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홍배,박준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4 도시과학국제저널 Vol.18 No.3
The green certification scheme for neighbourhoods is believed to be a meaningful means to realistically and effectively achieve a low-carbon city.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developed their own green certification schemes and typical examples are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BREEAM (Building the Research Establishment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and CASBEE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Environmental Efficienc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green certification for neighbourhoods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the structure of the green certification scheme that is applicable to the Korean neighbourhood unit. The green certification scheme i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steps: the first step identifies the mechanism of the carbon generation within the neighbourhood based on the IPCC guidelines. Next, five sectors are determined from the carbon emission mechanism identified, and evaluation standards are systematically derived from each sector. Here, the five sectors include industry, transportation, households, green, and planning. The third step is weighing the evaluation standards through a method involv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Finally, the developed certification scheme is applied to the new town of Magok in Seoul, Korea in order to demonstrate its applicability and usefulness.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텍스트의 유무가 디자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홍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3
제품디자인의 아이디어 스케치에 있어서 텍스트의 기능은 제품 기능이나 구조 등을 보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의 아이디어 스케치에 있어서 텍스트의 유무가 디자인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이 기능성 제품과 감성 제품 간에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디자인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에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독립변인을 아이디어 스케치에서의 텍스트 유무, 기능성-감성제품의 구분, 피험자 전공여부로, 종속변인을 디자인 우수성에 대한 평가점수로 설정하였으며, 기능성 제품으로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감성 제품으로는 여성용 화장품 용기를 선택하였다. 실험결과, 기능성 제품인 전화기에서는 텍스트의 유무가 디자인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에도 이러한 영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감성 제품인 화장품에서는 텍스트의 유무 및 피험자의 전공여부가 디자인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아이디어 스케치에 있어서 텍스트의 기능이 주로 제품디자인의 구조나 기능에 대한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제품에서는 텍스트가 디자인 평가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기능 보다는 형태나 스타일이 중요시되는 감성 제품에서는 텍스트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디자인 평가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론되었다. The main function of text in the idea sketches of product design is to perform complemental explanation about the function or the structure of the design.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of the existence of text, to the design evaluation on idea sketches, an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between functional products and emotional products, and also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ers and non-designers, by empirical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condition(existence/non- existence) of text, the category(functional/emotional) of the products, and the type(designers/non-designers) of subjects.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he point of the evaluation of design excellence. Domestic wireless telephone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functional products and women's cosmetic bottle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emotional product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existence of text was found significantly, and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of design major and of non-design major was found, in the evaluation of telephone design. In women's cosmetic bottle,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existence of text or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ubjects were found. It was suggest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 effect of the existence of text in idea sketches emerged in the functional product categories significantly, but not in the emotional product categories, due to the main function of text to perform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functional or structural attributes of the design.
김홍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2
The Turing Machi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first concept of computational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aradigm which became the fundamental frame of cognitive science suggested positive answers to the argument,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Especially, the endeavor to approach human mind using computer metaphor is considered as a very valid way so far. The implementation of human mind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not only the computational model of cognition but also the computational model of emo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right answer to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researches related with emo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The reviews of the researches on the attributes of emotion and,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main issue of the implementation of emotion is actually the matter of possibility of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therefore, the researches on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were reviewed in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opinion on the belief that computer can possess emotion can be valid was suggested. Possessing emotion assumes deep understanding of various situations and cultural contexts. Therefore,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should be solved, combined with the question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인공지능의 계산적 모형을 최초로 제시한 튜링기계(Turing Machine)와 인지과학의 모태가 된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적 패러다임은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라는 논쟁에 많은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컴퓨터라는 메타포를 이용하여 인간의 ‘마음(mind)’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마음의 구현은 인간의 인지(cognition)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emotion)적 문제에 대한 계산적 모형의 제시를 통해 완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지과학과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서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컴퓨터가 과연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서의 속성, 특히 정서와 인지와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정서에 대한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을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컴퓨터를 통한 정서의 구현 문제는 결국 정서가 계산적으로 구현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이므로, 정서의 계산적 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과 이에 관련된 연구들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검토된 연구들을 토대로 과연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이 타당성 있는 믿음인지에 대한 견해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과 문화적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며, 따라서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결국,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의 해답과 함께로만 제시될 수 있다.
전략적 신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대안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김홍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2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that implements physical form out of the product concepts in the sense of new product development. But in many cases, the design process produces very inconsistent result with the strategy of new product development due to the creativity and intuitiveness which are the main driving forces in design activity. Especially, subject and intuitive evaluation of the design alternatives done by project participants commonly causes very serious gap between the strategy and the final design. In order to eliminate this problem, the reliable system and tools to evaluate the design alternatives must be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evaluation model of the design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main factors to effect evaluation, not like most of the earlier studies focused on the approach to methodology. In the result of this study, a new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design alternatives is suggested, which is considered the attribute changes of the design alternatives following th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and the different roles between many typ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evaluation.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디자인은 제품의 컨셉을 현실적 조형구조물의 형태로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제품 컨셉이 물리적인 형태로 발전하는 과정, 즉 디자인 과정은 창조적 발상과 직관적 감각을 중시하는 디자인 작업의 속성으로 인해 신제품의 전략적 방향에서 이탈된 결과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특히 디자인 대안의 선택과정에서 개발 관련자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주관적, 직관적 평가는, 신제품 전략과 디자인 결과물 사이에 갭을 야기 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대안 평가체계와 방법론이 디자인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단계별 디자인 대안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스템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기존 방법론 지향적인 디자인 평가 관련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이슈들을 반영한 디자인 대안 평가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디자인 대안 평가체계는 디자인 단계별로 발전변화되는 대안의 속성과 평가 참여자들의 유형별 속성에 기초한 통합적 평가 모델이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자원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
김홍배,김재구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3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용수의 배분 및 수요관리와 같은 경제적 관점에서의 수자원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자원정책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본이해를 향상시키고, 수자원정책에 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 측면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용수수급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설정된 수자원정책 시나리오는 크게 용수공급을 증가시키는 정책과 용수수요를 관리하는 정책으로 구분된다. 정책분석 결과, 용수수급불균형 상태와 비교하면 정책시나리오 모두 용수수급불균형에 의한 경제 및 지역효용 감소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용수수요 규모를 고려하여 용수공급량을 결정하여 배분하는 정책시나리오가 가장 효과적인 수자원정책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efficiently use limited water resources, water policy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basic understanding on the economic impact of water policy an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the Korean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scenario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wo water management policies: the water allocation policy and the water demand policy. The impacts of these scenarios on regional economies of Korea are specifically analyzed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nd public welfare.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effective scenario of overcoming regional water-shortage is to supply water according to water demand by use.
김홍배,임병균,임순영,강주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dislocations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FX) swap market and focused on the credit risk of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is reflected in the FX swap price. Both the credit default swap spread of U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at of Hana Bank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vered interest parity(CIP) deviation observed in the FX swap market before the Lehman failure. However, after the turmoil, FX swap deviations tended to depend more on US financial institutions with investment grade rating than on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oncern over the counterparty risk and dollar shortages of US financial institutions under crisis w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behind the deviation from CIP in the FX swap market. Liquidity conditions in the Libor funding markets mattered more to FX swap markets during the turmoil than before the turmoil. However, central bank measures to counter the dollar shortages were effective. Our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dollar swap lines became useful in diminishing the level of FX swap market deviation.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Container Crane 스케쥴링에 관한 연구
김홍배,양성민,송경동,이혜경 한국경영과학회 199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This study considers how to assign container cranes for the arriving vessels. The container cranes scheduling are affected many factors such as calling schedule, booking prospect,. We developed the mathematical model for the decision making. It includes the waiting time of vessel's the violation cost of calling schedule, the fixed cost of gantry cranes. We solved this problem using the genetic algorithm and analyzed the results of genetic algorithm. The results of genetic algorithm was converged very fast and the run was within a few seconds.
거시경제위험에 따른 이슬람시장 vs 서구 전통 주식시장
김홍배 한국금융공학회 2019 금융공학연구 Vol.18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risk and low-frequency volatility of stock markets, albeit, making a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and Islamic stock markets from around the world. The study uses the novel approach of Rangel and Engle(2012) to extract ‘low-frequency’ volatility from aggregate volatility shocks and then investigates whether this low frequency volatility can be explained by macroeconomic risk. Using a panel of 36 countries, representing developed, emerging and Islamic countries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6, the study finds that low-frequency market volatility is lower for Islamic countries (and) markets with more number of listed companies, (and) higher market capitalization relative to GDP and larger variability in industrial production. The study also finds that low-frequency component of volatility is greater when the macroeconomic factors of GDP, unemployment, short-term interest rates, inflation, money supply and foreign exchange rates are more volatile. The empirical results are robust to various alternative specifications and split sample analyses. Our findings imply that religiosity has an influence on the correction of market volatility. 본 연구는 거시경제 위험이 주식시장의 저빈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서구전통 주식시장과 이슬람 주식시장 간에 미치는 거시경제 위험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총 변동성에서 저빈도 변동성을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빈도 변동성은 GDP, 상장기업수, 산업생산 변동성 보다는 이슬람시장과 시가총액이 높은 시장에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저빈도 변동성은 이슬람시장이 포함될 때 낮게 나타났다. 거시경제 위험에 대한 이슬람시장의 특이성은 다양한 하위표본, 임의 시장효과와 고정효과 등의 추정모형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저빈도 변동성이 이슬람 시장에서 음의 값을 갖는 것은 체계적 금융위험이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때 포트폴리오 분산으로서 이슬람시장을 고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저빈도 변동성은 거시경제 요인인 GDP, 실업, 단기이자율, 인플레, 통화공급(안정기), 환율 등의 변동성이 높을 때 같이 높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시에 통화공급 기관이 통화량 증가를 결정한다면 저빈도 변동성은 낮아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하위표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귀모형에 있어서도 강건하였고, 이슬람시장의 종교성이 시장변동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는 함의를 갖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