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유주지배 및 계열광고회사 보유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진 ( Kim Hyo-ji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70

        [연구목적] 광고비 회계처리는 계열광고회사를 통한 비정상적 활용 등 상대적으로 경영자의 재량적 의지에 의해 의사결정이 가능한 항목이므로, 과연 광고비지출의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소유지배구조가 기업의 수익성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유주지배와 계열광고회사 보유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광고비지출 및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외환위기 이후인 2000년부터 201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소유주지배는 경영자지배에 비해 광고비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열광고회사를 보유한 그룹의 소속기업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광고비지출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열광고회사에 대한 지배주주의 지분율은 광고비지출에 영향을 미치지만(김효진과 이기훈, 2015) 계열광고회사 보유 자체가 광고비지출을 늘리게 하는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선 광고비지출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고비지출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성이 높은 기업에서 재량적 지출을 높이는 현상에 의한 착시효과일 수도 있다. 따라서 기업소유구조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추가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유주지배 변수와 광고비지출의 상호변수를 활용한 분석결과, 소유주지배 기업의 경우 광고비지출과 수익성간의 양(+)의 관련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유주지배 기업의 경우 광고비지출을 활용한 이익극대화보다는 상대적 특권적소비 동기를 엿볼 수 있다. 셋째, 계열광고회사 보유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와 광고비지출간 상호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계열광고회사를 보유한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광고비지출과 수익성간 양(+)의 관련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열광고회사를 통해 광고비지출 회계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효진과 이기훈(2015)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기업소유구조 및 계열광고회사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구조적 역학관계를 도출한다면, 소유지배구조가 광고비지출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요소임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바일을 이용한 광고의 형태 다양화와 함께 광고비지출의 수익성 형태가 변화하는 가운데 계열광고회사를 활용한 회계처리가 이슈가 되고 있는 시기에 그 영향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책결정자와 잠재적 투자자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owner-Controlled and inhouse agency affects the association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profitability (ROA). The majority of prior advertisement expenditure related research hav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on the amount of advertisement expenses. There were not sufficient study about the impacts of corporate ownership/governance structure on the association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profitability.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s whether firm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and/or a manager - controlled system and firms with an inhouse agency spend more money to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firm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exert the influence on the return of entertainment expenses. [Methodology] The final samp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consist of 8,436 firm-year data, selected from the KRX listed firms of the fiscal year during 2000-2019. In this study, Advertisement expenditure is measured as the sum of advertisement expenses and employee benefits. OverAdvertisement expenditure is measured as the exceed amount against the industry average of an advertisement expense across industries.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nie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have spent more amount of money to advertisement expenditure than the companies with a manager - controlled system. By the way, the firms with the inhouse agency have spent less amount of money to advertisement expenses than the firms without an inhouse agency.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ROA are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ses and ROA would be relieved with an owner - controlled system compare to a manager-controlled syst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fitability of advertisement expenditures w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rporate ownership/governance structure.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ROA would be weakened with an inhouse agency compare to without an inhouse agenc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fitability of advertisement expenses is relatively lower in the firms with an inhouse agency and support the arguement that an existence of inhouse agency a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tructure affect advertising expenses as a tool of accounting choice with related party transac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dvertisement expenses could be utilized as the mean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pportunistic action in the perspective of related party internal transactions (Kim and Lee, 2015). [Implications] I can argu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or managers’) perquisites consumptions using advertisement expenses could be strengthened by the owner-controlled system and an existence of related advertising company (inhouse agency) in Korea.

      • KCI등재

        혈뇨를 일으키는 신장질환

        김효진,정종철 대한의사협회 2023 대한의사협회지 Vol.66 No.6

        Background: Hematuria is a common laboratory finding in clinical practice, occurring mostly in the kidneys. However, it can occur in the rest of the urinary system, including the ureters, bladder, and urethra, as well as in the prostate in men. This paper will discuss cases of hematuria observed in various diseases, especially kidney disease. Current Concepts: Hematuria is diagnosed when three or more red blood cells are found in a high-power field microscopic urinalysis. Identifying urine sediment is critical in differentiating between glomerular and nonglomerular hematuria, classified according to location. If hematuria is accompanied by proteinuria, dysmorphic red blood cells, or cellular casts in urine microscopy, as well as hypertension or renal function decline, glomerular disease may be present; thus, a nephrologist should be consulted. Hematuria is also observed in renal vascular diseases, including renal infarction, renal artery dissection, and nutcracker syndrome. In polycystic kidney disease, hematuria may present in combination with renal stones or malignancy. Diabetic nephropathy can manifest hematuria, which is a negative prognosticator of end-stage kidney disease. Discussion and Conclusion: Hematuria is a laboratory finding for various diseases, and appropriate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its clinical features.

      • KCI등재

        로마 제국과 영 제국의 제국주의 비교 -영토 팽창과 식민지 통치를 중심으로-

        김효진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기원전 3세기부터 지중해를 중심으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지배했던 로마와 19세기에 세계 곳곳에 식민지를 개척한 영국은 고대와 근대의 대표적인 두 제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토팽창의 요인과 식민지 정책을 통해서 두 나라의 제국주의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로마의 영토 팽창의 요인에 관해서는 크게 세 가지 주장이 있다. 첫째, 로마의 제국주의를 ‘방어론’ 또는 ‘방어적 제국주의’로 보는 시각으로, 이는 인근 지역이 먼저 로마를 침략했기 때문에 이들을 막기 위해 시작된 전쟁이 영토팽창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둘째, 몇몇 학자들은 로마가 오로지 방어를 위해 영토를 팽창했다고 볼 수 없으며, 영토를 팽창했던 이유는 경제적 이익 때문이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은 경제적 이익과 함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관심을 두었던 학자들이 있다. 세 가지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마의 팽창 요인이 단 하나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당시 전리품이나 배상금 문제, 이후 속주에서의 징세와 곡물 징발에 관한 것을 살펴보면, 경제적 이유는 로마의 영토 팽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로마는 포에니 전쟁 전후와 제정 시기를 전후하여 속주 지배 체제가 변했다. 포에니 전쟁 이전에 로마는 속주를 건설하지 않았다. 점령한 후 그들과 동맹을 맺고 자치를 허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로마가 본격적으로 속주를 건설하고 그 지역을 지배한 것은 포에니 전쟁 이후부터였다. 로마는 이때부터 속주에 총독을 파견했고, 이들의 권한은 매우 컸다. 이후 제정기로 접어들면서 속주 지배는 다시 한 번 변화했다. 속주 총독들의 잦은 교체와 비전문성으로 속주에는 총독들의 착취가 심했고, 이는 속주 지배에 큰 골칫거리였다. 황제는 이를 개선하고 속주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일련의 정책을 시행했다. 인구조사와 조세를 개혁하고, 규모가 큰 속주를 분할함으로써 행정상의 효율성을 높였다. 이로써 속주는 점차 로마화되는 경향이 강해졌다. 영국의 영토 팽창 요인으로 거론되던 것은 이주, 종교적, 군사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영국의 영토 팽창 요인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경제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홉슨은 영국이 해외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안정적인 시장의 확보와 금융업자들의 이익을 위해서였다고 주장했다. 케인과 홉킨스는 당시 영국의 국내 자본이 증대되면서 이를 투자할 곳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신사적 자본가들’은 국내에서 소비되지 않는 자본을 해외에 투자함으로써 이익을 얻으려 했는데, 이들의 행동이 영국의 해외 팽창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갤러거와 로빈슨은 ‘간접제국’ 이론을 통해 영국과 식민지 사이의 경제적 협력의 중요성이 영국 팽창 요인임을 지적했다. 영국의 식민지 지배는 한 가지 원칙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매번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국은 자유무역의 원칙에 따라 식민지 지역의 정치적 통제에는 관심이 없었다. 단지 경제적 부분을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는 것에 집중했다. 더욱이 영국은 ‘최소한의 경비주의’라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으며, 당시 적은 인원으로 넓은 지역을 다스려야 했던 상황이었다. 여기에 더해 식민지가 영국과 너무나도 먼 거리에 존재했기 때문에 통신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원활한 통치가 ... Rome started to rule around the Mediterranean regions from the third century BC and developed into an empire. Britain established their colonies all over the world in the 19th century. In this paper,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two empires focusing on the aspect of territorial expansion in relation to their colonial policy. Many scholars named Roman imperialism 'the defensive imperialism'. However, this view was challenged by some scholars, who argued that the defensive imperialism cannot be the only explanation, because Romans could gain a great deal of economic profits after war by demanding reparation, levying taxes, or taking booties. These scholars contended that the main motivation of their territorial expansion was the economy. Some scholars asserted that Romans expanded territories because of multiple factors relating to economic gains. In other hand, economic benefits were very important factor in Rome. Rome underwent a change in their colonial governing after the Punic war and through the transition to monarchic system. Before the Punic war, Rome allowed self-governing of the colony, but after the war, Rome put more restraint on their colonial policy, dispatching a governor to their colony. Turning into the monarchical system, additional change was made. During the monarchic system, provinces became more romanized, and the practice of worshipping emperors accelerated direct governing of provinces.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motivation of British empire's territorial expansion was economic profit. Hobson argued that, when domestic industry produced more capital than it could be profitably reinvested in the domestic economy, financiers sought overseas outlets for their money. As Cain and Hopkins argued, for Britain, it was the time to seek places to invest their increased domestic capital. In other words, 'gentlemanly capitalists' emerged who wanted to gain profits by investing to overseas the capitals that were not consumable in the domestic industry. Gallagher and Robinson insisted that expansion factor of British empire wa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British empire and colonies by 'informal empire' This indicates that economic motiv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ritain's overseas expansion. Britain's colonial ruling does not show any aspect of being planned or intensional. Nevertheless, there was one principle that was maintained by British empire, which was the idea of 'minimum expense' and free trade. Additionally, British colonies were geographically so far away from Britain, hindering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colonies. Britain's preference for indirect ruling over their colonies was from this principle, even though direct ruling was exercised for the case of India. To sum up, the two empires started their territorial expansion for the economic reason. Rome's interest was in the profits from the colony such as reparation, booties, and the levy of taxes. On the other hand, for Britain, it was their domestic economy that made them turn their attention to the overseas. As the domestic economy grew active, they needed a place to export their products and to invest their surplus they gained. In this view, we can say that it was economic reason that drove the two empires. With a closer look, however, we also saw some clear differences. The differences in their colonial government seems to lie in racial issue. Roman empire ruled mainly the Mediterranean regions centering on the Italian peninsula. The empire granted Roman citizenship to the members of their provinces, accepting them as Romans, and tried to rule the provinces through them; in other words, through 'Romanization, and solidifying their tie with the emperor. On the other hand, Britain had their colonies in Africa, America, and India. It seems plausible that this geographical diversity may have brought racial discrimination.

      • KCI등재

        Functional analysis of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1 genes from Camelina sativa and effects of CsDGAT1B overexpression on seed mass and storage oil content in C. sativa

        김효진,Ji Hyun Park,Da Jung Kim,김용휘,서미정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Plant biotechnology reports Vol.10 No.3

        Camelina (Camelina sativa), which belongs to the Brassicaeae family, is an emerging oilseed crop with the potential to expand biodiesel production to arid land. During storage oil synthesis, diacylglycerol acyltrasferase1 (DGAT1) catalyzes the conversion of diacylglycerol (DAG) and free fatty acids to triacylglycerol (TAG). In this study, three DGAT1 genes (CsDGAT1A, CsDGAT1B, and CsDGAT1C) were isolated from developing C. sativa see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three CsDGAT1 genes shared more than 84 % identity with those of DGAT1 genes from Arabidopsis thaliana and Brassica napus. CsDGAT1A, B, and C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various C. sativa organs, including developing seeds. Fluorescent protein-fused CsDGAT1A, B, and C were localiz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of tobacco epidermal cells. When the CsDGAT1A, B, and C genes under the control of the BnNapin promoter were expressed in an Arabidopsis AS11 mutant, which is defective in DGAT1, the amounts and composition of total fatty acids in dry seeds were restored to those of the wild type, indicating the three CsDGAT1 genes to be functionally active. In transgenic C. sativa plants overexpressing CsDGAT1B, the levels of total seed oils were increased by *24 % compared with non-transgenic lines. Transgenic C. sativa embryos with enhanced seed oil contents harbored larger embryonic cells and a greater number of cells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ransgenic Camelina plants with increased oil contents can be used as renewable re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nd non-petroleum-based biomaterials.

      • KCI등재

        원주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효진,김주연,장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다양한 활동 공간들이 제한되면서 시민들은 심리적으로 답답함을 느끼고, 개방되어 있는 거주지 인근의 근린공원을 찾고 있다. 이러한 도시공원은 공공재로서, 남녀노소 모두와 사회적 약자들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근린공원에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를 하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근린공원의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평가요소, 선행연구별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지표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에서 평가할 공원 내 적용범위 내용을 참조하여 5개의 항목으로 나누고, ‘강원도 유니버설디자인(UD) 기초연구’의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6개의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을 도출하여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분석표를 구성하였다. 셋째, 원주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조사대상지로 선정 ・ 분석한 후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현장조사 내용과 분석표를 기준으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을 평가, 분석한 후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원주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조성 연도에 따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차이가 보였고, 오래된 공원일수록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낮아지며, 지속성 > 쾌적성 > 편리성, 정확성 > 안전성 > 기능성 순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원의 조성 시기별로 오래된 공원의 경우 지속성이 가장 낮았고, 이는 가이드라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안전성과 쾌적성에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새로운 도시공원 조성에 적용될 체크리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공원관리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원주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 도시근린공원의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개선과 지속적인 관리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