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희경,문종호,최현종,김희경,민슬기,박종규,조영덕,박상흠,이문성 거트앤리버 소화기연관학회협의회 2011 Gut and Liver Vol.5 No.3
Cholangioscopy not only enables the direct visualization of the biliary tree, but also allows for forceps biopsy to diagnosis early cholangiocarcinoma. Recently, some reports have sugges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direct peroral cholangioscopy (POC) using an ultra-slim endoscope with a standard endoscopic unit by a single operator. Enhanced endoscopy, such as narrow band imaging (NBI), can be helpful for detecting early neoplasi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s easily applicable during direct POC. A 63-year-old woman with acute cholangitis had persistent bile duct dilation on the left hepatic duct after common bile duct stone removal and clinical improvement. We performed direct POC with NBI using an ultra-slim upper endoscope to examine the strictured segment. NBI examination showed an irregular surface and polypoid structure with tumor vessels. Target biopsy under direct endoscopic visualization was performed, and adenocarcinoma was documented. The patient underwent an extended left hepatectomy, and the resected specimen showed early bile duct cancer confined to the ductal mucosa.
김희경 중국인문학회 2014 中國人文科學 Vol.0 No.57
四言诗是中国最古老的一种文学样式。通过对汉诗四言诗中≪先秦汉魏晋南北朝诗≫的调查,我们发现其数量方面在汉代诗歌中占有明显的优势。以≪古诗源≫汉诗中的四言诗为调查对象,根据其内容分类如下:宗庙祭祀,述志,讽以及人品, 赞颂才德等4种,如此具有数量优势及丰富内容的四言诗,从发达的最高峰中逐渐走向衰落。其理由主要归结为四字具有四个音节,四言诗中以“2-2”式为节奏单位的自身句式。首先,在以儒教作为国教的汉代,其四言诗不仅在继承≪诗经≫中的四言诗的基础上,强化了“雅言”的观念,而且已经不能满足人们通过诗来表达内心丰富感情的要求。其次,“2-2”式的语言构造,在用“之”承接宾语或者不能使用多样化的谓语动词进行构词等方面,与五言七言诗相比描写上受到了极大地限制。然而,汉代的四言诗通过对≪诗经≫的继承,可以说为五言七言诗的发展打下了坚实的基础。
明·淸시기 4종 古詩總·選集에 나타난 晉代 詩歌의 選錄 현황과 분석- 『古詩紀』·『采菽堂古詩選』·『古詩源』·『古詩賞析』을 중심으로 -
김희경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9
晉代 약 155년간의 기간은 八王之亂, 永嘉之亂 등의 난을 겪으며 西晉(265∼317년)이 멸망하고 결국 남으로 옮겨 東晉(317∼420년)을 세우는 등의 정치적으로 혼란의 연속이었다. 이에 시인들은 잠시 번영을 이루었던 太康년간(280∼289년)에는 修辭주의와 형식주의적인 詩歌를 앞세우다 이후 현실을 외면하고 신선세계를 그리는 玄言詩·遊仙詩를 노래하였다. 이러한 晉代 詩歌에 대해 후대 특히 淸代 古詩選集 편찬자들은 어떻게 평가했을지에 대한 궁금으로 이 논고를 시작하였다. 그 평가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明代 古詩總集인 『古詩紀』와 淸代 古詩選集인 『采菽堂古詩選』·『古詩源』·『古詩賞析』 등 4종 古詩總·選集선정, 晉代 詩歌 공통 목록을 정리하였고 그 詩歌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공통 목록에 나타난 주요 작가와 無名氏 작품들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요 작가 안에서는 다시 시대순으로 太康년간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작가들인 張華·張載·張協·陸機·陸雲·潘岳·潘尼·左思의 작품들과 劉琨과 郭璞의 작품들, 마지막으로 공통 목록에서 가장 많은 작품 수를 차지하는 陶淵明의 작품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후대, 淸代 古詩選集 편찬자들은 현실을 외면하던 작품들이 아닌 시대를 오롯이 담아내는 시인들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그들의 選集에 選錄하였음을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이 淸代 古詩選集 편찬자들이 晉代 詩歌에서 찾고자 하는 의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낙동강 상류지역 수문기상 감시 지점에 관한 연구
김희경,장기호,이영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4
The water related issu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on-going four-rivers project by Korea government are much more concerned recent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precipitation monitoring system on these river basins is growing. In order to evaluate the before and after weather related impact by the stank construction on Nak-Dong river which is the longest one among the four major rivers, the grid type hydrometeorology monitoring system should be built. Fractal dimension approach was studied for the theoretical appropriateness of establishing hydrometeorology monitoring networks in Nak-Dong upriver. The higher fractal dimension of hydrometeorology monitoring networks means the better balanced and stabilized monitoring network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pected sites for the hydrometeorology monitoring system, several fractal dimensions were calculated by correlation integral method. Combined with the existing weather monitering sites, the best locations of four more new sites were found by the calculated fractal dimension.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물 관련 이슈의 증가 및 4대 강 사업 추진에 따른 하천 유역별, 수계별 강수현황 감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4대 강 중 가장 큰 규모인 낙동강 유역에 대한 보 공사 전후의 기상영향평가를 위해 낙동강 유역에 대한 격자형 수문기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프랙탈 차원을 통해 낙동강 상류지역에 수문기상 감시망 구성에 대한 이론적 적정성을 분석할 수 있다. 수문기상 감시망에 대한 프랙탈 차원이 높다는 것은 수문기상 감시망 구성의 균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낙동강 상류지역에 설치된 기존의 감시소들과 새로이 설치 될 감시소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관적분방법에 의한 프랙탈 차원을 계산한다. 격자상의 후보지역들 중 기존 감시소와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계산된 프랙탈 차원이 가장 높은 4개 지점의 위치 조합을 찾아낸다. 이 4개 지점은 기존 감시소와 더불어 수문기상감시망을 형성하며 가장 균형도가 높은 감시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김희경 여성건강간호학회 1999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infertility stress of infertile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4 infertile women living in S city, Kyung Book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4^(th) July and 14^(th) August, 1998 using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1985) and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et. al.(1995).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social support of the infertile women was 3.80. The mean of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was 2.35. 2.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infertility stress(r=-.56, p=.001). 3.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support need of social support was a predictor of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explaining 30.9% of total variance. 4.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was marriage satisfaction(t=-3.28, p=.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is related to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Therefore, the nurse is recommended to apply supportive intervention in caring for infertile women.
김희경,김수정,Kim, He-Kyung,Kim, Soo-Jung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is study examines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English word stres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xperiment method on experiment results. Stimuli uttered by native and Korean ESL beginners in authentic conversations are extracted to be shuffled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utterances and information structur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word stress are realized depending on its position in utterances. The native speakers correlate the stressed syllables in shorter duration with higher pitch and stronger intensity at sentence-final positions unlike the previous experiments and the traditional definition that stressed syllables are uttered in longer duration with higher pitch and stronger intensity; at sentence-medial positions, the native speakers correlate the stressed syllables in longer duration with higher pitch and no regularity in intensity or in shorter duration with lower pitch and intensity depending on their conversational intention. Korean ESL beginners correlate the stressed syllables in shorter duration regardless of positions in sentences with no regularity in pitch and intensity. This study, thus, shows that a different experiment method may result in different results on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English word stress.
김희경,최성임,Kim, Hui-Gyeong,Choe, Seong-I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위성의 방열판 설계 과정은 수치해석을 위해 위성을 모델링한 열모델에서 분할 격자인 노드를 기준으로 방열판 위치와 형상, 크기를 조절하면서 한계 온도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설계 엔지니어의 판단에 의존하여 열해석을 반복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식이다. 대부분 방열판 면적을 줄이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과도한 방열판 설계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방열판 설계에서 최소한의 방열판 면적을 사용하여 한계 온도를 만족하도록 설계를 최적화 한다면 무엇보다 전체 위성 열설계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성의 방열판 설계는 방열판 영역 내에서 동일한 면적을 가지더라도 위치나 형상에 따라 그 효과가 상당히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방열판 설계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먼저 위성은 열해석에 알맞는 격자 크기로 분할된 노드로 이루어진 열모델로 모델링되어 개발된다. 방열판이 설계되는 방열판 영역 역시 격자 모양의 노드로 분할되기 때문에 열해석을 이용하여 방열판 설계를 한다면 노드 크기를 기준으로 노드 분할 형태에 따라 설계를 한다. 그래서 위성 열모델에서 방열판 영역의 각 노드가 방열판 노드 여부에 따라 모자이크와 같은 분포의 방열판 설계를 하게 되므로 방열판 노드 분포의 최적화가 방열판 최적 설계를 의미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방열판 설계 최적화를 위해 일반적인 위성 프로그램의 열제어 개발에서 사용하는 위성 열모델과 열해석 프로그램을 최적화 기법과 동일한 언어로 다시 개발해야 하는 부담 없이 그대로 최적화 기법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소형의 검증용 위성 열모델을 개발하여 여러 가지 해석 조건에 따른 방열판 최적 설계 결과를 비교하고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접근 방식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