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도 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혜란 ( Kim Hyelan ),손준종 ( Son Joo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정책이 그리는 미래의 교육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래교육’ 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둘째, ‘미래교육’은 어떤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는가. 셋째,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미래교육’은 비교육적 관행과 소외를 극복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비한다는 데에서 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있었다. ‘미래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학생은 지식과 정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생비자, 배움과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흥미, 진로, 요구 등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선택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정책이 형성하는 교육 담론을 사회적 구성물이자 특정한 미래를 형상화시킨 결과로 바라보며, 이에 정책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교육적 사고, 가치, 행위과 더불어 주변화된 것은 무엇인지 주목하고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천하는 것들은 과연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ogical justification that support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students does “Future Education” aim to raise?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tilized.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uture Education” looks for the legitimacy of its policy in overcoming non-educational practices and alienati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society. It wants students to be prosumers who not only consum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o lead their learning and life, and to be talent with democratic citizenship.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d that we need to teach and learn what students want and need and that students should manage self-directed learning by themselves. This study views the educational discourse formed by the policy as a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educational thoughts, values, and practices, not educational and justifiable in it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see both what is visible and what is marginalized in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at we think and practice in the name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