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전처치법과 초대량의 CD34 양성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고 위험군 급성 골수성 백혈병 g환자의 가족간 HLA 완전 일배체 불일치 이식

        김희제,민우성,박윤희,김유진,이석,김동욱,이종욱,김춘추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1

        Division of Hem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 Haploidentical transplantation has become a considerable clinical choice for acute myeloid leukemia (AML) patients lacking a HLA matched donor. We tried to reveal the possible role of a full haplotype mismatch transplantation. Methods : Four patients received stem cell transplantation from their full haplotype mismatched family donors. Conditioning regimen included total-body irradiation, intravenous busulfan, antithymocyte globulin, and fludarabine. Megadose transplants of CD34+ stem cells were in the range of 10.9× 106/kg and 20.6× 106/kg. Neither GvHD prophylaxis nor post-transplant G-CSF were given. We monitored patients' bone marrow cellularity and chimerism in the peripheral blood using real time PCR. Results : All patients showed stable engraftment. The most frequent side effect was severe mucositis, but all patients recovered successfully without early death. Nobody showed acute GvHD. Two refractory patients were relapsed early after transplantation. Other 2 patients have been in good clinical condition with follow-up duration of 1∼4 months. Conclusion : We could overcome the main limitations-a GvHD and a graft failure- of a full haplotype mismatch transplantation with a newly developed conditioning regimen that might be used firstly according to review of literature. Although our study sample numbers and duration of follow-up are not enough yet, at least in patients who were in complete remission and categorized as high-risk AML, we suggest that this treatment modality should be considered actively.(Korean J Med 65:81-89, 2003) 목적 : 고 위험군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새로 개발된 이식 전처치법을 이용한 가족간 주조직 적합항원 완전 일배 체 불일치 동종 이식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4예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이 주조직 적 - 87 -

      • 태양광 선박의 분산전원화

        김희제,이경준,Kim, Hee-Je,Lee, Kyung-Jun 선박안전기술공단 2011 선박안전 Vol.31 No.-

        경제성장과 산업 사회생활의 고도화에 따라서 증대하는 전력수요에 대해서, 에너지자원량과 지구환경의 제약이 거론되고 있는 최근의 에너지를 둘러싼 심각한 상황인식을 고려하여 전력 수급의 장기적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력수급양면에 걸친 대책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현재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으로 수렴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력공급은 대규모 전원의 개발을 중심으로 수요에 대응해 왔지만, 앞으로는 수요의 관리 제어를 고려한 부하 관리(Load Management) 또는 수요측관리(Demand-Side Management)를 적극적으로 추진해가고, 나아가 다양한 에너지원의 효율적 활용을 목표로 한 분산형전원의 개발과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의 폭넓은 정책이 마련 시행될 필요가 있다. 그 대안중의 하나로 태양광 하이브리드 선박이 널리 보급될 경우 하나의 분산전원으로서 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백혈병 세포를 이용한 종양-림프구 혼합면역반응의 임상적 의의

        김희제,조현일,김태규,한훈,김춘추,민우성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골수성 백혈병세포와 공여자 유래의 말초 혈액 단핵구를 실험관 내에서 배양하여 백혈병 특이 세포 독성 T 세포를 HLA 일치 형제 공여자로부터 유도하고, 유도된 T 세포의 특성을 규명하여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임상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만성기 5례, 가속기 3례, 급성기 2례를 포함하는 10례의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과 1차 완전 관해 상태에 있는 2례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의 말초혈액에서 수상돌기 세포를 유도하여 항원제시세포로 사용하였다. 백혈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T 세포의 효과적인 유도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만성기와 급성기, 가속기의 순서였다. 세포 독성은 세가지 표적 세포인 K562 세포주, 백혈병 세포와 환자의 PHA 자극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세포독성 T 세포에 의한 것인지 또는 자연 살해 세포 (NK 세포)에 의한 것인지 구별할 수 있었다. 세 가지 표적세포에 대한 세포살해는 결과를 종합하여 동종 조혈모 세포이식 후 백혈병의 제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세가지 표적세포들 중 한 가지에서라도 양성 반응을 보인 경우 이식편대 백혈병 효과로 인해 백혈병 재발률이 낮았다. 2례의 만성 골수성 백혈병 가속기 환자들에서 유도된 백혈병성 수상돌기 세포들은 세포의 형태학적 소견과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한 면역 표현형이 수상돌기 세포와 동일하였으나 이를 이용해 유도한 세포독성 T 세포는 유의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백혈병 세포에 대한 공여자 기원의 항 백혈병 세포독성 T 세포는 Interleukin-2로 자극하여 실험관내 배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질환의 특성이나 백혈병 세포의 생물학적 이질성에 따른 세포 살해능의 다양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a larg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malignant hematological disorders. An immune-mediated graft-versus-leukemia (GVL) effect is an important feature of this treatment modality. Although numerous clinical and experimental data have given evidence for both T and NK cells involved in this phenomenon, leukemic relapse and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mediated by T cells still remain the major problems of allogeneic BMT. In this study, we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anti-leukemic CTL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ellular immunity in leukemic patients. Methods:Leukemic cells were incubated concurrently with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isolated from HLA-matched sibling donors. Cytotoxic T lymphocytes (CTLs) have been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cells of 12 patients with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including 5 in chronic phase (CP), 3 in accelerated phase (AP), 2 in blastic crisis (BC) and 2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in first complete remission. The activity of CTLs and NK cells was measured by 51Cr release assay using autologous leukemic cells, K562 cell line and patient's PHA blasts as target cells. Results:The efficacy of generating CTLs against leukemic target cells were AML, CML-CP and CML-BC, CML-AP in order. Low leukemia relapse events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strong intensity of cytotoxcity for K562 cell lines, and in addition to this, if we combine the cytotoxicity effects for all thee target cells, the possibility of relapse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SCT) was significantly predictable. Any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cytotoxicity against three target cells with GVHD was not found. Sex-matching or mismatching between donor and recipient did not affected on the NK cell activity. Conclusion: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donor-derived antileukemic cytotoxic T-cells against patient's own leukemic cells are producible in vitro and the activity of CTLs and NK cells may be variable according to disease-specificity or to biological heterogeneity of leukemia. If the specific, stable and reproducible anti-leukemic CTLs could be generated in vitro, these CTL lines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relapsed or predictable relapse high-risk leukemia after allogeneic BMT and for post-mini-transplantation immunotherap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복합쇼핑몰 내 외식브랜드 선호 소비자의 구매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과 휴리스틱의사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김희제,이소미,윤지영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8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인 확장된계획행동이론(ETPB)과 비합리적 의사결정과정의 휴리스틱 의사결정이론(Heuristics)을 적용하여 외식산업에서 주요한 입지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복합쇼핑몰 내 외식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의도를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복합쇼핑몰 내 입점 외식브랜드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외식소비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n=439), 변수 별 영향관계 확인을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외식브랜드 입지선호는 구매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단독위치 외식브랜드 선호 소비자의 구매행동의도에는 ETPB의 태도, 외식관여도와휴리스틱의사결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ETPB 보다 휴리스틱 의사결정의 영향력이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쇼핑몰 입점 외식브랜드 선호 소비자의 경우, ETPB 모델만 적용되었을 때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외식관여도, 사전지식 모두 유의하게 구매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휴리스틱 의사결정이 포함된 모델에서는 지각된 행동통제 및 사전지식 요인의 영향력이 제외되었다. 또한 입지선호에 따른 소비자 그룹에 상관없이 ETPB 요인에 비해 휴리스틱 의사결정 요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Nd:YAG 레이저 제작 및 응용 기술

        김희제,문덕쇠,이홍식 대한전기학회 1993 전기의 세계 Vol.42 No.3

        본고에서는 Nd:YAG 레이저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 뒤 그 제작 및 응용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에 대하여 잘 모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발전원리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한 후, YAG 레이저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고 YAG레이저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전기연구소에서 수행한 YAG 레이저의 설계 및 제작기술, 그리고 연구결과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제4장에서는 그 응용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장은 본고에서 기술한 내용을 정리함과 동시에 금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한다.

      • KCI등재

        Deduction of optimal conditions for acrylic etching technique by using CO2 laser

        김희제,Keun-Ju Song,박성진,Hyun-Woong Seo,Ho-Sung Kim,Jin-Young Choi,Sung-Joon Park 대한전기학회 2007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2 No.1

        Laser cuting with the micro-control technique has great potential to be employed for acrylicparameters such as laser power, moving velocity, and thickness of acrylic are experimented to find out optimal conditions.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have known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accurate power by the TRIAC switching technique. The best condition of acrylic etching is performed 10 W and 72 mm/sec at the plastic thickness of 1.33 mm. The other case is performed 10 W and 48 mm/sec, and 12 W and 56 mm/sec at the acrylic thickness of 2.00mm, respectively. - Laser cuting with the micro-control technique has great potential to be employed for acrylicparameters such as laser power, moving velocity, and thickness of acrylic are experimented to find out optimal conditions.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have known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accurate power by the TRIAC switching technique. The best condition of acrylic etching is performed 10 W and 72 mm/sec at the plastic thickness of 1.33 mm. The other case is performed 10 W and 48 mm/sec, and 12 W and 56 mm/sec at the acrylic thickness of 2.00mm, respectively.

      • KCI등재

        A Study of the Photo-Electric Efficiency ofDye-Sensitized Solar Cells Under Lower Light Intensity

        김희제,김용철,홍지태,김미정,서현웅,박재욱,최진영 대한전기학회 2007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2 No.4

        To elucidate possible challenges for outdor practical us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than conventional Si solar modules to attain the same rated output because of lower photoelectron-chemical conversion efficiency. However, in backup systems by using batteries, the measured data shows that DSCs generated 15% more electricity than Si solar cells of the same rated output power in the same interval of cloudy daylight. Moreover, the battery charging time of DSCs is about 1 hour faster than the same rate of Si solar cells under outdoor cloudy daylight. This result also indicates that conversion efficiency obtained by the certified condition less than AM 1.5 condition does not always performance of sola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