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idegger 세계해석과 현존재의 세계형성

        김형찬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이 글은 하이데거의 세계개념을 해석학적으로 연구하여 현존재의 세계형성을 해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하이데거 전기철학의 한 축을 담당하는 철학적 인간학과 형이상학의 통합이론으로서의 현존재의 형이상학을 새롭게 평가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하이데거에게 인간은 최고의 존재자로 자리매김하지 않았다. 그는 근원적인 존재문재 탐구를 원하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물음을 존재론적으로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탐구과정에서 전통적인 존재론과는 달리 존재 일반이나 존재 자체를 문제 삼지 않고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근원적으로 제기하였다. 즉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이데거는 시종일관 존재 자체에 대해서 직접적인 답변을 시도하지 않고, 오직 ‘유한성’이라는 시간의 지평에서 인간 존재가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다. 그는 존재에 이르는 길로서 ‘인간’을 지목하였기 때문에 그에게는 존재문제가 존재문제로서만 제기된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물음과 함께 하는 존재에 대한 물음이어야 했다. 따라서 그에게는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는 존재, 지금 여기에 있는 존재, 즉 ‘현존재’가 가장 중요하게 되었다. 철학적 인간학자들이 인간을 식물, 동물, 그리고 신들과 관계를 지어서 서술하는 비교분석의 방법을 수용한 하이데거는 세계없음으로서는 ‘돌’을, 세계빈곤에서는 ‘동물’을, 그리고 세계형성으로서는 ‘인간’을 들어 비교 연구한다. 그는 세계빈곤과 세계형성이 맺고 있는 관계가 결코 우열적인 단계질서가 아님을 지적하였다. 하이데거는 ‘동물이 세계빈곤 속에 존재한다’는 논제를 세계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는 계기로 삼아 이 논제를 ‘인간은 세계형성 속에 존재한다’라는 논제와의 관계에서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세계형성이라는 말은 존재자가 그 자체로서 전체에서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하였고, 그로써 세계는 형성된다고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세계는 오직 그와 같은 형성에서만 그것인 바로 그것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었다. 하이데거는 주객대립의 발상 위에 성립하고 있는 근대의 인식론적인 사고방식을 극복하고, 그 대립의 근저에 있는 현존재라는 새로운 철학적 단서를 기반으로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차원을 펼치려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world-formation of Dasein focused on especially hermeneutically studying on Heidegger's world concept. It also aims at a new evaluation of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which is considered as a major part of his early philosophy. Heidegger reconstructed it in a new type of metaphysical ontology in his original philosophy. Heidegger seeks fundamental problems of ontology beyond anthropology. In the process of his search, the meaning of being is created originally, which differs from the typical view of ontology and doesn't approach the being-general or being itself. Heidegger attempts to reveal how human beings appear over the horizon of time named ‘finiteness’ rather than to answer being itself directly. Accordingly, Heidegger seems to have to comprehend the inquiry of being as not only that of the beingness but also that of human beings. What is most important to Heidegger is the being who asks about the beingness, the present being here, that is, being-there (Dasein). Heidegger considers it proper that his contemporary philosophers of anthropology describe human beings in relation to plants, animals, and gods, and follows the same way in the search for human beings. In Heidegger's thematic approach, ‘stone' stands for worldless-ness, ‘animal' for world-destitution, and ‘human being' for world-formation. Heidegger points out that the relation between world-destitution and world-formation never lies in a kind of hierarchical order. He considers it in terms of the subject, ‘human beings exist in the world-formation' by taking the subject, ‘animals exist in the world-destitution' as a clue for explanation of the world question. The concept of world-formation implies this fact: a being oneself is opened to the whole, through which the world is being formation, and by being formation itself the world exists. Heidegger attempts to discover a new structure of human existence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views. Heidegger seeks a new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world on the basis of the being-there which lies in the conflict of subject and object.

      • KCI등재

        주파수 조정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용 압전 캔틸레버의 특성

        김형찬,송현철,정대용,김현재,윤석진,주병권,Kim, Hyung-Chan,Song, Hyun-Cheol,Jeong, Dae-Yong,Kim, Hyun-Jai,Yoon, Seok-Jin,Ju, Byeong-Kwon 한국재료학회 2007 한국재료학회지 Vol.17 No.12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our surrounding vibration has been studied for driving the wireless sensor node. To change the vibration energy into the electric-energy efficiently, the natural frequency of cantilever needs to be adjusted to that of a vibration source. When adding 6.80g mass on the end of the fabricated cantilever, a natural frequency shifts from 136 Hz into 49.5 Hz. In addition,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increased from 10.20% to 11.90% and resulted in the 1.18 times increase of maximum output power.

      • KCI등재
      • KCI등재

        THE LI-KI STRUCTURE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AND THE INT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METHODS OF EXPLAINING THE THEORIES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IN KOREAN NEO-CONFUCIANISM

        김형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5 Acta Koreana Vol.18 No.2

        It is not easy to explain the distinct relationships and roles of concepts like li (理, principle), ki (氣, matter or energy), heart-mind (sim 心), and nature (sŏng 性) because the terms simultaneously explain both the physical quality and the ethical nature of being. In order to solve this difficulty, Confucians of the Chosŏn dynasty tried to search for effective ways of explanation by analyzing them, and today’s scholars also make persistent efforts to resolve this difficulty. One direction of such arguments in the Sŏngho school, which includied Chŏng Yag-yong, was to divide the usages of the concepts into “the special” (chŏn 專) and “the universal” (ch’ong 總). In addition, there was “the theory of mutual opposition” (taesŏl 對說) versus “the theory of mutual causation” (insŏl 因說), which was suggested by Ki Tae-sŭng in his disputes over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with Yi Hwang, and the “horizontal viewing” (hoeng’gan 橫看) versus “vertical viewing” (sugan 竪看), which was used by Yi I, Yi Chin-sang, Chŏng Chae-gyu, and others. Contemporary scholars have also used these frameworks in order to explain the theories of li, ki, “heart-mind,” and “nature” in Chosŏn Confucianism. And these methods focus mainly on the li and ki structure of moral emotions. However, most Chosŏn Neo-Confucianists discussed these topics in order to actualize moral life in the real world by searching for ways of controlling emotions, rather than discovering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li, ki, “heart-mind,” and “nature”. If we consider what we can learn from Neo-Confucianism’s li, ki, “heart-mind,” and “nature” theory or the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today, we should take note of the experiences and the results of discussions that attempt to make a normative justifiability of moral life equal to the inevitability of the natural law, by considering that human beings and society share their material and principles with nature. And we should evaluate dispassionately the theories and the results of these theories that were made in order to accomplish a Confucian moral society, and make the evaluation helpful for generating a discussion to lead today’s society in a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기(氣)철학에서의 총체적 통찰과 경험과 인식-임성주와 최한기를 중심으로-

        김형찬 철학연구회 2005 哲學硏究 Vol.0 No.69

        임성주는 전통적인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 체계 속에서 리(理) 중심적 이론틀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기일분수(氣一分殊)’ 형식의 기(氣)철학을 구축한 데 반해, 최한기는 서구의 근대 자연과학을 수용하며 경험적 인식방법을 이용해 독특한 기철학을 만들었다. 임성주는 성인(聖人)의 총체적 통찰을 통해 인식돼 전해지는 기존의 가치관이나 윤리관이 영원불변하다는 데 대해 의심하지 않았고, 단지 그것을 능동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보다 강력한 이론체계를 구축하려 했다. 이에 반해 최한기는 기존의 가치관이나 윤리관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외부 세계에 대한 정확한 경험적 인식방법을 모색했다. 감각기관을 통한 인식, 대상과 주체와 인식의 구분, 지식의 축적과 인식의 정도에 따른 진리의 가변성 등은 바로 최한기가 임성주와 분명한 차별성을 가지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경험적 인식의 방법을 탐구하며 진리의 가변성을 인정한 최한기의 기철학은 임성주의 기철학에서 기대하기 어려웠던, 시대적 변화의 수용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또한 최한기의 기철학은 존재론과 가치론이 공존하는 유교적 자연관의 기반 위에서 서양 근대 자연과학의 경험적․분석적 사유방식을 수용해 냈다는 점에서, 동양적 사고와 서양적 사고의 성공적인 결합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