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자 교육정책 : 2000년대 장애자복지정책의 방향

        김현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8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53 No.-

        This paper purports to present an educational polic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 in Korea. The paper was initially presented 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orkshop, wher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on the national policy for the welfare of the handicapped citizens was dealt with on December 19~20, 1987. The initial models of policies are to be implemented into the national policy for the handicapped citizens in the year 2000.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youth in Korea was projected on the basis of three areas of information: first, the issues of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andicapped school-aged population; second, the issues of the educational methods applicable to the different age groups based on the educational policy stated in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1979.1.1) ; and third, the issues of the fiscal planning to implement the policy. The paper based its projection in the areas of the handicapped school-aged population as well as the fiscal budget on the basis of documents and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national policy of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should build its foundation on the humanistic acclamation of the constitution(article 9) : All citizens are guaranteed with the fundamental dignity and respect and have the basic right to achieve happiness. The government has the solemn duty and responsibility to preserve each individual's inviolable basic human rights. Special Education, therefore, must aim to enrich the life circumstances of the handicapped citizens and to cultivate their productive skills and knowledge in order to guarantee their self respect and self reliance to the fullest.

      • KCI등재후보

        임신부의 임신개월 수에 따른 체형변화와 특징( I )

        김현순 대한미용학회 2014 대한미용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regnant women bodies around pregnant month, whose month undergoes physicalalterations on their body shapes, and to reveal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measurements. Thirtyone women from three to fifth month were measured using Martin’s anthropometric instrument on 49 items. The measures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statistical analyses used in this study was SPSS.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follows. The items which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were bust width, under bust width, bust depth under bust depth, sittingwaist depth, sitting omphalion depth, bust girth, under bust girth, waist girth, sitting waist girth, sitting omphalion girth. The anterior part of waist and abdominal sections projected forward gradually, so remarkably as to become to look like around, at fifth month. Pregnant women change special alteration, which is depends on period of the pregnancy in physicalphase. The early period of pregnancy, which is from first month to 3 months, do not show significant alteration. However,pregnant woman’s body has been changed in the half period of pregnancy, which is from 4 to 5 months. Accordingly,management of Maternity has been increased after 5 months period of pregnancy, which period reveals information aboutphysical alteration of pregnant woman’s body shape. 임신부의 임신개월 수별 신체변화에 따른 체형특성을 임신 3개월부터 임신 5개월까지의 임신전반기 초임부를 대상으로 인체 측정하여 임신부 체형변화와 특성을 분석하고제시하였다. 임신 3개월부터 임신 5개월까지의 임신부는 임신에 의한생리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 시기의 임신부가 경험하는 체형변화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높이항목 중 젖가슴아래높이, 앞허리높이, 배꼽높이, 복부높이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났으며, 너비항목은 젖가슴너비, 젖가슴아래너비, 허리너비, 복부너비 항목에서 유의한증가가 나타났다. 두께항목은 젖가슴두께, 젖가슴아래두께,허리두께, 앉은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복부두께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둘레항목은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둘레, 앉은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복부둘레, 엉덩이둘레, 앞허리호, 복부호, 엉덩이호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길이항목은 등길이와 샅위앞뒤길이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특히, 임신 4개월에 젖가슴너비, 젖가슴아래너비, 젖가슴두께, 젖가슴아래두께, 앉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복부둘레,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임신 5개월에는허리두께, 앉은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둘레, 앉은허리둘레 항목에서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임신에 따른 체형의 변화로 젖가슴, 허리, 복부부위의 임신에 의한 전반적인 비만화의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젖가슴 부위의 현저한증가는 임신 개월 수 경과에 따른 유방크기의 증가와 체중증가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임신 5개월에 두께와둘레 항목에서 항목 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임신의 경과에 따른 태아의 성장에 의한 모체의 변화로 젖가슴, 허리, 배 부위의 돌출은 임신 5개월부터 체형의 후신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 KCI등재
      • KCI등재

        External photoglottography, intra-oral air pressure, airflow and acoustic data on the Korean fricatives /s’, s/

        김현순,신지마이다,기요시혼다,Lise Crevier-Buchman 한국음성학회 202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4 No.3

        From simultaneous recordings of the external photoglottography, intra-oral air pressure (Pio), airflow and acoustic data from four native Seoul Korean speakers (2 male and 2 female), we have found that the two fricativ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lottal opening peak and airflow peak height either word-initially or word-medially and that the duration of aspir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n word-medial /s/, compared to those in word-initial /s/, not in /s’/. We have also found that the duration of a high Pio plateau is significantly longer in /s/ than in /s’/ both word-initially and word-medially and that airflow resistance (R=Pio/U) at the onset and offset of a Pio plateau and at the time of airflow peak height is significantly higher in /s’/ than in /s/ across the contexts. However, the differences in Pio peak and F0 a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ransition time to reach airflow peak height from the offset of a Pio plateau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nger in /s/ than /s’/ in both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ottal opening peak and airflow peak height confirm that /s/ is specified as [–spread glottis] like /s’/. As for th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 propose that /s/ is [– tense], and /s’/ [+tense].

      • SCIE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김현순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to depression. To do this, latent growth modeling was adapted to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ime passed. Second, adolescents whose academic stress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of self esteem. Adolescents whose self esteem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of depression. And adolescents whose academic stress was high represented increase of depression. Third, adolescents whose growth rates of academic stress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rates of self esteem. Adolescents whose growth rates of self esteem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rates of depression. And adolescents whose growth rates of academic stress was high represented decline rates of depression. These results supported the longitudinal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to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1차 년도부터 5차 년도까지의 자료를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5년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의 변화양상과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년 동안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리고 우울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1차 년도에 측정한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동일한 시기의 자아존중감은 더 낮은 반면, 우울은 더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차 년도부터 5차 년도까지 5년간 학업스트레스가 급격하게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더 빠르게 감소하고 우울은 더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이 급격하게 감소할수록 우울은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율은 우울 변화율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아존중감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우울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접적인 노력뿐 아니라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개입도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김현순,김병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살생각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것들이 노인자살생각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역할과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65세 이상의 노인 183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스트레스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노인우울척도, 자살생각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경로분석을 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경제상태와 건강상태였다. 둘째, 자살생각과 상관이 높은 변인은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경제상태 순이었다. 스트레스와 우울은 자살생각과 정적 상관을, 경제상태와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경제상태는 우울을 매개하여, 건강상태는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또한 우울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생각의 매개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ajor factors that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183 men and women over 65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Kyunggi-Do. The subjects completed socio-demographic factors questionnaire, Stress scale, Self-Esteem Scale, Depression Scale and Suicidal ideation Scale. To estimate the relative effects of each variables on suicidal ideation, a path analysi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2) The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ress and depression while negatively related to self-esteem,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3) Depression and self esteem mediated the process of developing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