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직내 경력만족 결정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김학실,심준섭,문미경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3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female public officials who have to balance work with family responsibilities despite a large amount of research on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This study compar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determinants of career satisfaction between female and male public officials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discrimination in organization, career planning, 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had different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The results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to policies for promoting women’s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in public organizations. 경력몰입과 경력만족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직장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이중부담 속에 놓여있는 여성 공무원들의 경력몰입이나 경력만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연구관심사가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남녀 공무원의 경력만족 결정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여성 공무원의 경력개발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자료의 분석결과, 직장내 성차별을 제외한 경력계획, 집단적 조직문화, 경력개발 프로그램, 경력몰입, 경력만족 요인들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 응답자들에 비해 높은 응답을 보였다. 또한 여성 응답자들은 공직사회 내에 성별에 따라 주요 보직과 승진에서 차이가 있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만족 결정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 공무원 집단 간에는 경력계획, 집단적 조직문화, 경력개발 프로그램, 직장내 성차별이 경력몰입을 매개로 경력만족에 미치는 효과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여성 공무원의 경력개발과 경력만족 제고를 위한 중요한 정책적 제언들을 도출하였다.

      • 충북 농촌여성결혼 이민자 지원방안

        김학실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충청북도 농촌 여성결혼 이민자 정착 지원방안에 관한 것이다. 매년 충청북도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이 다양화 되고 있지 못한 가운데 사회적응 및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경제활동을 원하고 있으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언어교육에 치중하고 있어 여성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제활동욕구를 분석하고, 충청북도의 지원정책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착 지원방안으로써 생애주기를 고려한 정부지원, 장기적 관점에서의 영농후계자로 양성하기 위한 방안마련, 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지원금 지원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원봉사자 만족도 및 참여 지속성에 관한 연구- 직접 경제적 보상, 간접혜택, 사회적 인정을 중심으로 -

        김학실,최용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direct economic, indirect compensation, emotional - social support), satisfaction, and persistent motivatio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it has been analyzed that recognition and reward of volunteer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volunteer service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at kind of recognition and reward affects specifically. This study differentiated the types of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nd then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n satisfaction and sustainabilit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irect economic rewards and recognition have a significant but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Second, indirect benefits are positively (+) but not significant. Third, emotional suppor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Fourth, Satisfaction and Sustainability have a positive (+) relationship.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정과 보상(직접적 물질적 보상, 간접적 혜택, 정서적 지원), 만족도, 지속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원봉사활동의 인정·보상이 자원봉사활동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어 왔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인정·보상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인정과 보상의 유형을 구분한 후, 어떤 유형이 만족도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자원봉사의 가치를 증진하고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인정·보상에 있어 직접적 경제적 제공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관계를 갖지만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경제적 보상이 많아진다고 해서 자원봉사활동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 간접적 혜택은 양(+)의 관계를 갖지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지원은 유의미한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와 지속가능성은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갖는다. 자원봉사활동의 인정과 봉사는 정서적 지원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도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효과적인 ODA 사업 추진을 위한 수원국 유형화와 정책적 연계

        김학실,최영출 한국비교정부학회 2017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1 No.2

        This paper attempts to classify ODA recipient countries by Korean government-aided projects using eight policy criteria, to cluster them into a small number of groups in which their governance attributes are assumed to be analogous, and to derive ODA-related policy implications, resulting in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is analysis is cluster analysis which is a method of grouping a set of objects like countries into small categories, and here in this analysis 51 countries are analyzed. Research results in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51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7 clusters. Second, it is theoretically suggested that different policy measures should be taken in implementing ODA projects in recipient countries in order to strengthen policy compliance on the part of recipient countries and to maximize efficiency of ODA projects as a whole, based on the circumstances underlying them.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내부공익신고자보호방안 비교

        김학실,김보흠,이석표 한국부패학회 2007 한국부패학회보 Vol.12 No.4

        Japan is showing the types of corrup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wrongdoing based on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nd business circles, in particular, are causing troubles. The country has made an effort to prevent public servants' corruption by enacting 'national public service ethics law' in 2004. Although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in Japan is at a low level, it was found that the index in executive branch was high in 2006. In this study we will take a look at the efforts of Korea and Japan designed to raise integrity level, centered on national public service ethics law and inside whistleblowers protection plans in both countries. While some similarities are found in public service ethics law of Korea and Japan in terms of the enacting background and its purpose,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administration of the law. Korea has the inside whistleblowers protection in anti-corruption laws whereas Japan has it in national public service laws and local public service laws. Japan defines the whistleblower in a rather broad sense and encourages whistleblowing by not placing the burden proof on them.It is undoubtedly important to have legal systems designed to root out the corruptions and irregularies of public officials; however, the change in the mindset of the public officials as to ethics should come fir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