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리브리핑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불안,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김현주,김건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불안,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실험군(n=49)은 구조화된 프리브리핑을 제공받았고 대조군(n=51)은 시뮬레이션 구동 전 시나리오와 관련된 간호과정, 토론 및 역할극 등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불안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t=1.09, p=.070), 실습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3.75, p=.<001). 또한 임상수행능력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5.83, p=.<001).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mulation exercises before the briefing given fre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act on anxiety, satisfac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imulation lab students have been attempted to provide evidence for future design and simulation teaching programs apply. The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inequality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design students enrolled in Grade 4 and P University Nursing. The experimental group (n=49) who received structured pre-briefing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5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simula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clin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5.83, p=.<001). In conclusion, the pre-briefing education given before the simulation practic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reinforce the positiv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급성 골다공증성 흉추압박골절 환자에서 동반된 늑골 침범의 임상적 의의
김현주,김재현,권귀향,최득린,배원경,구동억,서유성,손인숙,황한성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6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adjacent rib involvement in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ll the patients with acute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of the thoracic spine on thoracic spine MRI that presented to our clinic between September 2003 and January 201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the vertebra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that showed signal-intensity change in the rib adjacent to the compression fracture and those that did not.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to determin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osteoporosis, the compression fracture level and the age of patients between the two groups. We calculated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MRI and the bone scan images of these patients. We also reviewed wheth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relieved symptoms or not. Results: Signal-intensity changes were found in the adjacent rib(s) in 12 of the 60 patients and in 14 of the 94 levels (the total number of levels). The MRI and bone sca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ain at the one-month outpatient follow-up between the two groups (p = 0.0215). Conclusion: The radiologist should commen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djacent rib involvement when reporting on the thoracic spine MRI of patients suffering from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prognosis. 목적: 급성 골다공증성 흉추압박골절 환자에서 동반된 늑골 침범 여부가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척추성형술 후의 지속적 통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본원에서 흉추의 급성 골다공증성 압박골절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압박골절만 있는 비침범군과 침범 척추 주위 늑골에 신호 강도 변화가 있는 군으로 분류하여 골밀도 수치, 침범 척추 부위 및 환자의 나이 등을 비교하였다. 뼈 스캔 검사와 MR 영상검사의 결과도 비교하였다. 대상 환자들 중 경피적 척추성형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두 군 간에 시술 후 추적검사에서 압박골절 부위의 통증 지속 여부가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60명의 환자들 중 94개에서 흉추압박골절이 있었고 이 중 12명, 14개에서 인접 늑골의 침범 소견을 보였다. 뼈 스캔과 MRI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01). 전체 대상 환자 중 경피적 척추성형술을 시행한 환자의 시술 1개월 후 외래 추적검사에서 두 군 간의 통증 지속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 = 0.0215). 결론: 급성 흉추압박골절 환자 중 인접 늑골에 신호 강도 변화가 동반되었을 경우에는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영상의학과 의사는 MR 영상 판독시 주위 늑골에 신호 강도 변화 여부를 언급하여야 한다.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효능감 및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효과
김현주,박재황 한국현실치료학회 2015 현실치료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효능감 및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24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실험집단에게 매주 2회씩 120분간 총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 그램 시행 전에 사전검사를 시행하고 프로그램 시행 후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리고 프로그램 종료 한 달 후 추후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척도, 부모효능감 척도, 내?외통제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효과검증을 위하여 t 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부모의 의사 소통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점수가 유의하게 증진되었다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이 부모의 부모효능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부 모효능감 점수가 유의하게 증진되었다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 담이 부모의 내?외 통제성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내부통제성 점수가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통제성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외부통제성 점수가 유의하 게 감소되었다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실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 이 의사소통, 부모효능감, 부모의 내부통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창조와 타락』을 통해 본 본회퍼의 공동체적 인간 이해
김현주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6 No.-
This article argues that Dietrich Bonhoeffer suggested a new Christian anthropological paradigm by shifting the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individual to the communal level of discussion through his exegesis of the creation and fall account in Genesis. In Bonhoeffer’s time, people’s solid belief in human reason and progress governed most German theological circles. In contrast, Bonhoeffer turned to theological exegesis and applied a communal aspect of the human being, which had been ignored for a long time in Christian theology, to the creation and fall story. Whereas traditional theology focused on the creation and fall story of Adam as an individual and as the main subject, Bonhoeffer considered the community of Adam and Eve the subject of the account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 based on his Lutheran Christocentrism and communal perspective. His communal approach was suggested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Sanctorum Communio, in which he closely bound the notion of Christ and the church community. Bonhoeffer’s exegesis of the creation and fall expanded the scope of anthropology and opened a way to embrace all human beings as the primary subjects of the creation and fall account in which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are embedded. Bonhoeffer’s interpretation contains invaluable insights for twenty- first-century Christians. First, he expanded the anthropological scope through his communal approach. Second, he suggested a way to include all human beings, represented by Adam and Eve, as the primary subjects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 narrative. Finally, h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iewing all creatures as related through the divine drama of the creation, fall, and new creation.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가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주해를 통해 개인적인 수준의 창조와 타락의 논의로부터 사회공동체적 논의로 전환함으로써 기독교 인간론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이성과 진보에 대한 공고한 믿음은 본회퍼가 활동했던 20세기의 독일 신학계에 팽배했다. 그 시대의 신학적 풍토와는 대비되게, 본회퍼는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를 “신학적 해석”(theological exegesis)이라는 그리스도 중심적 방법론을통해 오랫동안 기독교 신학에서 간과되어 왔던 “공동체적 인간”이라는 면을심도 있게 고찰한다. 기존 서방 신학이 아담을 창세기의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의주체로서 고찰했다면 본회퍼는 루터교적 그리스도 중심론(Christo-centrism)과공동체적 관점(communal perspective)을 통해 첫 인류인 아담과 하와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창세기의 창조, 타락 그리고 새로운 창조라는 이야기의 중심 주체로 삼는다. 이러한 본회퍼의 신학적 접근은 이미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성도의 교제 에서 제시되었다. 성도의 교제 에서 본회퍼는 그리스도와 교회공동체를 아주 밀접하고 연결시키면서 교회공동체 중심의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 본회퍼의 창세기 해석은 기독교 인간론의 폭을 넓혔고 창조와 타락의 성서이야기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인간의 특질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신학적 기초를 제시했다. 본회퍼의 창세기 주해가 현 21세기 교회와 성도에게 주는통찰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 중심의 인간 이해에서 공동체 중심의 이야기로 해석의 패러다임을 확장했다. 둘째로 아담과 하와로 대표되는 인류 전체를하나님의 창조와 타락 그리고 새 창조의 주체로 인식할 수 있는 신학적 틀을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조, 타락 그리고 새 창조라는 구원의 드라마를 인간뿐 아니라 다른 피조 세계까지 창조 공동체로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