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기업 패션SPA브랜드의 디자인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

        나건,오수진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3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SPA brands of domestic companies that can compete with global SPA brands. In recent years, domestic fashion companies have begun to launch Korean native SPA brands. This is because since the 90s, GAP of America, UNIQLO of Japan, ZARA of Spain, and H&M of Sweden have won great success worldwide, and by advancing to Korea, they have had great effect on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Currently,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is going through a period of great change due to sudden change in consumer lifestyle, emergence of new and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stabilization of direct advancement of foreign brands, and rapid spread of advanced distribution structure. In response, Korean SPA brands such as SPAO, MIXXO, 8 SECONDS, and TOPTEN began to emerge before and after 2010. For them, this research studied design management of brands that succeeded as global SPA brand such as H&M, ZARA, and UNIQLO and analyzed differentiation strategies. Also,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SPA brands, it evaluated the strategies being implemented currently and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brands through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본 연구는 글로벌 SPA 브랜드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 기업의 한국형 패션 SPA 브랜드의 발전을 위한 디자인경영 전략을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의 패션 기업들이 한국형 토종SPA 브랜드들을 런칭하기 시작했다. 이는 90년대 이후 미국의 GAP, 일본의 UNIQLO, 스페인의 ZARA, 스웨덴의 H&M 등이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한국에도 진출함으로써 국내의 의류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의 패션산업은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급격한 변화, 새롭고 다양한 유통채널의 출현, 해외 브랜드들의 직진출 안정화 및 선진 유통업태의 빠른 확산으로 엄청난 변화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대응해 2010년을 전후로 SPAO, MIXXO, 8 SECONDS, TOPTEN 등 한국형 SPA 브랜드들이 출현하기 시작했다. 이들을 위해 글로벌 SPA 브랜드로 성공한 H&M, ZARA, UNIQLO의 디자인경영을 연구하고 차별화전략을 분석했다. 그리고, 국내 SPA 브랜드의 현황을 파악해 현재 실행되는 전략들을 평가하고 향후 브랜드가 나아갈 방향을 디자인경영 전략을 통해 제안했다.

      • KCI등재
      • 사용자 조사 및 인간공학적 접근을 통한 변기 디자인

        나건 대한인간공학회 200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논문은 화장실 디자인을 위한 연구 결과의 일부로서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변기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요소들을 도출하였고 디자인 형태적 분석, 디자인 트렌드(trend) 분석, 인체치수 자료 비교, 그리고 인도의 IIT에서 수행한 자세에 따른 복압 측정 결과 등을 활용하여 인간공학적 변기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즉, 변기의 높이는 기존 변기의 높이(37㎝)보다 적어도 4㎝ 이상 낮아야 하며, 변기의 디자인은 복압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자세인 “반쯤 선 자세”(semi-standing)를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사용자의 요구인 화장실의 수납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변기의 디자인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Heparin/Polypyrrole (PPy) Composite on Gold-Coated Matrix for the Neurite Outgrowth of PC12 Cells by Electrical Stimulation

        나건,박근홍,Eun Ae Jo 한국생물공학회 2007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12 No.5

        A heparin/polypyrrole (PPy) composite, an electrical conducting polymer, was designed to enhance the interactions between a gold-coated matrix and nerve cells, with the cell (PC12 cells) interactions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both with and without electrical stimulation. The heparin concentration in the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under the preparation condition, indicating that the heparin concentration in the composite could be controlled by managing the current density. Optical imaging showed that PC12 cells well attached to the PPy surfaces covered with heparin, but were poorly interacted to PPy surfaces without the heparin and gold coated matrix. The neurite length of the PC12 cells on the surfaces with an electrical stimulation (100 mV for 1 h)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 median length of 77.5 μm; whereas, that without electrical stimulation was 10~20 μm. Therefore, the heparin/polypyrrole (PPy) composite may provide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al nerve guidance channel.

      • KCI등재

        Self-organized Pullulan/Deoxycholic Acid Nanogels: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cancer Drug-releasing Behavior

        나건,Kyong Mi Park,Eun Ae Jo,Kwan Shik Lee 한국생물공학회 2006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1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self-organized nanogels as a means of drug delivery in patients with cancer. Pullulan (PUL) and deoxycholic acid (DOCA) were conjugated through an ester linkage between the hydroxyl group in PUL and the carboxyl group in DOCA. Three types of PUL/DOCA conjugates were obtained, differing in the number of DOCA substitutions (DS; 5, 8, or 11) per 100 PUL anhydroglucose uni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nanogels were characteriz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mean diameter of DS 11 was the smallest (approx. 100 nm), and the size distribution was unimodal. To determine the organizing behavior of these conjugates, we calculated their critical aggregation concentrations (CACs) in a 0.01-M phosphate buffered saline solution. They were 10.5 × 10-4 mg/mL, 7.2 × 10-4 mg/mL, and 5.6 × 10-4 mg/mL for DS 5, 8, and 11,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DOCA can serve as a hydrophobic moiety to create self-organized nanogels. To monitor the drug-releasing behavior of these nanogels, we loaded doxorubicin (DOX) onto the conjugates. The DOX-loading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DOCA substitution. The release rates of DOX from PUL/DOCA nanogels varied inversely with the DS. We concluded that the PUL/DOCA nanogel has some potential for use as an anti-cancer drug carrier because of its low CAC and satisfactory drug-loading capacity.

      • KCI등재

        디자인 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나건,전수정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Creativity is the essential keyword of innovation in 21st century. It is the ability of generating new ideas and combining them. Innovation is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idea with success. Design thinking is the driving force to make them possible.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that have tried to develop the creative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fit the domestic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der a emerged and diffuse background of design thinking and check a correlation from the creativity development to the innovation. It is also to discov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eative process cases based on design thinking to better understanding. 4 creative process cases looking into as follows. 3I process guide that IDEO modified newly for the United States, Design thinking process used in Hasso Plattner Institute of Design, Stanford University for the U.S. and Potsdam University for Germany, Double diamond model for the United Kingdom, and W.I.P.R. process for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ome similarities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multi-disciplinary and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 it has a structure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Thirdly, it undergoes prototyping for the visualization. Finally, there are insightful results through empathy with customers or users. An research, which creative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the various challenge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at leads to innovation, remains as a matter for future study. These fundamental research results c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design workshop model or guideline for team constitution of participatory design. 창의성(creativity)은 21세기 혁신(innovation)의 주요 키워드(keyword)로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이자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능력이며, 여기에서의혁신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이다. 이것에 대한 역사적인 맥락 연구와 국내 현황에 맞게 자체 개발된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개발 사례 연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사고가 등장하여 확산하게 된 배경과 창의성 개발에서 혁신으로 적용되는 상관관계를 정리해보고, 좀 더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를 대표적인 국내·외 사례로 분류해 알아보았다. 미국의 사례로, 널리 알려진 IDEO에서 새롭게 보강한 3I 프로세스 가이드와 d.school로 알려진 HPI of Design, Stanford와 독일의 Potsdam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사고 프로세스를 영국의 사례로 Double Diamond Model을, 한국의 사례로 W.I.P.R. 프로세스를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질 수 있다. 첫째,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이며 인간중심적(human-centered) 접근방법이다. 둘째, 전반적으로 디자인사고 접근법으로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셋째,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시각화(visualization)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공감(empathy)을 통해 통찰력(insight)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 후 다양한 목적과 도전을 수행할 수 있는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혁신을 이끌어내는 창의적 자신감 기반의 창의성 개발에 대해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초 연구가 프로젝트 진행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 워크숍 실험모형 개발이나 참여적 디자인 팀 구성 가이드라인에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후보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 발상에 관한 연구- 창의 워크숍을 중심으로 -

        나건,박준홍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4

        Design is an effective tool which has led the innovation of enterprise in many fields.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collec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which are basics of the creative problem solution process for innovation. It has explored to suggest the creative workshop as a solution and also the core visual communication. Also, it has approached to deliver the definite notion from the abstract to communicate in the study. The workshop has attracted the non-experienced participants to spontaneously take part in, and has provided the creative workshop process in casual atmosphere. In the creative workshop, the participants could have creative idea based on the convergent thinking ability. The experimental has attempted to the non-experienced participants could discover the design solution as designers based on the W-I-P-R process and also they could develop the creative idea and workshop. 디자인은 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이 여러 분야에서 확인되고 있다. 혁신의 핵심인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의 기본인 수집, 분석, 종합, 평가의 패턴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 워크숍을 제안하고 그 핵심인 시각적 의사소통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추상적인 개념을 명확한 개념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으로서의 시각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경험을 갖고 있는 비 디자인 전공자들의 워크숍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비 디자인전공자들이 시각적 표현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 창의 워크숍 프로세스를 제시하기위해 24회에 걸친 창의 워크숍을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창의 워크숍을 통하여 참여자들이 융합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실험하고자 하였으며 이 실험을 통하여 비 디자이너도 자유롭게 참여하여 디자인사고를 가능 하게 하는 W-I-P-R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 워크숍을 기획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