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인체혈청 하에서 배양한 인체지방기질줄기세포의 표면항원 및 유전자 발현

        전은숙,조현화,주혜준,김회규,배용찬,정진섭,Jun, Eun-Sook,Cho, Hyun-Hwa,Joo, Hye-Joon,Kim, Hoe-Kyu,Bae, Yong-Chan,Jung, Jin-Sup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5

        인간중간엽줄기세포는(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 골수, 지방, 피부, 근육, 혈액에 존재하며, 뼈, 연골, 지방, 근육, 신경세포로 분화가능성이 보고되어 손상조직의 재생을 위한 재료로서뿐만 아니라 유전자치료의 매개체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안되고 있다. 인간중간엽줄기세포의 적절한 배양조건에는 소 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요구되어지므로 세포치료에는 소 태아혈청이 다수 포함되어 있을 것이며 세포배양 배지 유래 소 태아혈청의 단백질에 의한 면역거부반응이 우려된다. 이미 앞선 연구에서 자가혈청 하에서 인체지방줄기세포 분리와 계속적인 세포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인체지방줄기세포의 증식능력과 다 분화 능이 유지되며 면역결핍 생쥐에 골수의 말초혈액에서 유래된 CD34세포 이식 시 안착 능을 촉진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인체지방줄기세포가 인체혈청 하에서 배양되었을 때 소 태아혈청 하에서 배양할 때 발현하는 표면항원을 유지함을 확인했으며 microarray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비교했다. 유 세포 분석을 통하여 인체혈청 하에서 계속적으로 배양된 인체유래지방줄기세포에서 HLA-DR, CD117, CD29 와 CD44 의 발현이 소 태아혈청 하에서 배양했을 때와 비슷함을 밝혔다. 그러나 인체혈청 하에서 배양된 인체지방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형태와 소 태아혈청 하에서 배양된 세포의 유전자 발현형태 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체혈청 하에서 배양된 인체지방기질줄기세포가 임상적용을 위한 선행 데이터로써 직접적인 추정을 하기 위해서는 인체지방기질줄기세포 이식연구에 in vivo 동물실험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Human mesenchymal stem cells(hMSC), that have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bone marrow, adipose tissues, dermis, muscles and peripheral blood, have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along different lineages including those forming bone, cartilage, fat, muscle and neuron. Therefore, hMSC are attractive candidates for cell and gene therapy. The optimal conditions for hMSC expansion require mediu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FBS). Some forms of cell therapy will involve multiple doses, raising a concern over immunological reactions caused by medium-derived FBS proteins.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hADSC can be cultured in human serum(HS) during their isolation and expansion, and that they maintain their proliferative capacity and ability for multilineage differentiation and promote engraftment of peripheral blood-derived CD34 cells mobilized from bone marrow in NOD/SCID mic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hADSC grown in HS maintain surface markers expression similar with cells grown in FBS during culture expansion and compared gene expression profile by Affymetrix microarray.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HLA-DR, CD117, CD29 and CD44 expression in HS-cultured hADSC during culture expansion were similar with that in FBS-cultured cells. However, the gene expression profile in HS-cultured hADS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FBS-cultured cells. Therefore, these data indicated that HS-cultured hADSC should be used in vivo animal study of hADSC transplantation for direct extrapolation of preclinical data into clin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