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 설계

        김한호,탁해성,조환규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6

        The Smart Grid predict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renewable energy and enables efficient power generation and consumption. Existing PV power generation prediction studies have rarely applied and compared recurrent neural network techniques that are superior to time series. Furthermore, in the reported studie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past data used for learning, leading to lowered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In this study, we used the embedded variable selection technique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PV power generation. Subsequentl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sert various past data length into the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 LSTM, GRU). We found the optimal prediction factors and designed a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experiments. The designed PV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hows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factor settings. In addition, better performance based on the prediction rate is confirmed in the present study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es. 스마트그리드는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전력 생산과 소비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들은 시계열에 뛰어난 순환신경망 기법들을 적용 및 비교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학습에 사용되는 과거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고려가 없어 모델의 예측 성능이 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변수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시계열 순환신경망 기법들(RNN, LSTM. GRU)에 다양한 과거 데이터 길이를 넣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예측 요인들을 찾고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은 다른 변수 설정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더욱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결과가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과학수업모형들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분석

        김한호 한국과학교육학회 199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teaching models: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CCTM), Generative Learning Model(GLM), Learning Cycle Model(LCM), Hypothesis-Testing Model(HTM), and Discovery Teaching Model(DTM). Using literature review, the mode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several aspects;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bases, primary goals and assumptions, syntax, implementation environments, and probable effect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1. Science teaching models had been diverse features. In the comparisons of science teaching models, som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founded. These were different in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emphasis. 2. CCTM and GLM resemble each other in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bases, primary goals and main assumptions, implementation environments, and probable effects. 3. LCM and HTM showed similarities in philosophical bases, syntax, and implementation environments. But differences were founded in other asp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iverse features of science teaching models should be considered in choosing a model for science teaching.

      • 미국 농업환경정책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김한호 GS&J 인스티튜트 2018 시선집중 GSnJ Vol.- No.253

        ○ 미국 농업환경정책은 1930년대 더스트 보울(Dust Bowl) 지역의 연이은 모래폭풍(Dust Storm)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토양보존(Soil Conservation) 정책 중심으로 출발하였다. ○ 그러나 주요 농산물의 공급과잉 문제가 대두되면서 환경정책인 보존정책은 농산물 생산조절 정책에 종속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1960년대까지 지속된다. ○ 1970년대에 과잉생산이 완화되면서 농업환경정책 사업도 축소되었으나 사회일반의 환경문제 의식은 고조되어 환경보호청(EPA)이 설치되고, 농업의 환경보전에 대한 책임이 강조되어 수질오염 방지, 농촌경관 보존, 농업의 점원·비점원 오염원 방지대책이 부각되었다. ○ 1985년 농업법에서 농업환경정책이 수급조정 정책에서 분리되어 순수한 환경보존 목적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하고, ‘보존유보제도’, ‘습지유보제도’를 도입하여 농지와 습지를 정부가 농민으로부터 일정기간 임차하여 보존목적을 위해 농업생산에서 격리하였다. ○ 1985년 농업법은 고도침식지, 습지 등에 대해 ‘보존준수조건’(compliance)을 부과하고 이를 위반할 때는 각종 정부지원정책에서 배제되도록 하여 친환경적 활동을 강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990년대에는 개별 농지보다는 경관, 유역(流域; watersheds), 생태계 등과 같은 자연계를 대상으로 하는 보존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울러 환경질개선제도(EQIP)를 도입하여 분산되었던 다양한 보존제도를 통합·일원화함으로 보존제도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 2000년대에는 종래의 휴경을 통한 토양보전에서 ‘생산병행보존’(Working Lands Conservation) 방식 중심으로 전환하고, 2014년 농업법에서는 그간 도입된 사업을 통폐합하고 광역화하는 개혁을 단행하였다. ○ 미국 농무부(USDA) 산하 자연자원보존청(NRCS)과 농업서비스청(FSA)은 현재 약 20여개의 농업환경관련 보존사업을 시행중이며, 예산은 64억 달러 수준으로 품목지원사업 예산보다 많고, 그 대부분이 농업법 규정에 따른 다년간 의무지출(mandatory spending) 형태이다.

      • KCI등재

        진공포장 정어리 조미건제품의 제조 및 품질안정성

        김한호,이응호,진수,이진경,오광수,권칠성 한국수산학회 198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9 No.1

        일시다획성 적색육어류인 정어리를 원료로 상온유통이 가능하며 즉석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진공포장 정어리조미건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및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가공조건은 머리, 내장을 제거한 정어리를 95℃, 10분간 증자한 후 필레를 만들어 솔비톨 28%, 설탕 14%, 식염 5.6%, 글루탐산나트륨 1.8%, 마늘가루 0.6% 및 물 50% 로 된 조미액에서 5℃, 15시간 조미한 다음, 다시 10% Smoke-EZ 훈액에 45초간 침지처리하여 이것을 45℃에서 4시간 열풍건조시킨 후 적층플라스틱필름주머니(polyester/casted polypropylene=12㎛/70㎛, 15×16㎝)에 90∼100g씩 충전, 진공포장한 후 95℃에서 30분간 열탕살균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제품S), 또 조미액에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한 제품(제품E)도 대조제품(제품C)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및 pH는 전제품 모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휘발성 염기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제품의 지방산조성은 원료 정어리의 조성비와 거의 비슷하여 20:5 및 22:6산을 주체로 하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41.1%∼43.3%로 상당히 높았으며, 16:0, 20:5, 18:1 및 22:6산 등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다. 저장 중 20:5산의 조성비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훈액처리제품(S)이나 sodium erythorbate첨가 제품(E)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보존효과가 좋았다. TBA값 및 과산화물값은 제품(E) 및 (S)의 경우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제품(C)에 비해 훨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지방산패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색조는 저장 중 전제품 모두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a 및 b값)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중 제품의 생균수는 음성이었고, 히스타민함량은 전제품이 2.0㎎/100g 이하로 식품위생상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제품의 텍스튜어, 즉 경도, 탄성 및 응집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관능검사 결과 훈액처리제품(S)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점을 얻었으며, 전제품 모두 저장 40일째까지는 제품의 품질저하는 없었다. As one of trials to process instant sardine foods which can be preserved at room temperature, three kinds of products were prepared as seasoned-dried product (control, C), liquid smoked seasoned-dried product(S) and antioxidant treated seasoned-dried product(E), and their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were examined. Raw sardines were dressed, steamed and then filleted. The sardine fillets were seasoned with the mixed seasoning solution containing 28.0% of sorbitol, 14.0% of sugar, 5.6% of table salt, 1.8% of monosodium glutamate, 0.6% of garlic powder and 50.0% of water at 5℃ for 15 hours, and dipped for 45 seconds in 10% Smoke-EZ solution. After liquid smoking, the seasoned and liquid smoked sardine fillets were dried at 45℃ for 4 hours, vacuum packed in laminated plastic film bag(polyester/ casted polypropylene=12㎛/70㎛, 15×16㎝), and finally pasteurized in water at 95℃ for 30 minutes. The results obtained from chemical and microbial experiments during storage are as follows: the moisture contents, water activity and pH of the products showed little change, and VBN of them slightly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TBA value and POV of the products (E, 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roduct(C) considerably. In color values, L value (linghtness) decreased while a and b value (red and yellow)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during storag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ducts were similar to those of raw sardine, the predominant fatty acids were 16:0, 20:5, 18:1 and 22:6. The products (E, S) have a good preservative effect on highly unsturated fatty acids during storage. Viable cell counts of those products were negative and histamine contents were less than 2.0㎎/100g. Among the texture profiles, hardness, elasticity and cohesiveness of the products slightly decreased during storage. Judging from the sensory evaluations, liquid smoked seasoned-dried product(S) was the most desirable, and the products could be preserved in good condition for 40 days at 25±3℃.

      • [농가소득 안정제도 시리즈 8] 미국의 새로운 농가소득지원제도

        김한호,임정빈 GS&J 인스티튜트 2008 시선집중 GSnJ Vol.- No.68

        ○ 2008년 농업법은 행정부의 반대, 시장지향적 교역질서 증진에 역행한다는WTO 회원국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농가소득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졌다. ○ 먼저, 가격보전직불(CCP)대상에 4개 품목이, 유통지원융자대상에 1개 품목이 추가되고, 이제까지 지원대상이 아니었던 과일, 채소, 유기농산물 생산농가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었다. ○ 둘째, 유통지원제도의 보장가격이 6개 품목에 대해, 가격보전직불(CCP)의 목표가격이 6개 품목에 대해 인상되었고, 가격뿐만 아니라 단수가 감소하여 목표수입에 미달하는 경우 그 차액을 보전하는 수입보전직불제도(ACRE)가 신설되었다. ○ 그러나 고정직불제의 실질적 지급상한을 8만 달러에서 4만 달러로 축소하고 가격보전직불(CCP)의 실질적 지급상한도 13만 달러에서 6만 5,000달러로 축소하여 일부 대농에 지원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 또한 농업소득이 75만 달러 이상인 부농과 10에이커 이하의 취미농은 고정직불, 가격보전직불(CCP), 수입보전직불(ACRE) 대상에서 제외하고, 농외소득이 50만 달러 이상이면 고정직불, 가격보전직불(CCP), 수입보전직불(ACRE), 유통지원융자대상에서 제외하여 지급대상을 엄격히 제한하였다. ○ 2008년 농업법을 통해 가장 무역왜곡적 보조라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유통융자지원제도의 보장가격 인상, 가격보전직불제도의 목표가격 인상 등 오히려 보호농정이 강화됨으로써 WTO/DDA 농업협상에서 미국의 입지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 WTO와 FTA를 통한 무역자유화 물결 속에 우리나라도 농가소득안정과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미국과 같이 농가소득지원제도를 확충하고, 특히 기상이변과 가축질병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의 소득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미국과 같은 농업재해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 미국 농업법 2014, 소득안전망 대폭 강화

        김한호 GS&J 인스티튜트 2014 시선집중 GSnJ Vol.- No.174

        ○ 미국은 재정적자 감축이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고,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여 농가경제가 유례 드문 호황을 누리는 상황에서 농업재정 지출을 대폭 감축하는 개혁에 대한 요구가 컸다. ○ 그러나 비슷한 상황에서 시도되었던 1996년 농업법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농가소득 안정기능이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도 강하여 2008년 농업법의 시한을 1년이나 넘기는 진통을 겪었으나 예산 감축폭은 당초 예상했던 수준에 훨씬 못 미쳤다. ○ 가격이나 작황과 관계없이 지급되는 고정직접지불은 폐지하였으나 가격 하락이나 단수 감소에 의한 농가의 실제 손실을 보전하는 농가의 소득 안전망은 더욱 강화되었다. ○ 2008년 농업법의 가격하락대응직불인 CCP와 수입보전직불인 ACRE는 폐지되었으나 새로운 가격손실보상제도(PLC)와 농업수입보상제도(ARC)가 도입되어 가격 또는 수입을 보전하는 기본 방향에는 변화가 없었고, 농가 단위로 수입을 보전하는 제도(농가단위 ARC)가 도입되어 농가의 선택지는 늘어났다. ○ 2008년 농업법의 목표가격에 상당하는 참조가격(reference price)이 땅콩을 제외하면 2008년 농업법의 목표가격보다 적게는 32%, 많게는 121%나 인상되었고, 보전금 한도가 2008년 농업법보다 사실상 확대되었다. ○ 수입보상제도(ARC)의 기준수입을 산정할 때 직전 5년간의 전국 평균가격을 이용하도록 하여 최근의 높은 시장가격이 보전의 기준이 되도록 하였고, 이 가격이 참조가격보다 낮은 경우에는 참조가격을 사용하도록 하여 기준수입이 항상 대폭 인상된 참조가격 이상에서 결정되도록 하였다. ○ 농가경제 안정이 보험제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방향을 설정하고, 예산을 10년간 57억 달러 증액하였고, 기존의 보험제도가 보상하지 않는 부분까지 보전하는 추가적 보험제도(SCO)를 도입하여 보험에 의한 소득안정 기능이 확장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