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 속 와편모조의 출현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김형신,정민민,이준백,Kim, Hyeung-Sin,Jung, Min-Min,Lee, Joon-Baek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4

        제주도 서부해역인 차귀도 연안 해역에서 2006년 10월부터 2007년 11월 사이 5회에 걸쳐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와편모조의 종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총 32종의 와편모조가 관찰되었다. 이들 와편모조 중 19종 즉,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등의 종은 한국 연안 해역에서는 매우 드물게 출현이 보고된 종이거나 미기록 종이었다. 그리고 채집된 시료에서 열대 해역 지표종인 Ornithocercus 속의 월별 단위체적당 출현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 10월, 2007년 2, 4, 9 및 11월에 각각 28, 22, 0, 3 및 $502\;cells/m^3$이었다. 또한 월별 총 와편모조류 출현량에 대한 Ornithocercus 속의 점유율은 각각 8, 3.9, 0, 0.2 및 97.9%로 2007년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발맞추어 한반도 연안 해역 역시 온난화 되어지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about change of dinoflagellate composition during October 2006 to November 2007 at the Chagwi-Do, west-part of Jeju Island. There were 32 dinoflagellate species in collected samples and 19 species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of collected dinoflagellate species were rare and unrecorded species from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quantities by month of these tropical oceanic species, Ornithocercus were 28, 22, 0, 3 and $502\;cells/m^3$ in October 2006, February, April, September and November 2007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genus Ornithocercus for whole dinoflagellate species were 8, 3.9, 0, 0.2 and 97.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is getting warm by global warming.

      • KCI등재

        해양 미소 편모조류의 종 동정을 위한 인편 형태에 관한 연구

        김형신,정민민,Kim, Hyeung-Sin,Jung, Min-Min 한국조류학회(藻類) 2005 ALGAE Vol.20 No.4

        5 Haptophyta 2 Chrysophyta and 1 Prasinophyta species of scale-bearing nanoflagellates were collected in coastal water of Korea and identified by examination of their scales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6700F). These included Chrysochromulina ahrengoti, C. simplex, C. spinifera, Prymnesium parvum, P. patelliferum, Mamiella gilva, Paraphysomonas imperforata and Pa. vestita. The surface of cells covered with unmineralised scales (5 Haptophyte and 1 Prasinophyta species) or silica scales (2 Chrysophyta species). Scale-covered flagella are found in the 1 Prasinophyta species. One of the ma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ptophyte is the haptonema, a filiform organelle which occurs together with the two flagella. It may be long and coiling upon irritation as in Chrysochromulina, or short and noncoiling as in Prymnesium.

      • KCI등재

        Prymnesium patelliferum Green, Hibberd and Pienaar (Haptophyta)의 형태 특성 고찰

        김형신,정민민,Kim, Hyeung-Sin,Jung, Min-Min 한국조류학회(藻類) 2004 ALGAE Vol.19 No.3

        Prymnesium patelliferum was collected from Hwajinpo, South Korea in November 2002.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patelliferum in Korea waters. The characteristic shape of P. patelliferum was that of a rice grain. Cells were sub spherical or elongate, and sometimes slightly compressed. The motile cells of P. patelliferum (8-10 ㎛ long, 5-6 ㎛ broad) prossessed two equal or sub equal flagella(10.5-13 ㎛) and a short non-coiling haptonema (3-5 ㎛). The cell was covered by two layers of organic scales, which were important taxonomic characteristics. Internal scales were a narrow inflexed rim on the distal face, a thickening central and radial fibrillar pattern. External scales were very similar to internal scales with relatively tall upright rims. The ridges were in quadrants with 11-12 ridges per quadrant.

      • KCI등재

        <허튼법고>에 나타난 진유림 춤의 특성 연구

        김형신 ( Kim Hyung-si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진유림의 대표적인 전통창작 <허튼법고>를 통해 전통춤의 원형이 어떻게 변용되어 새로운 의미를 확보하는지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허튼법고>의 미학적 토대와 예술적 가치를 살펴보고 복식과 소도구 및 음악적 구조 그리고 춤사위 형태를 분석하여 진유림 춤의 특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진유림의 <허튼법고>는 작법무에서 행하는 바라춤과 법고춤에 허튼춤이 가미되어 불교적 색채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즉흥적 표현과 자유로운 형식으로 구성된 춤이다. <허튼법고>에 나타난 진유림 춤의 특성을 살펴보면 두 가지의 악기를 다루는 춤 요소가 결합되고 그 조화 속에서 새로운 형식의 허튼춤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형식에 치우치기 보다는 즉흥성을 통해 춤의 다양한 변용을 추구하는 점에서 나타난다. 또한 강한 악기를 연주하면서도 부드러운 춤이 공유되어 강유(剛柔)의 조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태는 춤사위에서도 여성미와 남성미가 혼합된 교태미를 드러내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점은 진유림이 전통에 바탕을 두면서도 여러 실험과 변용을 통해 새로운 감각을 전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렇게 창조된 진유림의 춤은 새로운 해석이 가미된 전통 춤의 레퍼토리가 생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연예술적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dance was transformed into a new meaning through Jin Yu-rim's representative traditional creation, "Hurton Beopgo." Accordingly, the aesthetic foundation and artistic value of "Hurton Beopgo"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Jin Yu-rim's dance were discussed by analyzing the form of clothing, props or musical instruments, musical structure, and dance moves. Jin Yu-rim's "Hurton Beopgo" is a dance that is based on Buddhist undertone, but consists of improvised expressions and free formations, with the addition of Bara dance and Beopgo dance performed in songwriting.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Jin Yu-rim's dance in "Hurton Beopgo", two dance elements are combined and a strong instrument is played to create a new type of dance in the harmony, while a soft dance is shared, resulting in the harmony of Kang Yu (剛柔) It also features the pursuit of various variations in dance through improvisation rather than being biased toward formality. This is meaningful in that Jin Yu-rim conveyed a new sens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adaptations while based on tradition. The dance of Jin Yu-rim, created in this way, is also valuable in terms of performing arts in that a repertoire of traditional dances with new interpretations can be created.

      • KCI등재

        농업용 저수지 제체에서의 그라우팅 주입효과 확인방법의 검증

        김형신 ( Hyeong-sin Kim ),문성우 ( Seong-woo Moon ),임국묵 ( Kookmook Leem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3

        농업용 저수지 제체에 대한 그라우팅 주입효과 확인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물리ㆍ역학적 방법, 수리학적 방법, 지구물리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들은 그라우팅 주입단계에 따라 ① 그라우팅 이전, ② 그라우팅 중 ③ 그라우팅 직후, ④ 그라우트재재령 28일 이후로 구분하여 획득되었다. 시추과정에서 획득되는 단위중량, 압축강도, 마찰각, 점착력, N값(관입저항치)의 경우 지반 개량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지반의 불균질성에 기인하는 한계도 나타났다. 현장 투수시험으로 측정된 투수계수는 그라우트재가 고결되기 이전에도 차수성이 확인되어 그라우팅 직후에 저수지 제체의 개량효과를 확인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비저항탐사는 그라우팅 이전 저수지 제체에 발달하는 포화대와 누수영역 파악 활용에 적합하였다. 표면파탐사(MASW)는 그라우팅 주입 이후에 탄성파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뚜렷하여 개량효과를 판단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탄성파 속도를 이용하여 동적특성을 산정할 수 있으므로 내진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hysical, mechanical, hydraulic, and geophysical tests were applied to validate methods of inspecting the effectiveness of grouting on an agricultural reservoir dam. Data obtained from series of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considered four stages: before grouting; during grouting; immediately after grouting; and after aging the grouting for 28 days. The results of SPT and triaxial tests, including the unit weight, compressive strength, friction angle, cohesion, and N-value, indicated the extent of ground improvement with respect to grout injection. However, they sometimes contained errors caused by ground heterogeneity. Hydraulic conductivity obtained from in situ variable head permeability testing is most suitable for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grouting because the impermeability of the ground increased immediately after grouting. Electric resistivity surveying is useful for finding a saturated zone and a seepage pathway, and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MASW)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grouting, as elastic velocity increases distinctly after grouting injection. MASW also allows calculation from the P- and S- wave velocities of dynamic properties (e.g., dynamic elastic modulus and dynamic Poisson’s ratio), which can be used in the seismic design of dam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