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코어 SoC에서 피부색상 정보와 병렬처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얼굴 검출 방법

        김홍희,이재흥,Kim, Hong-Hee,Lee, Jae-Heu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2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멀티코어에서 피부색 정보와 병렬처리를 이용하여 Viola-Jones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고 빠른 검출 속도를 위해 기존의 얼굴 검출 방법 중 피부색을 이용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배경영상을 삭제하였다. 병렬처리를 위해 알고리즘을 기능별로 분할하였고, 멀티코어에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존성과 크기를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설계하였다. Cortex-A9 멀티코어가 내장된 SoC에서 실험 결과 알고리즘을 분할하기 전에 비해 약 1.8배 빠른 검출 결과를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lementation of Viola-Jones algorithm in a multi-core SoC by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and a parallel processing method. In order to reduce unnecessary operations and improve the detection speed, we adopted a fac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skin color and deleted background image. The algorithm is functionally divided into several parts taking account of the size and the dependency so that the divided functions can be proceeded in parallel. Experiment results in SoC with built-in Cortex-A9 multi core show that it is about 1.8 times faster than the existing algorithm which is not divided.

      • KCI등재

        일제하 羅南의 군기지 건설과 군사도시화

        김홍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이 글은 나남이 군기지로 선정되는 배경으로부터 군기지로의 건설 과정, 군대의 주둔, 그리고 나남의 군사도시화 과정에서 보여주는 특징 등에 대해 밝혀보려고 시도된 것이었다. 기존의 연구가 대부분 용산을 비롯하여 남한에 주둔했던 일본군 군사기지 연구에 집중되어 왔으며, 나남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언급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주제에 주목하였다. 일본은 러일전쟁 이후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군사적 침략을 본격화했다. 1904년 2월 23일 조인된 한일의정서를 근거로, 일본은 한반도 내 많은 토지를 군용지로 강제로 수용하여 군대를 주둔시켜 나갔다. 특히 러시아에 대한 견제를 위해 청진, 나남, 회령 지역을 군용지로 침탈하여 군사시설을 집중 배치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나남을 주목하였는데, 그곳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두만강 하구로부터 약 100km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일본 본토로부터 해상으로 접근이 용이한 청진항을 배후지로 가지고 있어 군수물자와 병력의 이동에 매우 유리하였다. 그리고 나남은 사방이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어 천혜의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한 일본은 나남에 군기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나남의 군기지 건설 시기를 제1차, 제2차로 구분하여 군사시설물을 갖추어 나갔다. 일본은 주차군경리부 임시건축과를 설치하여 100만 여 평의 대규모 부지를 수용해 나갔는데, 관유지는 무상으로 민유지 및 이전가옥은 헐값으로 매수하였다. 1908년 3월 각 부대의 건축 착공을 시작으로 1913년 11월에 완공되었으며 공사비용은 총 5,159,714원으로 당시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어 영구목적의 나남 기지가 건설되었다. 1910년 나남에 보병 제25여단사령부가 배치되었으며, 보병 제25여단사령부의 임무는 조선 방위의 기본 임무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들의 정보 첩보 활동, 철도 교통시설 보호 등 국경지대의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2개 사단 상설체제 결정 이후 제2차 기지 건설공사가 시행되었으며 나남에 제19사단이 주둔되었다. 사단 증설에 맞게 사단 규모의 신ㆍ증축공사는 1917년부터 1922년 3월까지 5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나남은 제19사단이 주둔되면서 군기지로서 더욱 공고하게 되어 일본 육군의 최대거점이 되었다. 제19사단의 활동을 살펴보면 대소방위에 주안점을 두고 동만주 지역의 독립군을 탄압하였으며, 나아가 대륙침략을 위해 동만주 지역에 파견되었다. 이와 같은 중요한 활동이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리적ㆍ전략적으로 중요한 나남에 대규모의 군기지가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본은 나남에 견고하고 영구적인 군사시설을 설치하고자 했으며 아울러 군사적 기능이 강화된 시가지를 계획하였다. 나남은 시가지가 형성됨에 따라 군사도시로서의 특징뿐만 아니라 신도시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시가지 전체가 격자형 가로망과 방사형 가로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교통망을 형성하는 교통계획도 이루어졌다. 그리고 군사기지로서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간배치 등 도시계획을 한 점이다. 이 외에도 나남은 시가지형성과 함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군사도시로 발전하였다. 아울러 함경북도청이 나남으로 이전되면서, 이를 계기로 나남은 군사 기능뿐만 아니라 행정 기능이 추가되어 함경북도의 핵심 도시가 되...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Nanam’s characteristics from construction process of Japanese military bases, military presence, militarized urbanism. Earlier studies focused on Japanese military bases stationed in South Korea including Yongsan, however Nanam was only partially mentioned. Considering Nanam selected as a large-scale military site and its importance as a developed military city, it is necessary to expansive review about i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 aggressively launched military invasions to establish control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the Korea – Japan Protocol signed on February 23 1904(韓日議定書), Japan forced much of the land on the Korean Peninsula to be the military facilities and stationed troops there. In particular, military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in Chungjin, Nanam and Hoeryong to check Russia. Nanam is located about 100km from Tumen River estuary, which is bordered by Russia. Also it has Chongjin Port as the hinterland, which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mainland Japan, this was one of her biggest advantages to move materials and troops. Nanam was a natural fortress because the northwest part was blocked by Mountains. The construction of Nanam bases was divisible into two periods. Japan expropriated the land in Namam area through the Temporary Architecture Section the Accounting Department of Japanese Army in Joseon. The construction of each unit began in March 1908 and completed in November 1913. The total cost was 5,159,714 won and a large-scale budget was put in place at that time to construct the Nanam bases for permanent use. In 1910, the 25th Infantry Brigade Command was deployed in Nanam. Due to the geographical specificity of the border area, the 25th Infantry Brigade was responsible for various roles such as surveillance activities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protection of traffic facilities as well as the basic duties of defense. After the two divisions were decided to be stationed, the construction of bases was carried out for the second time and the 19th Division was stationed in Nanam. The new and enlarged construction was completed over five years from 1917 to 1922. Nanam became the best stronghold base of the Japanese Army with the presence of the 19th Division. The 19th Division was dispatched to the East of Manchuria to oppress the independence forces and invade the continent.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large scale military bases in Nanam, which is geographically and strategically important. At that time, Nanam was a well-planned city with both permanent military facilities and enhanced military functions according to Japan's intention. Nanam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military city. The entire city of Nanam consists of a grid-type street network and a radial street network. Also traffic planning has been made for forming a major traffic network. In order to maximize the function as a military base,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ity was achieved. With a burgeoning population and urbanization, Nanam developed as a military city. In addition, as the Hamgyeongbuk-do(North Hamgyeong Province) Office moved to Nanam, Nanam became a central city of Hamgyeongbuk-do with administrative functions as well as military functions. At the same time, major facilities such as railway, specialized school, and shrine were built. Namam began as a military city and gradually evolved into a multipurpose city with administrative, transportation, educational and religious function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 First, Japan established the Nanam base in order to check Russia. Second, the Nanam base was for maintaining Joseon as a colony in complicated regional dynamics such as China and the Soviet Union. Nanam was the core of a military base that played a highly strategic role to control Russia and invade the continent. Third, Japan planned Nanam for military purposes and made it a military city. ...

      • KCI등재
      • KCI등재

        위성 및 CFD모델 자료의 융합을 통한 도시지역에서의 고해상도 지표 순복사 산출

        김홍희,이다래,최성원,진동현,허모랑,김재진,홍진규,홍제우,이근민,한경수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2

        Net radiation is the total amount of radiation energy used as a heat flux for the Earth’s energy cycle, and net radiation from the surface is an important factor in areas such as hydrology, climate, meteorological studies and agri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o monitoring the net radiation through remote sensing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trend of heat island and urbanization phenomenon. However, net radiation estimation using only remote sensing data is generally causes difference in accuracy depending on cloud.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trieved and monitored high resolution surface net radiation at 1 hour interval in Eunpyeong New Town where urbanization using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Landsat-8 satellite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data reflecting the difference in building height. We compared the observed and estimated net radiation at the flux tower. As a result, estimated net radiation was similar trend to the observed net radiation as a whole and it had the accuracy of RMSE 54.29 Wm-2 and Bias 27.42 Wm-2. In addition, the calculated net radiation showed well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precipitation,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net radiation for the vegetation and artificial area in the spatial distribution. 순복사는 지구 에너지 순환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총 복사에너지의 총량으로써, 지표면에서는 수문학, 기후 연구 및 농업과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원격탐사를 통해 순복사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열섬 현상과 도시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원격 탐사 자료만을 이용한 순복사 추정은 일반적으로 구름의 유무에 따라 정확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및 Landsat-8위성 기반의 자료와 건물 높이 차이를 반영한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화가 진행 중인 은평구 뉴타운 지역에서의 고해상도 순복사를 1시간 간격으로 산출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은평구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순복사와 비교한 결과, RMSE 54.29 Wm-2, Bias 27.42 Wm-2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지점 관측 자료와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출된 순복사는 강수와 같은 기상상태를 잘 나타냈으며, 공간적 분포에서 식생 및 인공물 지역에 대한 순복사의 특징을 잘 나타냈다.

      • KCI등재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템플릿 매칭 기법을 이용한 번호판 인식 시스템 개발

        김홍희,이재흥,Kim, Hong-Hee,Lee, Jae-Heu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SoC를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리눅스 OS 환경을 구축하고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여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자동차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번호판을 검출하고 검출된 번호판을 보정 한 뒤 각 문자들에 대해 인식을 한다. 번호판 검출 방법으로는 레이블링 기법과 숫자의 특징을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검출된 번호판의 표기되어 있는 숫자들은 각각의 좌표가 있다. 이러한 숫자들의 좌표를 비교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템플릿 매칭을 통해 인식을 한다. 그 결과로 번호판의 검출율은 96%, 문자 인식률은 73%, 숫자 인식률은 97%로 나타났다. 인식 시스템은 기존의 PC기반이 아닌 임베디드 보드에서 측정 되었으며 총 인식시간은 약 0.66초가 소요되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gnition system of a vehicle license plate and the Linux OS environment which is built in SoC Embedded system and its test resul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recognize a vehicle license plate, each character has to be extracted from the whole image of a license plate and the extracted image is revised for the template matching. Labeling technique and numerical features are used to detect the vehicle license plate. Each character in the license plate has coordinates. The extracted image is revised by comparison of the numerical coordinates and recognized through template matching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icense plate detection rate is 96%, and a character recognition rate is 73%, and a number recognition rate is 97% for about 300 license plate images. The average time of the recognition in the embedded board is 0.66 se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