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노인의료보장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현주,조영환,박영한 대한물리치료학회 1998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0 No.1

        We are confronted by increase in old people due to the improvement in medical science, public hygiene and socioeconomic status in 20th century. But our medical security system for old people dees not meet the need for medical service of old people. Current medical insurance system restricts term and extent in allowance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of the aged people need medical care of long duration and high cast. And in the medicaid system the speciality of the aged people is not recognized and the budget of the government is scanty. In addition many old people in our country are in economic distress due to low income. But the government authority does not give sufficient consideration for old people in law, policy and budget. To improve social security system for old peop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budget for the security of old people, to enhance the traditional respect for the aged, to improve medical security system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 and by expanding the allowance of medical insurance, and to expand the public welfare institutions. And these are roles for all the family, the society and the nation as well as the aged people themselves.

      • KCI등재

        Liszt’s Composer-Mindset Response to the Critique of Opera Fantasy

        김현주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音樂論壇 Vol.39 No.-

        Although the opera fantasy as a genre has been condemned as showing off, frivolous, or a simple potpourri, Liszt as a fantasy composer is often protected from such denigration, primarily because of his dramatic integrity. Reiterating this claim,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nd to confine their scope to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styles of Liszt’s major oeuvres.  Instead, my article situates his fantasi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contemporary criticism on the genre. By doing so, I propose several types of “anxiety” underlying criticism of the genre, including anxiety about becoming a composer over a performer, anxiety about formal constraint, and anxiety about ideas and contents. Such anxieties help to set the stage for Liszt’s strategic responses to the criticism in writing his own fantasies. The case of his Norma fantasy then demonstrates how he achieves formal coherence and solidity, holistic effects beyond a simple pleasing melody, and dramatic unity and re-reading, ultimately shedding light on his composer-mindset as opposed to the mere virtuoso display normally associated with the fantasy genre.

      • KCI등재

        해방기 환멸의 정조와 상상적 탈주 :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현주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4

        본고는 정비석의 해방기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주체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주체는 현실을 환멸의 정조로 관조하면서, 양심을 수호하고 존재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탈주를 시도한다. 주체의 탈주 욕망은 현실세계에 직접 개입하여 개혁하는 방향이 아니라, 시적 세계의 내면을 확장하거나 소외와 분열을 극복한 조화로운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는 네이션을 상상하는 방향으로 재현된다. 이때 시적세계로의 확장은 이성과의 만남으로 구체화되고, 주체는 환멸의 세계와 시적 세계의 경계를 오가면서 생명력을 회복한다. 특히 소녀와의 만남은 환멸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실존의 부정과 훼손되지 않는 존재로의 낭만적인 퇴행 욕망과 관련 있다. 이 만남을 통해 주체는 환멸의 세계로부터 벗어나 내적 만족감을 충족하고 그 만족감을 미적인 것으로 충일한 낭만적 공간을 마련한다. 그러나 주체의 양심이 현실에서 파멸할 수밖에 없다는 절망적 통찰이 전제되어 있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런 절망적 통찰은 주체의 양심을 실현할 수 있는 세계, 즉 네이션을 상상하는 동력이 된다. 상상된 네이션은 민족의 정체성을 국가의 정체성과 일치시키는 근대적 공간이다. 이는 주체가 환멸의 세계를 정복하고 양심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존재물음의 과정이자 그것을 상상적으로 재구조화한 결과물이다. 주체는 개개의 과오를 상상된 네이션 속에 용해해 버리고, 국민으로 창출할 준비를 한다. 정비석이 국민국가를 상상하는 방식이 균질적인 국민의 창출과, 그 핵심을 민족이라는 혈통 중심적 사고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은 환멸로부터 상상적 탈주를 시도하지만, 그 탈주가 현실을 변화시키는 실제적인 힘으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로 남는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being method of the subject on Cheong Bi-seok's short story during the liberation. The subject contemplated the reality as the Feelings of disillusionment, trying to escape for protecting conscience and realizing an idea of existence. The desire of the subject for an escape was reenacted towards the imagination of a nation where can be realized a harmonious human character that extends the poetical inner world, or overcoming the fringes and the division. At that time, the extension around the globe was realized by touching reason, and the subject recovered vitality as coming and going the border between the disillusive world and the poetical world. Especially, to meet with a girl is related with a romantic regressive desire for the subject who denies an existence in the disillusive world and then being an existence who can be damaged. With this meeting, the subject met the inner satisfaction and prepared a romantic space where is full with the aesthetic things out of the disillusive world. However, it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 to have the premise of a hopeless insight that the conscience of the subject has to be destroyed in reality. This hopeless insight derives a power to image a nation that can be realized the conscience of the subject. This imaged nation is modern space where fits ethnic identity with national identity. This is the course of questions to an existence in which the subject conquers the disillusive world and hears of the conscience, and then being the result that restructured it imaginatively. The subject liquefied the individual error into the imaged nation, and preparing to be driven as nation, because the way that Cheong Bi-seok images a nation-state is focused on the blood-oriented thought for creating homogeneous nation and it's essential.On the other hand, Cheong Bi-seok's novel during the liberation tried to escape imaginatively from the disillusionment, but it gives a problem that the escape couldn't be worked as an actual power to change reality.

      • KCI등재

        데이컴기법을 활용한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활동 분석

        김현주,임종순,최선미,박소희,박수혜,안성은,김희정,김은실,정인아,김수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ous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by hospital level, and identify importance and frequency to provide baseline data to establish delivery room nurses' roles. Methods: Through DACUM analysis technique, service descriptions, duties, and tasks were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 survey was done of 242 nurses from delivery rooms of hospitals, general hospitals,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 hospitals. Importance and frequency of each service were measured using a 4point scale, and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Nursing services for delivery room nurses consisted of 18 duties and 86 tasks. Dutie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were 'labor support' and 'infection management', and those with lowest importance were 'collaborative care' and 'communication'. The du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labor support', and lowest frequency was 'communi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hospitals. Conclusion: Results of this first study on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delivery room nurses are performing a wide range of nursing services and the various types are clarified including importance and frequency.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Methods: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만실 간호업무를 임무, 일, 일의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간호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서울 및 경기, 인천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의 3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분만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Results: 분만실의 업무는 4개의 임무, 18개의 일과 86개의 일의 요소로 분류되었다. 일의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진통 중 간호, 감염관리였으며 낮은 항목은 협력적 간호,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진통 중 간호가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의료기관분류에 따른 일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보면 산후관리, 감염관리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진통 중 간호, 산후관리, 수술지원, 투약, 감염관리, 안전간호, 협력적 간호, 교육, 의사소통, 환경관리, 약물과 의료기구 관리 등 11가지 항목이 병상규모에 따라 업무별 수행도 차이가 있었다. Conclusion: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목록화하고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표준화하고 질 관리를 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병원이상 의료기관과 지역적 제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개정 군사법원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군사법원의설립과변천과정그리고군사법제도의발전방향-

        김현주,정승환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7 한국군사학논집 Vol.73 No.3

        군사법제도를 둘러싼 쟁점 중 가장 중요하고도 본질적인 것은 과연 평시에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이 필요한가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군사재판제도는 1948. 7. 5에 공포된 국방경비법에 근거해 수립된 군법회의라 할 수 있다. 국방경비법이 미국의 전시군법전을 거의 번역하다시피 한 것이어서 군법회의도 지휘관 중심의 미국의 체계와 대동소이하였다. 지휘관 중심의 사법체계는 전시와 같은 상황에서 군의 임무달성을 돕는 데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평시에 일반 사법체계와 이념 및 목적 등이 상이한 지휘관중심의 군사법원체계를 적용하여 사건을 해결함으로써 일반 국민들의 범감정과 괴리가 발생했다. 이에 군사법원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여러 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문제는 군사법원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개정이 특별법원으로서의 군사법원의 존치 필요성을 약화시켰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의 개정으로 군사법원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관할관의 확인조치권과 심판관제도가 평시에는 사실상 유명무실화 되었다. 특별법원으로 군사법원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법원과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특별법원의 특성이 거의 없어진 군사법원을 평시에 유지하는 것은 군이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작 전시에 필요한 특별법원으로서의 군사법원의 존재 필요성까지도 부인하게할 우려가 있다. 특히 군사법원에서 재판한 대부분의 사건이 군의 업무와 관련된 사건이 아니라는 점에서 평시 군사법원의 필요성에 대해 더욱 의문을 갖게 된다.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issue in military law is whether courts-martial as peacetime special courts are necessary. The earliest form of military justice system in Republic of Korea was the court-martial established by the Defense Security Law, promulgated on 07. 05. 1948. Similarly to its U.S. counterpart, the system put heavy emphasis on the role and authority of commanders. While the commander-centered justice system may be effective during wartime or in comparably exigent circumstances, its peacetime application has been at substantial odds with the popular legal sentiment, mainly because the military system operates under goals and ideolog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ivilian system. In order to bridge this discrepancy, legislators have enacted a series of amendments aiming to fortify the independence of courts-martial from the influence of the commanders, and thus to make them more akin to civilian courts. These amendments, however, have left in their wake fewer reasons to keep courts-martial as special courts. Especially, the most recent amendment has rendered convening authority review and the examiner system virtually ineffective. As special courts having distinct goals from general courts, courts-martial should accordingly have appropriately distinct features. Maintaining courts-martial without their distinguishing features will raise doubts not just about their peacetime existence, but also about their wartime necessity. That most cases presented to courts-martial during peacetime are not related to the workings of the armed forces will further strengthen such doubts.

      • KCI등재

        자진모리장단 민요의 장구 반주 유형과 적용

        김현주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angdan type of Jajinmori jangdan in textbooks, guidebooks and appendices to guidebooks, diagnose current training conditions, examine the jangdan types of the folk music played by expert performers, and identify the typical types and principles of folk music janggu accompaniment to apply them in the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janggu accompaniements in folk music will not be fixated on a single type but embrace various types of jangdan which will enable for the students to actually listen to the varying jangdan types performed by the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ill more enjoy and take interests in their classes. Moreover, for singing training, which currently takes most relative importance in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will have a concrete basis to work with to compose and suggest musical accompaniments. 본 연구는 교과서나 지도서, 지도서 부록 악보에 나와 있는 자진모리장단의 장단형을 분석하여 현 교육 상황을 진단하고 각 출판사별 지도서 부록 음반의 연주자들과 전문 고수들이 연주하는 민요의 장단형들을 분석하여 민요 장구 반주의 전형적인 유형과 원리를 찾아 교육에 적용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민요의 장구 반주가 하나의 장단형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장단형을 반주해 줌으로써 학생들은 교사가 연주해주는 장단의 실음을 직접 듣고 경험을 통해 수업에 흥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교사는 현 음악교과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창 교육을 위해 음악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반주를 어떻게 구성하고 제시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현주,함경애,천성문,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애착회피차원, 애착불안차원 모두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사는 성인애착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이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인애착은 쉽게 바꿀 수 없는 특성으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애착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서 애착관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 증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관객 경험 분석을 위한 융복합적 연구

        김현주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본 연구는 전시 공간에서 경험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커뮤니케이션학, 미디 어 예술비평, 감성공학 등 사회과학/인문예술/공학의 다학제적이고 융복합적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이들 인접 학문분야의 성숙된 양적/질적/공학적 방법론에 의거해 이제껏 주관적 비평에 의존해 왔던 인 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관객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설계하고, 이를 일련의 유형화된 전시와 작품에 적용 및 평가해 봄으로써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 품 제작과 수용성의 문제를 함께 고찰함으로써 뉴미디어 예술 이론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 다. 이를 위해 그 첫 번째 시도로써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관객 경험을 구체적인 데이터 에 기반한 실증 연구로 진행하였다. 먼저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성과 감각모드의 조건이 다르게 처치된 4가지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을 전시 공간에 설치하고 이를 무작위 순서로 감상하 게 하였다. 실험 과정에서 영상 및 뇌파 로그 등의 데이터를 수집했고 사후 심층 인터뷰와 설문를 진행 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로서 반응성과 감각모드의 차원이 높을수록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선호도 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에 참여한 각 참여자와의 심층 설문 의견을 종합적으로 보 았을 때 작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다양하고 그에 따라 선호의 결과도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다 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반응성과 감각모드에 대한 단순한 처치만으로 이루어진 실험의 한계가 있기에 추가적인 실험 설계와 분석이 필요하다. The study proposes that the interpretive issues around interactive media art in the exhibition context can be studied by interdisciplinary methods combining the areas of art criticism, emotional HCI, and communication research. The user experience of interactive media art has rarely been researched, especially in a quantitative manner, as it is considered to provide a subjective artistic experience to the viewer. The present research approaches the evaluation of the viewer’s experience in bot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nner while also investing in technical methods to record the user experience as quantitative data. By combin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integrative study of the reception of interactive media art ultimately aims to advance the study of new media art. As the first step of this approach,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exhibition space where works were subjected to four different conditions based on responsiveness and sensual modality. User experience data was collected by surveys, video recording and brainwave data logging and by qualita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responsiveness and sensual modality have positive effects when evaluating interactive art works.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asons for preferring a certain type of interactive media art vary greatly among individuals. This is an area requiring additional experimental planning and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