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서(曆書)속의 신앙 원리의 활용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무속학회 2011 한국무속학 Vol.0 No.22

        역서(曆書)는 날짜를 알려주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전근대사회의 역서는 관측을 통한 과학의 산물이지만 체험을 통한 신앙적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미래에 대한 불길한 조짐을 질서정연하고, 통제할 수 있는 대상으로 치환하기 위한 방법이 담겨져 있다. 역서의 근간이 되는 일진(日辰)에 따른 의(宜)와 불의(不宜)의 구분, 역서의 두 번째 장에 수록된 그 해를 주관하는 24방위의 신령을 밝힌 연신방위도(年神方位圖), 특정한 의례를 행할 때에 일진과 방위에 대한 정보가 담긴 주당도(周堂圖)가 그것이다. 역서를 활용하던 시절에는 이런 내용은 주된 생활 원리이자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네 삶에도 다양하게 기능한다. 이중 주당도는 의례적, 종교적 원리로 지금껏 활용되고 있다. 역서에 수록된 이러한 내용이 민간에서는 어떻게 활용되었을까? 역서에는 역법의 원리가 담겨 있지만 이를 실제로 이용하는 민속 현장에서는 제 나름대로 응용해서 활용하였다. 이 둘 사이에는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는 역서라는 원리를 활용하는 민간의 지식 생산의 과정과 그 내용을 보여준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위기의 순간에 행하는 의례는 일상이 아니라 특별한 순간이다. 이러한 순간은 특별함 그 자체로도 위험을 유발한다. 벽사진경, 재액초복이라 하듯이 액을 물리치고 복을 구해야 한다는 관념을 지닌 민중들에게 이러한 위험은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 이러한 강렬한 욕구 탓에 주당은 역서의 주당도와 달리 민간에서는 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살과 동토 등의 탈이 원인이 된 상황을 주당으로 인지하기도 하고, 산이나 물과 같이 성(聖) 그 자체인 것을 범했을 때 나는 신벌(神罰)과 탈을 모두 주당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삶에 가장 위협적이고, 위험한 순간을 질서와 조화로운 세계로 만들려는 민간의 문화논리이다. 이것은 원리를 활용한 응용의 미학으로 민속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민속은 민중들 스스로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생활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앙적 울타리와 원리를 만들어 낸 것으로,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Almanacs are more than a collection of numbers to inform dates. In a pre-modern society, they were the scientific products through observations but contained many elements of faith through experiences. They also contained ways to replace ominous signs of future with orderly and controllable objects along with Yeonshinbangwuido, which includes the content of naturalness and unnaturalness that are the foundation of almanacs and the divine spirits of 24 directions to govern the year, and Judangdo, which offers information about luck on a day and direction set for a special ceremony. They are important means to take a peek at what they needed in their lives in the past. How were those contents in almanacs utilized by people? While almanacs contained the principles of calendar, people applied and utilized them in their own ways on the folk scene.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y show the process and content of people’s knowledge creation through the principles in almanacs. Ceremonies held in the moment of life crisis invisible to the eyes present a special moment rather than daily life, and such a special moment can cause danger with its specialness itself. To people who believed that misfortune should be dispelled and that fortune should be pursued as in Byeoksajingyeong and Jaeaekchobok, such a danger must be eliminated. Such a powerful desire made Judang more diverse among people than the Judangdo in almanacs. People would perceive a situation caused by trouble such as Sal and Dongto through Judang and even the divine punishment and trouble in case of sacredness itself such as mountain and water being violated all through Judang. It was their cultural logic to turn the most threatening and dangerous moments in life into a world of order and harmony. It was the aesthetics of application based on principle and shows a process of folk knowledge being created. Folk customs are people’s faith framework and principle made with the life principles surrounding them and are regard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s.

      • 미키쥐의 죽음'에서 표현된 실시간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구현에 관한 연구

        김효경(Hyokyung Kim),형기(Hyung Gi Kim)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전통적 공연예술 분야 에서도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여 표현영역을 확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공연은 영상을 단지 공연의 배경 정도로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미키쥐의 죽음' 에서는 이러한 기존 공연의 표현 영역을 탈피하여, 미디어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영상, 퍼포머, 소리가 유기적으로 융합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를 구현하였다. 이 결과, 미디어와 퍼포머 사이의 상호작용성 증가로 무대라는 연출된 공간에 더욱 큰 리얼리티를 부여하여 현장감이 강화되고, 표현 영역이 확장 되는 새로운 공연양식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re are many attempts trying to extend ways of expressing for using digital media, even in traditional theater. In the performances that were created before '미키쥐의 죽음' directors used videos only for the background, however, in 'A Death of Mickey Rat', trying to avoid the same patterns as the ones from the past creators realized an interactive performance with the balancing combination of videos, performer and sounds. As a result, the theater suggested a possibility of a new progress in creating theater by making a created space called the stage gain more reality and adding the power of interactivity between the media and the performer.

      • KCI등재
      • KCI등재

        대추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

        김효경(Hyo Kyung Kim),주광지(Kwang Jee J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대추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초(大棗: 대조), 상초(中棗: 중조), 약초(小棗: 소조) 세종류의 대추를 메탄올에 추출한 용액과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총 페놀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산패유도기간을 측정하였다. 대추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 상초, 특초가 각각 326.46 ㎎%, 223.13 ㎎%, 158.06 ㎎%이었고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 상초, 특초의 함량은 각각 113.23 ㎎%, 81.46 ㎎%, 72.78 ㎎%이었다. 전자공여능은 BHT 0.02% 첨가구보다 더 우수한 것은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특초의 1.5, 2.0, 2.5, 3.0% 첨가구와 상초와 약초의 각 1.0, 1.5, 2.0, 2.5, 3.0% 첨가구 등 총 22개의 시료이었다. 그리고 δ-tocopherol 0.02% 첨가구와 같거나 더 우수한 시료는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등 총 8개의 시료이었다. 산패유도기간은 대추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패유도기간도 증가하였으며 BHT 0.02% 첨가구보다 산패유도기간이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시료는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 2.0%를 첨가한 것과 메탄올 추출물인 특초 2.0%와 약초를 2.0% 첨가한 것이었다. 대추의 항산화 효능은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 추출한 약초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약초추출물의 동결건조 시료는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jujubes (Zizyphus jujuba)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mpounds,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induction period on lard. The extracts of large, medium and small jujubes of 80% methanol extracts (methanol extracts) and soaking in the water before 80% methanol extracts (water-methanol extracts) were lyophilize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small, medium and large jujube of methanol extracts were 326.46 ㎎%, 223.13 ㎎%, 158.06 ㎎% and that of water-methanol extracts were 113.23 ㎎%, 81.45 ㎎%, 72.78 ㎎%,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for the water-methanol extracts added samples of large (1.5~3.0%), medium and small jujube (1.0~3.0%) were superior to the 0.02% BHT added sample. On the induction period, all samples with jujube extracts were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Index (AI: Induction period of lard with jujube extracts divided by induction period of lard)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he water-methanol extract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methanol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capacity for the lar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wo lyophilized extracts of jujubes showed excellent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long induction period on lard.

      • KCI등재

        도시공원 내 오픈스페이스 이용자 행태 분석

        김효경(Kim Hyo-Kyeong),정성원(Jung Sung-Wo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1

        This study analyze of the behavior pattern of user for open space in the urban park through Behavior Mapping and ArcView GIS. It draws on a combination of behaviour mapping and GIS supported techniques of spatial annotation and visualization, to reveal common patterns of behaviour that appear to be correlated with particular layouts and details. As a result, the urban park behavior pattern of user types are classified by a Resting Behavior and a Moving Behavior mainly. The user behavior likes the place that became the shade generally. And the user distributed over the edge of the space. The Resting Behavior was analyzed into high frequency in a group with many few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Behavior was analyzed into low frequency in a group with a few lot of participants.

      • KCI등재

        대학생의 노인연령차별 영향요인: 서술적 단면조사연구

        김효경(Hyo Kyung Kim),남경아(Kyoung A Nam) 한국노인간호학회 2024 노인간호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ageism among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while controlling for social desirability bia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olved 312 students from a nationwide panel and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G Province, administered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Welch’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s. Results: Controlling for social desirability, the most potent predictors of ageism were the images about older adults (β=-.29, p<.001), knowledge about aging (β=-.24, p<.001),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β=-.20, p<.001), explaining 39% of the variance. Anxiety about aging did not emerge 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final model. Conclusion: Th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importance of promoting accurate knowledge about aging, fostering positive images of older adults, and improving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to combat ageism. These results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ageism.

      • KCI등재

        西海의 신령이 된 田橫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중국의 전국시대의 난세를 험난하게 살아야 했던 齊나라의 장수이자 제왕이었던 전횡이 한반도의 서해안 최극단 섬들인 於靑島, 外煙島, 鹿島 등의 마을 제당의 신령으로 모셔져 있다. 전횡은 不事二君의 정조를 지키며 죽음을 택한 인물이기에 麗末蘇初로부터 줄곧 관심의 대상이었다.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節義와 忠情의 상징의 표상이었다. 兩亂과 명청 교체기를 겪으면서 명나라에 대한 再造之恩의 분위기 속에서 명나라와 중국 영웅에 대한 숭배가 일어났다. 전횡에 대한 관심도 그와 더불어 다시 한번 부각된다. 儒林이 그를 위해 사우를 건립하고자 한 것과 같이 민간에서는 그를 마을의 신령으로 좌정케 했다. 한반도보다는 산동반도에 가까운 이들 섬은 조선중기 이후에 嗚呼島 혹은 田橫島라 불렀다. 오호도가 중국의 용어라면, 전횡도는 조선의 용어이다. 조선전기에는 空島정책으로 인해 섬에 사람이 거주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나 서해의 최극단의 방어를 위해 이들 섬에 烽燧를 건립했고, 인근지역에서 봉군을 모아 들여보냈다. 조선중기 이후 避役이나 罪를 피하기 위해 섬들로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섬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들 섬도 예외는 아니었을 것이다. 이들 섬은 모두 농지가 부족하여 농업이 발달할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섬 생활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난이었다. 이를 타개한 인물로 전횡이 부각된다. 稅穀船을 부채로 끌어들여 그 곡식을 빼앗아 섬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善政을 베풀었고, 그의 부하는 장군을 하루라도 더 연명시키기 위해 500명이 한꺼번에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전설에는 극심한 식량난을 겪어야 했던 섬사람의 삶의 질곡을 잘 드러난다. 이는 전횡의 역사적 평가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민간의 종교적 열망을 담고 있다. 선정을 베푼 전횡을 마을의 신령으로 숭배하면서 마을의 제사 구조는 산신제-전횡제-하당제로 구조화된다. 농업의 신령인 산신과 더불어 새로운 종교적 목적을 위해 전횡이 모셔졌기에 상당제가 산신제-전횡장군제로 분화된 것이다. 새로운 종교적 열망을 위한 전횡은 지속적으로 발발하는 어업과 관련해서 어업의 신으로 숭배된다. 선주와 고래잡이가 중심이 되어 전횡에게 치제했다. 전횡은 새롭게 부각되는 당제의 어업신으로 좌정한 것이다. Tian Heng, the general and emperor of Qi(齊) State who lived through the turmoil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China, is worshiped as a divine spirit at a village shrine in the westernmost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Eocheong(於靑島), Oiyeon(外烟島), and Nok Island(廘島). He chose death over the order to serve two kings and thus attracted ongoing attention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beginning of Joseon, ultimately becoming the symbol of integrity and patriotism emphasized in Sung Confucianism. Going through two invasions from Manchuria and Japan and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ing to Qing Dynasty, Joseon was overwhelmed by an atmosphere of returning its boon to Ming Dynasty and witnessed the rising worship of Ming Dynasty and Chinese heroes. It was in the period that attention to Tian Heng was highlighted once again. While Confucian scholars tried to build a shrine for him, common people established him as the divine spirit of their villages. The islands closer to the Shandong Peninsula than the Korean Peninsula were called Oho or Tian Heng Islands after middle Joseon. While Oho Islands were in a Chinese term, Tian Heng Islands were in a Korean term.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vacant island policy prohibited people from residing in the islands. Once signal fires were built to protect the westernmost parts of the Yellow Sea, however, Bongguns were gathered around from the neighboring areas and moved to the islands. After middle Joseon, people started to move in islands to avoid forced labor or punishment, and the islands must have been no exception. The islands lacked in farming land and could not develop agriculture. The biggest problem with living in the islands was the shortage of food. It was Tian Heng that emerged as a figure to solve the problem since he pulled ships carrying grain for tax to his territory and distributed the grain to the residents of his islands. Even 500 subjects of his faced death in order to prolong his life one day more. Those tales well reflect the difficulties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had to endure through a severe food crisis. They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historical assessment of Tian Heng and contain the religious aspiration of common people. As the villagers worshiped Tian Heng as the divine spirit of their villages for his good administration, their religious service became structured in a system of Sanshin-Tian Heng-Hadang Service. Since Tian Heng was worshiped for a new religious purpose along with Sanshin, the divine spirit of agriculture, the Sangdang(上堂) Service was divided into Sanshin and Tian Heng Service. Meeting a new religious aspiration, Tian Heng was also worshiped as a divine spirit for fishing in relation to the continuously growing fishing industry. The ship owners and whale hunters were the central figures in the service for Tian Heng. Thus Tian Heng established himself as the god of fishery in the newly emerging Dangje(堂祭).

      • KCI등재

        간찰의 산문 문체적 특징

        김효경(Kim Hyo-kyoung)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간찰은 문자를 빌어서 서로 소식을 통하는 일종의 응용 문체이다. 중국 산문문체를 연구한 전문서를 보면 간찰은 일찍부터 ‘書’라는 독립된 문체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간찰이 한문의 문체 분류에서 ‘書’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지만, 처음부터 개인적인 목적으로 보낸 것은 아니었다. 중국의 경우를 보면 초창기에는 간찰이 외교나 정치적인 사무를 목적으로 한 공용문서나 외교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兩漢 이후로 사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간찰이 초기에는 공용문서의 성격을 띠다가 차츰 사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BR>  간찰은 전해지는 방식에 따라 낱장, 첩, 일기, 문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일기나 문집에 수록된 간찰은 전사하거나 제작하는 과정에서 소위 상투적인 문구(주로 두사와 결사 부분)가 삭제되기도 하고 본문(사연 부분)도 편집되어서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일기나 문집에 수록된 간찰을 대상으로 내용 구성의 실상을 살펴보는 데는 한계가 있다.<BR>  간찰의 내용은 두사, 본문, 결사로 구성되어 있다. 두사에는 기두인사ㆍ받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의 안부가 들어가고, 본문에는 사연과 기원인사를 적고, 결사에는 종결인사ㆍ월일ㆍ성명을 쓴다. 일반 산문과 달리 간찰은 두사와 결사의 투식적 표현이 강하다는 것이 중요한 문체적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투식적 표현은 의미 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받는 사람의 관품의 고하, 친소존비에 따라 표현방식과 언어품격을 상황에 비추어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예우의 뜻과 자기 겸양의 마음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간찰이 실용문에 기초를 하고 있는 만큼 완전한 산문으로서의 일정한 한계도 지닌다. 간찰에서만 사용하는 각종 어휘, 호칭, 官稱, 안부를 묻는 용어 등은 일반 산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요소이다.   Ganchal(簡札) is a practical literary style to convey news through letters. According to a book that deals with Chinese prose styles, Ganchal was classified early as an individual literary style ‘Seo(書)’. Though Ganchal had been used by the name of Seo in Chinese writing style classification, it was not used for private purpose from the beginning. In China, Ganchal had taken on the characters of political or diplomatic document in early stage but had been used for private use after the Earlier and the Later Han(漢) Dynasty. Similar to China, Ganchal had taken on public characters in early stage, then had been gradually used for private use in Korea.<BR>  Ganchal can be divided into sheet, album, diary an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remaining shapes. In case of Ganchal remaining in diary and collection, so often, what is called conventional phrases (mainly opening word and concluding word) were deleted and the body (contents part) were edited during production or transcription. So, there is certain limit in examining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Ganchal with the Ganchals recorded in diary and collection.<BR>  The contents of Ganchal are composed of opening word, body and closing word. opening word includes greetings, inquiry after recipient and the present state of sender. Body includes contents and optative comment. Closing word contains farewell comment, date and name. Intensive stereotyped expressions in opening word and closing word are distinguished character of Ganchal style. Such stereotyped expressions were not included meaninglessly rather communicated respect and modesty by using different word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official rank, intimacy and position of recipient. However, Ganchal has certain limit as an independent prose because it is based on practical style. Some words, titles and official titles used in Ganchal are not easily found in other proses.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