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김현정(Kim, Hounjou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1 No.2

        현재 한국에는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체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근로관계에서 기본권 구제라는 문제가 생겨나기도 한다. 현재 한국의 기본권 보장 체계는 국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권 보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의 관점에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권 보장 문제를 탐구해 보았다. 인간의 존엄성은 모든 기본권 보장의 목적이며, 헌법의 가장 중요한 원리이기도 하고 때로 그 자체가 기본권을 인정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인간 존엄성은 인간은 그 자체로 목적이기에 그를 수단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요청한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권 보장 또한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은 적절히 고려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본권 주체로서의 측면에서나 기본권 심사 단계 모두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기본권은 종종 정책적 목적의 후순위에 놓이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has sharply increased since the 1990s. Problems arise from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s regarding their fundamental rights. As Korean Constitution focuses on its citizens and their fundamental rights, it is worth to review how fundamental rights of foreign workers are being guaranteed. This article analyzes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dignity to deal with the fundamental rights of foreign workers. Human dign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 in the Constitution and is the goal of all the fundamental rights. Human dignity asks us not to treat a human being as an instrument for other purposes, as he or she should be the purpose himself or herself. In man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ases, however, human dignity of foreign workers was not properly considered. On the subjectivity of the fundamental rights issues and when reviewing the restriction on fundamental right, human dignity of foreign workers seems to be easily neglected.

      • KCI등재

        이주 2세의 강제퇴거와 기본적 인권 : 유럽인권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김현정(Kim, Hounjou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31 No.2

        이 논문에서는 이주 2세의 강제퇴거 사안을 기본적 인권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해당 문제를 다루는 유럽인권법원의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유럽인권법원은 강제퇴거의 문제를 유럽인권협약 제8조가 보장하는 가족생활 및 사생활을 존중 받을 권리에 대한 개입이 될 수 있다고 보아 동 협약 위반 여부를 심사한다. 가족생활 뿐 아니라 사생활까지 권리 영역에 포함시킴으로써, 기본적 인권 보장의 범위가 더 넓어지게 된다. 개입이 인정되면 그것이 정당한 목적을 위하여 법률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조치로서, 민주사회에서 필요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특히 민주사회에서 필요한 조치였는지 검토하는 과정이 유럽인권협약 제8조 위반 여부를 결정하는 데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유럽인권법원은 판례를 통하여 강제퇴거 사안에서 이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기준들이 이주 2세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거주국에서의 유대관계 등 기준을 통하여 이주 2세의 특성이 유럽인권법원의 심사 과정에 반영될 수 있다. 다만 유럽인권법원의 판례는 일관성을 결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체류 자격과 강제퇴거와의 관계 등 면에서도 더 많은 고찰을 요한다. In this article, expulsion cases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ereinafter: the Court) are reviewed in order to study the cases of expulsion of the second generation migrants from the perspectiv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Court considers that the expulsion order against a migrant can be an interference with her right under Article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which is the right to respect for one’s private and family life. By acknowledging that the expulsion of a person might curtail not only her family life but also her private life, it broadens the scope and possibility of protecting fundamental human rights. When there is an interference with such rights, the Court will determine whether it pursues a legitimate aim, is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is necessary in a democratic society. The Court has introduced certain criteria used in the expulsion cases. They are not limited to the cases of the second generation migrants,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generation migrants can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the Court’s reasoning through some of these criteria such as the ties a person has with the host country. However the Court’s case law is also criticized for lacking consistenc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other subjects like the relation between an migrant’s residence status and the expulsion order.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당시 다문화가족의 개념에 관한 논의와 그 한계

        김현정 ( Hounjoung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論集 Vol.26 No.2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한 지원대상을 확정하는 중요한 개념인 다문화가족 개념에 관한 논의가 법 제정 과정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입법 과정에서 다문화가족은 이주민가족과 같은 용어에 비하여 더 포용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으나, 다문화가족의 범위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다문화가족은 합법적 체류자격을 요건으로 하고 한국인을 반드시 포함하는 가족으로 그 범위가 좁혀졌다. 「다문화가족지원법」은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문화를 반영하기보다는 한국인의 가족을 지원하는 법이 되었고, 다문화가족이 좁게 정의되면서 여기에서 배제되는 이주자들의 가족에 대한 차별과 인권 측면에서의 문제도 발생한다. 반대로 다문화가족이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하는 협소한 범주가 되면서 ‘다문화가족’은 처음 의도와 달리 차별적인 용어로 변질되어 사용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특정 집단을 좁게 범주화하여 지원하는 방식의 적실성을 재고해 보고, 범주화가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다문화가족의 범위 또는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한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등의 방식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plores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process of enact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The concept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ciding the target for support by the Act. During the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ter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een to be more inclusive or accepting than the term immigrant families.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the scope of the the term, however, it was narrowed down to a concept that requires inclusion of a Korean member in the family and migrants’ staying legal in Korea.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supports a family of a Korean national rather than to reflect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of members of the society, and problems arise from the perspectives of discrimination against and human rights of families of migrants that are excluded from the ter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other hand, as the term mainly focuses on marriage migrants it is now often used in a discriminatory way unlike the legislature’s intention. It is worthwhile to reconsider the current way of narrowly categorizing certain group of people to support, or to expand the scope of multicultural families or the target of the support by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 KCI등재

        국적 상실에 대한 유럽인권법원 판례와 시사점

        김현정(Kim, Hounjoung),최윤철(Choi, Yooncheol)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2

        국적에 관한 제도는 기본적으로 한 국가의 법을 통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의 권한에 제한이 없는 것은 아니며, 특히 이미 보유하고 있는 국적을 잃게 하는 경우라면 기본권 보장의 관점에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될 것이다. 입법 경향상 이러한 사례는 이주와 관련하여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글에서는 당사자의 의사에 반하여 그의 국적을 잃게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권리와 심사기준, 고려할 사항 등에 있어서 참고할만한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비교적 많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유럽인권법원의 판례를 검토하였다. 유럽인권법원은 국적 상실의 문제를 가족생활 및 사생활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는 유럽인권협약 제8조의 문제로 다룬다. 비교적 최근의 사례에서는 사생활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 개인의 정체성과 일상생활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사 기준 면에서는 대체로 일반적인 사안과 달리 조치의 자의성과 조치로 인한 결과를 검토한다. 다만 그 기준이 국적 상실 사례들 내에서도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처럼 유럽인권법원의 판례에는 그 나름의 문제가 있으나, 한국의 제도를 검토함에 있어 참고 자료도 제공한다. 국적의 문제를 국내 체류의 문제로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의 사회적 관계들이나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국의 재량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제도 설계도 필요하다. 나아가 무국적 상황에 처할 가능성, 조치의 신속성과 성실성, 자녀 등 가족에 대한 영향과 같은 요소가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legal system of nationality is basically determined through the laws of each state. There are certain restrictions on the legislative authority. Moreover if a state revokes a person’s nationality which she or he already acquired,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In this articl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ereinafter: the Court) cases on loss of nationality are reviewed regarding issues such as which of the fundamental rights or human rights provisions can be applied,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and other aspects to be considered. The Court deals with loss of nationality cases under Article 8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respect for one’s private and family life. A recent case seems to focus on the private life part of the provision and to make a comprehensive review including elements such as a person’s social identity and her everyday life. In terms of the standard of review, the Court examines the consequences of the measure and whether the measure was arbitrary, but different approaches exist even when the Court reviews loss of nationality cases following the standard of arbitrariness and consequences. This lack of coherence is criticized to cause confusion. The case law of the Court has its own problems, but it provides some reference materials to examine related institutions of Korea. It is desirable not to limit the issue of nationality to that of residence, and to understand that the issue of nationality comprehensively affects the social relationships of daily life and personality formation etc. It is also necessary to design a system that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discretion of the author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factors such as statelessness, whether authorities acted diligently and swiftly, and the influence on families and children can be fully consider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이 겪는 가족생활의 문제와 권리 보호

        김현정 ( Kim Hounjou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4 No.4

        This paper examines problem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face in their family lives and their constitutional right to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proceeds to analyze current legislation dealing with marriage migrant women. Many marriage migrant women suffer from many problems which arise in diverse situations such as parenting, being required unilateral assimilation, and domestic violence.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enjoy marriage and family life on the basis of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of the sexe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ence policy dealing with them should not be gender discriminative nor violate their dignity, and it is the obligation of the state to protect them from domestic violence. Under current legislation, however, the legal status of a marriage migrant woman like acquisition of nationality and status of her stay depends largely on her Korean husband. Legal system to support marriage migrant women’s adaption to Korean society also requires them to perform gender roles as a precondition for the benefits. Legal protection against domestic violence is not enough to guarantee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Current legislation on marriage migrant women which still reflect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foreigners needs fundamental changes.

      • KCI등재

        코로나19와 이주사회를 위한 입법

        박효민 ( Park¸ Hyomin ),김현정 ( Kim¸ Hounjoung ),최윤철 ( Choi¸ Yooncheol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49

        유례없는 코로나19 재난으로 인해 전세계가 고통을 받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이주민은 많은 사회에서 약자이며, 이로 인해 더 많은 위험과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인간의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의료, 직업, 교육의 측면에 이주민이 처한 현실은 매우 어렵다는 점이 여러 실증적 자료로부터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한국사회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주민에 대한 불균등한 재난의 영향에 주목하고, 이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들을 살펴본다. 많은 국가에서 이주민은 코로나19 감염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어 있었으며, 노동 이주를 위한 입·출국과 실업률 면에서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이주민 자녀들의 인터넷 접근성이 비교적 떨어짐에 따라 비대면 교육 과정에서 교육기회의 불균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한국의 입법체계는 국적을 가진 국민을 중심으로 하므로 재난상황에서 이주민에 대한 배려와 포용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코로나19 이후 여러 시행착오와 구체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어느 정도 정책적 대처가 있었으나, 여전히 정책의 사각지대가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코로나19 재난상황에서 외국인의 상황에 비추어 공정한 회복(just recovery)를 위한 외국인 관련 입법과 정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While the world is suffering from the unprecedented COVID-19 disaster, migrants,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in many societies, face with more risks and difficulties. In particular, various empirical data show that migrants are very difficult in the aspects of medical care, occupation, and education,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human lif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pact of unequal disasters on migrants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ternationally, and examines several indicators that show the phenomena. In many countries, migrants have been exposed to relatively high levels of COVID-19 infection, showing vulnerability in term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employment. In addition, in many countries, it appears that children of migrants are experiencing un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process as their Internet access is relatively low. On the other hand, Korea’s legislative system is centered only on the people who has nationality, so consideration for migrants in disaster situations is relatively insufficient. After COVID-19, there have been some policy responses in the face of trial and error and specific problems, but there are still blind spots in the policy. In this paper, we discussed legislation and policies related to foreigners for just recovery in light of the situation of foreigners in the current COVID-19 disaster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