강 돌보기, 안전하게 보호하기, 상담자 되어주기, 함께 놀아주기, 생활습관 지도하기, 인성 교육하기, 학업 지원하기, 베트남에 대해 가르치기, 생활비 벌어 지원하기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부모역할 실제를 살펴보면, 건강돌보기와 안전하게 보호하기는 잘 수행하고 있었고, 베트남에 대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가르친 반면, 언어적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상담자되어주기, 생활습관 지도하기, 인성 교육하기, 학업 지원하기 역할은 어려워했다. 자녀교육에서 결혼이민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parent rol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e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s for the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ferred inductively to reach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roles perceived by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clude taking care of health, protecting children safe, being counselors for them, playing with them, instructing them with life habits,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supporting their children’s study, teaching about Vietnam, and contributing to the living expenses. Second,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do taking care of health, protecting children safe well, but they had difficulties with the role of being counselors, instructing life habits,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supporting study due to lack of linguistic interaction, and they are teaching about Vietnam spontaneously and actively. Social supports to reduce difficulti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 education are needed.

      •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성

        김반재(Kim Ban-Jae),심성희(Sim Sung-Hee),장석경(Jang Suckg-Yeong),나영이(Ra Young-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7 교육발전 Vol.37 No.2

        본 연구는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평택시 소재 K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와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 12성품교육은 예비유아교사들의 12성품 즉, 인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형 12성품교육 후 예비교사들의 12성품은 KEDI 인성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볼 때, 12성품교육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성교육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계획하고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Korean-style 12-character education up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it targeted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freshmen and sophomore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Pyeongtaek city of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carried out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style 12-character education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ing twelve dispositions, namely, personalitie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following the Korean-style 12-character education, the twelve character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outcome of KEDI personality test.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e 12-character education is expected to be likely abl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planning and establishing the specific contents on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in making a personality education polic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직무체험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심성희(Sim Sung-Hee),장석경(Jang Suk-Kyumg),나영이(Ra Young-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의 직무체험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직업에 대한 기대 및 성취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에 위치한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1학년 15명이다. 4주 동안 실시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에 예비유아교사에게 나타난 성취에 대한 의미를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는 수업준비, 수업실행, 일상생활지도 시 교사 역할의 실제를 알고 배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실제로 직무체험프로그램에서 경험한 것으로는 수업준비와 실행, 일상생활지도 외에도 유아의 발달적 특징, 개인차, 놀이방식의 차이 등을 보고 유아관련 지식을 체험했으며, 학급운영과 부모상담 및 돌봄에 이르기까지 유아교사직의 업무가 생각보다 많은 일들을 감당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 성취한 것에 대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의 실제를 체험함으로써 유아와의 행복한 시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사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게 되었기에 스스로 보람을 느끼고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서는 체력과 정신력을 기르고 밝고 긍정적이면서도 솔선수범이 되는 교사의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학업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직에 대한 확신을 갖고 교사직과 관련된 다양한 직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현장에서 직무체험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ing through a job experience program. 15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field-based job experience program for 4 weeks.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and post- questionnaires which enabled participants to freely share opin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xpect teacher" know to preparation for a class, teaching performance, role of teacher for daily life guidance. Second, it is the actual experiences were infant knowledge, class management, parent counseling and care. Third, achievements included not only facilitating positive teacher behaviors, but also school performance. Moreover, it is important that variety of exper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providing field-based job experience for the confidence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eaching and variety experience of job-related.

      • 김치 제조 및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성 변화

        김혜자,나영,양차범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Large packaged Kimchi (bulk product, 3kg, 5kg) and small packaged Kimchi were made with adding development new spice for improving preservation of Kimchi when blending with other sub-material (0.5% of total Kimchi material weight). It was studied pH, total acidity, change of microorganism, change of gas pressure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with various factor for maturation. The change of pH in large packaged Kimchi was shown higher level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 in cold preserve BB-1 group after 24hrs mature with adding new spice. The same result can be made PA-2 group with new spice, vaccume packing for 4 sec which doesn't have maturation. BB-1 group and PA-2 group are the lowest level in total acidity, large packed Kimchi and small packed Kimchi, separately. As the result of studying changes of microorganism and gas pressure in inner packing, PA-2 group was the lowest in the inner pressure and be shown to inhibit growth of Lactobacillus sp. group and Yeast, to activate growth of Leuconostoc sp. group. relatively. The result of sensory test is the same with change of microorganism. BB∼1 group with 24hrs mature in the preserve container after adding new spice made original Kimchi which had the best taste and odor in large packing. PA-2 group which doesn't have mature, vaccume packing, cold preserve at 4℃ after adding new spice considering sanitation and working efficiency made much more nice result in small packing. In evaluation of total acceptability, experimental groups with adding new spice (PA-2, PB-2) were significantly (P<0.005) highed between CB-2 which mature and packing without new spice.

      • 김치의 제조 및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성 변화

        김혜자,나영,양차범 韓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김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새로운 양념을 김치원료 무게의 0.5%가 되게 다른 부재료 배합시 함께 첨가하여 대포장 김치(벌크 제품, 3kg, 5kg)와 소포장 김치(500g)를 각각 제조하였다. 포장단위에 따라 숙성, 저장 및 포장 조건을 달리하여 각 실험군간의 pH, 총산도, 미생물의 경시적인 변화, 김치발효 중 가스압력의 변화 및 관능검사 등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28일째에 대포장 김치는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24시간 숙성 후 냉장 보관한 BB-1군에서, 소포장의 경우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숙성시키지 않고 4초간 진공포장한 PA-2 군이 다른 실험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총산도는 대포장 김치에서는 BB-l 군이, 소포장의 경우 PA-2군이 각각 0.79%와 0.78%로 산생성이 가장 낮았다. 포장내의 가스압력 및 미생물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포장의 경우 PA-2군이 타 실험군에 비해 내부압력이 가장 낮았고, 산패의 주요 원인 균주로 알려져 있는 Lactobacillus 屬과 군덕맛과 이취를 생성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는 Yeast의 번식이 저해되었고, 김치의 상큼한 맛과 탄산미를 더해주는 Leuconostoc 屬의 번식은 상대적으로 촉진됨을 보였다. 대포장의 경우는 BB-1군이 신맛을 유발시키는 Lactobacillus 屬과 Yeast의 번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Leuconostoc 屬의 번식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미생물의 변화와 일치하였는데, 대포장 김치의 경우 신규양념을 첨가하여 저장용기에 담아 24시간 숙성 후 포장한 BB-1군이 자연스럽게 국물이 생성되고 혐기적 환경이 조성되어 김치 고유의 맛과 향미가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 소포장의 경우는 포장 작업시 위생적인 측면과 작업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신규양념을 첨가한 후 숙성시키지 않고 곧바로 진공포장하여 4℃에서 냉장 보관한 PA-2 군에서 김치의 맛과 향미를 월등히 향상시키는 이중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신규양념을 첨가한 실험군(PA-2, PB-2)이 신규양념을 첨가하지 않고 숙성 후 포장한 CB-2 군 김치와 유의적인 차이(P<0.05)로 높게 평가되었다. Large packaged Kimchi (bulk product, 3kg, 5kg) and small packaged Kimchi were made with adding development new spice for improving preservation of Kimchi when blending with other sub-material (0.5% of total Kimchi material weight). It was studied pH, total acidity, change of microorganism, change of gas pressure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with various factor for maturation. The change of pH in large packaged Kimchi was shown higher level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 in cold preserve BB-1 group after 24hrs mature with adding new spice. The same result can be made PA-2 group with new spice, vaccume packing for 4 see which doesn't have maturation. BB-1 group and PA-2 group are the lowest level in total acidity, large packed Kimchi and small packed Kimchi, separately. As the result of studying changes of microorganism and gas pressure in inner packing, PA-2 group was the lowest in the inner pressure and be shown to inhibit growth of Lactobacillus sp. group and Yeast, to activate growth of Leuconostoc sp. group. relatively. The result of sensory test is the same with change of microorganism. BB-1 group with 24hrs mature in the preserve container after adding new spice made original Kimchi which had the best taste and odor in large packing. PA-2 group which doesn't have mature, vaccume packing, cold preserve at 4℃ after adding new spice considering sanitation and working efficiency made much more nice result in small packing. In evaluation of total acceptability, experimental groups with adding new spice (PA-2, PB-2) were significantly (P<0.005) highed between CB-2 which mature and packing without new spice.

      • KCI등재

        국내외 ‘영아’ 관련 연구물의 최근 동향 분석 : 2000년~2013년 발간 논문을 대상으로

        이승연,권수현,권연정,김언경,나영이,유주연,최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infant research published from 2000 to 2013, in order to understand overall aspects i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subjects in infant research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infant research. A total of 2916 journal articles and theses/dissertations, both domestic and foreig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14 year period, 737 domestic articles, 634 domestic theses/ dissertations, 1242 foreign articles, and 303 foreign dissertations on infant research were published, and there was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ses/dissertations over the year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different patterns were found between the domestic ones and the foreign ones; the topic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domestic ones and “development” in the foreign ones occurred most frequently.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domestic ones employed “survey” the most, and the foreign ones employed “experiment” the most amo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e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methods and topics, the foreign ones showed clear matches between topics and research methods, while the domestic ones preferred “survey” regardless of the topics. Fourth, in terms of subjects/participants, “infants” were the most researched in both the domestic ones and the foreign ones, followed by “parent” and “teachers.” Among the infants, the domestic ones focused on 25~36-month olds the most, while the foreign ones focused most on 0~12-month olds. In addition, in all types of infant research, there were more single subject studies than multiple subject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