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科場의 안과 밖

        김혈조(Kim Hyul-jo)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본 논문은 과거 시험장의 풍경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실시된 과거시험은 그 종류와 횟수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科場의 풍경을 일반화하여 말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은 특히 無名子 尹愭(1741∼1826)가 남긴 기록을 통해서, 과장의 풍경을 살펴보았다. 과거장의 모습에 대해서 윤기만큼 많은 자료를 남긴 사람은 없다. 윤기의 눈에 포착된 과장은 국가의 인재를 선발하는 공정한 장으로서의 모습이 아니었다. 권력을 가진 자, 재력을 가진 자들이 자신의 자제를 합격시키기 위해 부정과 부패를 자행하는 타락한 현장이다. 여기에 시험을 공정하게 관리하고 채점해야 할 시관이 부정에 개입되어 있었다. 한편 당쟁의 폐해는 과거 합격자 선정에도 나타나서 집권당이 합격자를 독식하기까지 하였다. 윤기가 파악한 과장의 문란을 통해서, 우리는 18,9세기 행해진 과거는 국가의 교육 및 인재 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긍정적인 제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할 제도인 과거 시험이 재력가나 권세가의 횡포로 멋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현실에서 조선조 정부는 국가로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거나 합리성을 가질 최소한의 물리적 정신적인 힘조차 가지지 못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mon sights of the gwageo exam rooms. It is not easy to generalize the gwageo exam take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the findings because there were numerous kinds and frequencies of the exam. Therefore, the paper looks at the common sights in the gwageo exam rooms through the record by Yun Ki(1741∼1826), a mediocrity. No one has left many materials on the real faces of the gwageo exam like Yun Ki. The gwageo exam room that has come to his eye was not a fair system to select talented people. It was the corrupt scene where powerful and rich people committed all kinds of corruption and illegality to pass their son. Examiners should manage the gwageo exam fairly, however, they were involved in cheating on the exam. The harmful effect of the party strife was also reflected on selecting successful candidates and a ruling party possessed them exclusively. The gwageo exam should be linked closely with national education and selection of talented people, but we know through disorder and confusion of the gwageo exam caught by Youn, Ki that the exam taken in 18th and 19th century lost its function as a positive system. The exam should be managed in a fairest way, however, it was run by the tyranny of the wealth and the power as they pleased. We can see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did not have a minimal physical and mental capacity to realize a social justice and to demonstrate rationality.

      • KCI등재

        조선후기 서책의 검열과 소통 -『열하일기』를 통해 본 자기 검열-

        김혈조 ( Kim Hyul-jo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8

        『열하일기』는 파란을 일으키며 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지만, 한편 그 내용과 표현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찬사를 보내는 문인들도 있었지만, 보수적인 문인들은 내용과 표현을 대단히 불온하고 품격이 낮은 것으로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작자 燕巖도 이를 수정하였으며, 이를 필사하는 과정에서 문인들은 이를 개작하였다. 결국 자기 검열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수많은 『열하일기』필사본들은 원작의 모습과 멀어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열하일기』의 異本이 원작의 그것과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실증적으로 대비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특히 활자본인 朴榮喆본과의 대비를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달라진 모습을 일곱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① 명·청 의 국호, 연호, 황제 시호의 표기 문제, ② 천주교(서학) 및 서양 문물에 관한 표기 문제, ③ 여성 미모, 및 성적 연상에 관한 내용, ④ 조선식 한문 표기, ⑤ 한자 자원 및 어원과 관련한 문제, ⑥ 삭제와 교체에 관한 부분, ⑦ 양반, 특히 연암의 체통에 관한 부분의 개작 등으로 분류하여 그 구체적 개작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박영철본은 원작의 모습과 많이 달라졌음이 드러났는데, 이는 원작의 훼손이며 改惡이다. 주로 보수적 문인들에 의해 저질러진 개악은 조선의 정치적 사상적 문제와 일정하게 관련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이를 통해 조선 후기의 정치와 사상의 보수적 분위기와 지적 풍토를 짐작할 수 있다.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Yulha Journal" have become problematic while the journal has been read to many readers with stirring up trouble. Some writers praised the Journal, but conservative writers criticized them for being extremely rebellious and vulgar. Thus, the writer, Yeunam, revised it, and the literati modified it in the process of transcribing it. In the end, numerous manuscripts of "Yulha Journal" were separated from the original through the process of self-censorship. This paper empiricall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different version of "Yulha Journal", and analyzed the meaning. In particular, w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inted book of Park, Youngchul and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seven types. As the result, the version of Park, Youngchul revealed that it wa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ork, which is the damage of the original work and a change for the worse. It is a phenomenon that is mainly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roblems of Joseon, which might lead to conservative atmosphere and intellectual climate in the latter phase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김혈조(Kim Hyul jo)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경계라는 말은 연암이 언급한 '際'라는 글자를 번역한 것이고, 그 경계에 선 사람을 경계인이라고 한 것이다. '경계'라는 말을 제시한 연암은 그 자신 경계인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연암은 양 극단의 어느 한쪽에 속하지 않은 중간지대에 있으면서 양극단을 지양하고 상호보완하면서 제3의 영역을 모색 지향하는 삶을 살았다. 따라서 연암에게 있어서 '경계'라는 말은 그의 문학은 물론, 그의 인간자세까지 연역해낼 수 있는 핵심어이다. 본 논문은 경계인의 관점에서 청나라에 대한 인식 및 정조 임금에 대한 신하로서의 자세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보았다. 그리하여 연암이 보인 北伐과 北學이라는 양 극단을 지향한 제 3의 관점, 국왕 정조에 대해서도 주체적인 신하의 자세 등이 모두 경계인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Borderline is translated from Chinese letter Jae(際) refered to by Yeonam(燕巖), and man standing between the two extremes is called man in borderline. Yeonam who has suggested the word borderline has held the stance of man in borderline. Yeonam has pursued the boundary which does not belong to any of both extremes, tried to avoid both in a mutually supplementary way, and finally explored the third zone. Accordingly the word borderline, for Yeonam, is the linchpin from which what he is and his literature can be deduced. This paper has closely debated Yeonam's viewpoint for Chung Dynasty and his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 as a subject. Thereby not only the third way overcoming both extremes : Northern Expedition(Bukbeol-北伐) and Northern Learning (Bukhak-北學), but also his independent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正祖) as a subjec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 in borderline.

      • KCI등재

        『열하일기』 정본화 작업의 제문제 -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김혈조 ( Kim Hyul-jo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1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는 『열하일기』 교감 정본화 과정에서 발견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를 다루었고, 후반부는 『열하일기』의 새로운 필사본 자료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필자는 연암 박지원의 저작집인 『연암집』의 정본화 작업에서, 『열하일기』 부분을 맡아서 그 1차년도 작업을 완료하였다. 1차년도의 작업 성과를 보고하면서 교감 정본화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 중 다섯 가지를 거론하여 여러 학자들의 질정을 구하려고 하였다. 1차년도의 오류를 수정 보완하고, 또 2, 3차년도의 작업에 완벽을 기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아울러 정본화 작업의 한 전형을 보여주는 새로운 『열하일기』 필사본 자료를 소개하였다. 지금까지의 어떤 필사본과도 그 성격이 다른 이 책자는 그 내용과 교감의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topics. The first half dealt with the important problems that were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the "Yeolhailgi(熱河日記)" symmetry, and the second half was to introduce new manuscript data of "Yeolhailgi(熱河日記)". The author completed the first year's work by taking charge of the "yeonamjip(燕巖集)" section in the composition work of the "In reporting the first year's work performance, I tried to get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y mentioning fi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king a symposium. It is aimed at correcting errors in the first year and perfecting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work. In addition, I introduced a new manuscript document that shows a typology of authorship. This manuscript, which is different from any previous manuscrip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ts content and method of sympathy.

      • KCI등재

        박지원의 연행 한시 연구

        김혈조 ( Kim Hyul Jo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3

        본 논문은 박지원의 연행시(燕行詩)를 연구한 것이다. 연행시는 열하일기(熱河日記)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진했던 분야이다. 논문은 기왕에 연행시로 알려진 작품은 물론, 문집에 수록되지 못한 작품까지 발굴하여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박지원의 연행시는 한시 형식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것이 13수이고, 散句로 남아 있는 것이 2수 이었다. 분석을 통해 박지원의 연행시는 개인의 정감을 풀어내는 운문이었으며, 내용상 일반적인 연행시의 주제와 특별히 다른 것이 없음을 밝혔다. 특히 열하일기가 구현한 주제에 비해서 연행시의 주제는 특기할 만한 것이 없었다. 13수와 2개의 산구로 남은 연행시는 연행 초기 거의 매일 왕성하게 연행시를 창작했던 것에 비추어보면 너무 적은 숫자이다. 연행이 진행될수록 작품이 창작되지 않은 까닭을 연행의 자세와 각오의 변화, 청의 현실을 보는 연암 인식의 전환에 그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연행에서 얻은 현실 인식 등의 거대담론은 한시의 형식이 아닌 산문 열하일기로 담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박지원은 연행시를 크게 취급하지 않았음을 밝혔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etry of envoy to Chung Dynasty written by Ji-won Park. Studies on the envoy poetry has been depressed in the shadow of Yolha-ilgi and could not have received the recognition it deserves. The researcher discovered and analyzed works that are not included in his anthology as well as works known as envoy poems. The envoy poetry by Ji-won Park consists of thirteen poem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formalities of Chines poem, and two separated phrases. The study revealed with analysis that his envoy poems are verse to express personal warmth and similar to the theme of general envoy poems. The theme of the envoy poetry is not something special compared to that of Yolha-ilgi. Considering that Ji-won Park composed poems actively at an early stage in his envoy, thirteen poems and two separated phrases are too poor in a quantitative respect. The study grasped that reasons that he could not write poems as the envoy progressed are the change of his attitude and determination, and the cognitional change about Chung’s reality. It also illuminated that Ji-won Park did not set a high value on envoy poetry because he just expressed microscopic discourse such as his perception of Chung’s reality in prosy Yolha-ilgi as it might not be appropriate to express in verse.

      • KCI등재

        투고논문 :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김혈조 ( Hyul Jo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그동안 학계에서는 耘谷의 시문학을 연구하면서 특히 그의 節義 정신만을 지나치게 부각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문학에 대한 연구도 소수의 몇몇 작품만 한정하여 주목하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운곡의 참다운 모습을 볼 수 없게 만든다. 운곡을 전문적인 시인으로서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운곡을 시인으로 강조한다고 해서 그의 節義 정신이나 直筆 정신이 훼손되는 것이 아니다. 운곡을 시인으로서 참되게 연구하기 위해서 몇 가지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첫째, 운곡의 생애를 실제 사실에 근거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여러 문헌 자료를 통해서 지금까지 덧칠된 모습을 걷어내고 역사 속에서 활동했던 실제의 인물로 복원해야 한다. 둘째, 작품에 대한 꼼꼼한 원전비평이 있어야 한다. 문집 안에는 운곡의 저작이라고 의심되는 작품이 들어있다. 특히 운곡의 절의 정신과 서로 모순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작품에 대해서는 그 저작 여부를 검증해야 한다. 셋째, 지금까지 출간된 운곡시집의 번역서는 오역이 많으므로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 오역을 가지고서는 작가의 정신을 옳게 살필 수 없다. 넷째, 운곡이 남긴 한시는 다양한 주제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운곡이 한시에 매우 능통했던 전문 작가라는 사실을 밝혀야 한다. 耘谷 元天錫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위대한 시인이요, 양심적 지식인이었다. 운곡의 위대한 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에 대한 연구가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되어야 한다. The academic circle has had a tendency to overemphasize Ungok`s fidelity to principle in the research of his poetry. As for literary study, researchers have been dealing just a few number of his works.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prevented us from examining his genuine literary talents. A research on Ungok should be performed focused on the role of a poet. Although the research em- phasizes his role as an efficient poet, it does not damage his fidelity or straight reporting. Some preceding works are needed to study Ungok as a poet as follows. Firstly, we should look at Ungok`s life based on true information. We should discover his genuine aspects and represent him as a human being in the history through documentary records. Secondly, we should criticize his original texts. There are some doubtful works in his anthology that we are not sure of his own writing. Therefore we should examine thoroughly the genuineness of the works which contain the topic against Ungok`s fidelity to principle. Thirdly,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errors in translations of Ungok`s poems and we should correct them. We cannot examine properly with the data of incorrect translations. Fourthly, Ungok`s Chinese poems consist of various topics and forms. Therefore we should make it clear through the study of the work that Ungok is versed in Chinese poems. Ungok (the pen name of Won Chunsuk) was a great poet and conscientious intellectual in our history. The research on him should be done objectively to uphold his great spirit based on empirical connection.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동아시아 한자(漢字),한자교육(漢字敎育)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初學敎材『童蒙須讀千字文』硏究

        김혈조 ( Hyul Jo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전통시대 식자 교재는 주흥사의『千字文』이었다. 이 책은 식자 교재로서 결코 적합한 책이 아니다. 선정된 글자 1,000자에는 한문교육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글자가 많이 누락되어 있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중에서『千字文』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무려 375자가 될 정도로 『千字文』에는 빠진 기초한자가많다. 20세기 전후에『千字文』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식자 교재가 저술되었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많은 대안『千字文』류의 책들이 전통 한학자들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한 『童蒙須讀千字文』은 분류 대안 식자교재로 개발된 책이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小岡金泰麟에 의해 1925년에 만들어진 책이다. 소강 김태린은 평생 고향 淸道를 떠나지 않으며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공부한 在地士族출신의 학자이다. 그는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통해서 『千字文』의 문제점, 특히字義에 종류별 분류가 되지 않음으로 해서 동몽들이 쉽게 한자를 익힐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千字文』인 『童蒙須讀千字文』을 저술하였다. 『童蒙須讀千字文』의 식자 교재로서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千字文』과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와 선정된 글자를 상호 비교해본 결과, 『童蒙須讀千字文』에는 두 자료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글자를 많이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童蒙須讀千字文』은『千字文』에 사용하지 않은 글자가 615자이고, 중학교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698자였으며, 양쪽 모두에 사용되지 않은 글자는 모두 602자이다. 『童蒙須讀千字文』에 새로운 글자 602자를 새로 추가하였다는 사실은 이 책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모습으로서 자기 존재를 뚜렷하게 한 것이지만, 한편 그 독창성이 식자 선정의 보편성에 어긋나게 되었다. 따라서 『童蒙須讀千字文』은 글자 선정에 문제가 있는 책이고, 따라서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요컨대 『童蒙須讀千字文』은 별종의 『千字文』이라는 의의는 가질 수 있으나, 기존 『千字文』의 대안이 되는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은 아니라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CheonJaMun(千字文)”is from middle age, regard as basic text book for Chinese Character in the Chian, korea, and Japan. But in the point of collected Character`s usage is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Chinese Character. For example, compar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 set for middle school in korea, 357 character is not stored in this book. Cause of this problem, from 20th century, especially Chosun by Japanese colonial, some of writter remake same frame text book with CheonJaMun(千字文). This study is reported to the academia, DongMongSuDokCheonJaMun (童蒙須讀千字文), one of that time piblished, and research its value.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this book is one of mimic book, and also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 KCI등재
      • KCI등재

        韓國漢文學에 나타난 盧山의 形象

        金血祚(Kim Hyul-Jo) 동아인문학회 2007 동아인문학 Vol.12 No.-

        This study is composed to clarify how Lushan[盧山] is formed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its literary aesthetic characteristics. There are several cases to get to encounter Lushan: paintings and poetry describing Lushan, and Chinese and Korean geographical books and maps relating to Lushan. In my opinion, through these images, Korean writers considered Lushan was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and longed for more with literal imagination. Forms and images of Lushan embodied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ere recognized as solemn mountains to retire to hermitage with typicalness of beautiful landscape. Waterfall was the most impressive feature of Lushan. A lot of poems were written, in consequence, as well as old Korean verses adopting Lushan were created in Hangeul, Additionally, Lushan was the home for heroes and stories of their history. Lushan was the memorial for historical heroes,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 symbolic mountain granting modem significance. Also, valleys of Lushan were used as metaphors for limitless greed and lust. The upshot of considering Lushan as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was naming Korean landscapes after Lushan. This is sort of China-adoring though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